1 장사훈, "화전태 화류태" 수서원 1982
2 노동은, "해제-조선정악전습소 일람" 낭만음악사 4 (4): 1991
3 이유선, "한국양악백년사" 중앙대학교출판국 1976
4 박은경, "한국 최초의 민간음악교육 기관 조선정악전습소 연구" 민족음악학회 21 : 161-182, 2001
5 姜惠仁, "한국 개화기 음악교육 활동의 역사적 의의 : 朝鮮正樂傳習所를 중심으로" 慶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0
6 정화자, "청주대학교 운초 국악학의 재조명" 30 : 11-26, 2001
7 김성혜, "조선성악연구회의 음악사적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1 : 306-350, 1990
8 송방송, "장사훈, 그의 삶과 운초음악학" 한국음악사학회 8 : 1992
9 이보형, "장사훈 박사의 민속악 연구 성과" 한국국악학회 30 : 107-121, 2001
10 李秀晶, "일제시대 창극활동의 연구"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3
1 장사훈, "화전태 화류태" 수서원 1982
2 노동은, "해제-조선정악전습소 일람" 낭만음악사 4 (4): 1991
3 이유선, "한국양악백년사" 중앙대학교출판국 1976
4 박은경, "한국 최초의 민간음악교육 기관 조선정악전습소 연구" 민족음악학회 21 : 161-182, 2001
5 姜惠仁, "한국 개화기 음악교육 활동의 역사적 의의 : 朝鮮正樂傳習所를 중심으로" 慶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0
6 정화자, "청주대학교 운초 국악학의 재조명" 30 : 11-26, 2001
7 김성혜, "조선성악연구회의 음악사적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1 : 306-350, 1990
8 송방송, "장사훈, 그의 삶과 운초음악학" 한국음악사학회 8 : 1992
9 이보형, "장사훈 박사의 민속악 연구 성과" 한국국악학회 30 : 107-121, 2001
10 李秀晶, "일제시대 창극활동의 연구"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3
11 장사훈, "예술과 학문의 만남" 세광음악출판사 1987
12 장사훈, "여명의 동서음악" 보진재 1974
13 이명화, "애국가 형성에 관한 연구" 역사실학회 10․11 : 637-667, 1999
14 노동은, "애국가 가사는 언제, 누가 만들었나" 역사비평사 1994
15 이정희, "대한제국기 고종황제의 행차와 악대" 한국음악사학회 (53) : 291-318, 2014
16 송방송, "대한제국 시절 군악대의 공연양상" 한국음악사학회 (35) : 99-115, 2005
17 이수정, "다시 밝히는 해방공간 : 해방공간 전통음악계의 흐름" 민족음악연구회 4 : 1995
18 노동은, "노동은의 두 번째 음악상자" 한국학술정보 2001
19 송지원, "故 장사훈 박사의 문헌관련 연구의 재조명" 한국국악학회 30 : 2001
20 김수현, "『근대음악기사자료집-잡지편』 권3" 민속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