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이 자기개발 및 사회성개발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9087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aimed at examining the psychological processes of volunteer activities and the effects of those activities on the undergraduates working as volunteers. For this purpose, four studies were conducted. In study 1, the meanings given to volunteer activities by undergraduates were investigated. In study 2 and 3, the impacts of volunteer activities on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were analyzed. Finally, the effects of volunteer programs were assessed in study 4.
      In Study 1, a total of 109 undergraduates (48 males and 61 females) were interviewed in relation to their volunteer activities. Data analyses were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such that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were conducted. Those analyses revealed 536 concepts, which were grouped into 94 sub-categories, and 29 categories. A model based on six paradigms was presented. Furthermore, one core proposition - self-concern and rational-manner were important elements on volunteerism for undergraduate - and the four orientations - flow, investment, sacrifice, and commitment - were derived.
      In study 2, the scale comprised of 15 items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meaningfulness of volunteer activitie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obtained from 428 undergraduates (193 males and 235 female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then conducted on the data obtained from 280 undergraduates (124 males and 156 females). These analyses revealed that the scale consisted of two factors: self-meaningfulness and social-meaningfulness, and confirmed that the model?s goodness of fit and the instrument?s concurrent validity were statistically reliable.
      In study 3, the impacts of volunteer activities on 947 undergraduates (461 males and 486 fema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Self-development consisted of self-evaluati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Sociability-development consisted of pother-acceptances, attitude toward other races, sense of commun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The results showed that not more volunteer activities itself but more meaningfulness of those activities had stronger relations with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In study 4, the scale of Voluntary Service System Test (VoSS-Test)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four orientations - flow, investment, sacrifice, and commitment ? and the effects of volunteer programs were assessed. First,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from 689 students (326 males and 363 females), which lead to a scale of 30 items on these orientations. The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obtained from 378 undergraduates (180 males and 198 females), which confirm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was reliable.
      The Study 4 assessed also the effects of volunteer programs with the VoSS-Test in terms of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with high flow-oriented or commitment-oriented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their overall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On the contrary, those with high investment-oriented and sacrifice-oriented tended to complain about that the volunteer activities they were engaged in were insufficient in improving their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Finally, a variety of values the undergraduates internalized for volunteer activities and their levels of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expectation were discussed. For future study, the need to improve the VoSS-Test was noted.
      번역하기

      The present research aimed at examining the psychological processes of volunteer activities and the effects of those activities on the undergraduates working as volunteers. For this purpose, four studies were conducted. In study 1, the meanings given ...

      The present research aimed at examining the psychological processes of volunteer activities and the effects of those activities on the undergraduates working as volunteers. For this purpose, four studies were conducted. In study 1, the meanings given to volunteer activities by undergraduates were investigated. In study 2 and 3, the impacts of volunteer activities on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were analyzed. Finally, the effects of volunteer programs were assessed in study 4.
      In Study 1, a total of 109 undergraduates (48 males and 61 females) were interviewed in relation to their volunteer activities. Data analyses were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such that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were conducted. Those analyses revealed 536 concepts, which were grouped into 94 sub-categories, and 29 categories. A model based on six paradigms was presented. Furthermore, one core proposition - self-concern and rational-manner were important elements on volunteerism for undergraduate - and the four orientations - flow, investment, sacrifice, and commitment - were derived.
      In study 2, the scale comprised of 15 items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meaningfulness of volunteer activitie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obtained from 428 undergraduates (193 males and 235 female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then conducted on the data obtained from 280 undergraduates (124 males and 156 females). These analyses revealed that the scale consisted of two factors: self-meaningfulness and social-meaningfulness, and confirmed that the model?s goodness of fit and the instrument?s concurrent validity were statistically reliable.
      In study 3, the impacts of volunteer activities on 947 undergraduates (461 males and 486 fema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Self-development consisted of self-evaluati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Sociability-development consisted of pother-acceptances, attitude toward other races, sense of commun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The results showed that not more volunteer activities itself but more meaningfulness of those activities had stronger relations with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In study 4, the scale of Voluntary Service System Test (VoSS-Test)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four orientations - flow, investment, sacrifice, and commitment ? and the effects of volunteer programs were assessed. First,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from 689 students (326 males and 363 females), which lead to a scale of 30 items on these orientations. The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obtained from 378 undergraduates (180 males and 198 females), which confirm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was reliable.
      The Study 4 assessed also the effects of volunteer programs with the VoSS-Test in terms of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with high flow-oriented or commitment-oriented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their overall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On the contrary, those with high investment-oriented and sacrifice-oriented tended to complain about that the volunteer activities they were engaged in were insufficient in improving their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Finally, a variety of values the undergraduates internalized for volunteer activities and their levels of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expectation were discussed. For future study, the need to improve the VoSS-Test was no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과정 및 자원봉사활동이 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네 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에 대하여 부여하는 의미를 규명하였고, 연구 2와 3에서는 자원봉사활동이 대학생의 자기개발과 사회성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4에서는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총 109명(남 48, 여 61)을 대상으로 근거이론적 연구방법을 통해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536개의 개념과 94개의 하위범주, 29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 과정에서 6개의 패러다임에 기초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학생들에게는 자신의 관심사와 합리적 방식이 자원봉사주의(volunteerism)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라는 핵심적인 특징을 도출하였으며, 몰입, 투자, 희생, 헌신으로 구분되는 4 가지 봉사활동 지향을 밝혀냈다.
      연구 2에서는 예비연구를 거쳐 개발한 15문항의 자원봉사활동의 의미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428명(남 193, 여 235)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280명(남 124, 여 156)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인적 의미와 사회적 의미의 두 요인으로 구분하였고, 모형의 적합도와 공인타당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 3에서는 947명(남 461, 여 486)을 대상으로 자원봉사활동이 대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변인으로는 크게 자기개발과 사회성개발이라는 두 가지 요소로 이루어졌다. 자기개발 요소는 자기평가, 자아존중감, 삶의 질의 세 가지 변인으로 구성하고, 사회성개발 요소는 타인수용, 타 인종에 대한 태도, 공동체의식, 민주시민의식의 네 가지 변인으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자원봉사활동 그 자체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원봉사활동의 의미성이 높을수록 자기개발과 사회성개발의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4에서는 연구 1에서 도출된 4가지 지향(몰입, 투자, 희생, 헌신)을 근거로 하여 봉사활동 프로그램 평가척도(VoSS-test)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689명(남 326, 여 363)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30문항을 378명(남 180, 여 198)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개발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고, 종속변인들은 연구 3과 동일하다. 그 결과, 몰입지향이나 헌신지향이 높은 자원봉사자들은 봉사활동을 통해 전반적인 자기개발이나 사회성개발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투자지향과 희생지향이 높은 자원봉사자들의 경우, 자신들이 참가한 봉사활동 프로그램이 각각 자기개발과 사회성 개발에 미흡하다는 불만족을 많이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내재화하는 다양한 가치와 그들이 기대하는 자기개발 및 사회성개발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프로그램 평가 도구인 VoSS-test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과정 및 자원봉사활동이 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네 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과정 및 자원봉사활동이 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네 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에 대하여 부여하는 의미를 규명하였고, 연구 2와 3에서는 자원봉사활동이 대학생의 자기개발과 사회성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4에서는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총 109명(남 48, 여 61)을 대상으로 근거이론적 연구방법을 통해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536개의 개념과 94개의 하위범주, 29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 과정에서 6개의 패러다임에 기초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학생들에게는 자신의 관심사와 합리적 방식이 자원봉사주의(volunteerism)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라는 핵심적인 특징을 도출하였으며, 몰입, 투자, 희생, 헌신으로 구분되는 4 가지 봉사활동 지향을 밝혀냈다.
      연구 2에서는 예비연구를 거쳐 개발한 15문항의 자원봉사활동의 의미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428명(남 193, 여 235)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280명(남 124, 여 156)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인적 의미와 사회적 의미의 두 요인으로 구분하였고, 모형의 적합도와 공인타당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 3에서는 947명(남 461, 여 486)을 대상으로 자원봉사활동이 대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변인으로는 크게 자기개발과 사회성개발이라는 두 가지 요소로 이루어졌다. 자기개발 요소는 자기평가, 자아존중감, 삶의 질의 세 가지 변인으로 구성하고, 사회성개발 요소는 타인수용, 타 인종에 대한 태도, 공동체의식, 민주시민의식의 네 가지 변인으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자원봉사활동 그 자체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원봉사활동의 의미성이 높을수록 자기개발과 사회성개발의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4에서는 연구 1에서 도출된 4가지 지향(몰입, 투자, 희생, 헌신)을 근거로 하여 봉사활동 프로그램 평가척도(VoSS-test)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689명(남 326, 여 363)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30문항을 378명(남 180, 여 198)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개발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고, 종속변인들은 연구 3과 동일하다. 그 결과, 몰입지향이나 헌신지향이 높은 자원봉사자들은 봉사활동을 통해 전반적인 자기개발이나 사회성개발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투자지향과 희생지향이 높은 자원봉사자들의 경우, 자신들이 참가한 봉사활동 프로그램이 각각 자기개발과 사회성 개발에 미흡하다는 불만족을 많이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내재화하는 다양한 가치와 그들이 기대하는 자기개발 및 사회성개발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프로그램 평가 도구인 VoSS-test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의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문제제기 1
      •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9
      • 1.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이해 9
      • Ⅰ. 서론 1
      • 1. 문제제기 1
      • 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9
      • 1.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이해 9
      • 1) 자원봉사의 개념 9
      • 2)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11
      • 2.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기대 효과 18
      • 1) 자기개발 22
      • 2) 사회성개발 24
      • 3. 봉사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28
      • Ⅲ. 연구 1 32
      • 1. 연구 방법 34
      • 1) 연구대상 34
      • 2) 절차 및 도구 35
      • (1) 개방코딩 35
      • (2) 축코딩 36
      • (3) 선택코딩 37
      • 2. 연구 결과 38
      • 1) 개방코딩 39
      • (1) 자발적참여: 호기심, 스스로, 타인을 돕기 위해, 목격 39
      • (2) 외부요구: 권유, 부탁, 단체동조 40
      • (3) 개인보상: 점수, 대인관계, 인성, 자신만족 40
      • (4) 사회적 의무: 강요, 사회적임, 의무감, 신앙 42
      • (5) 간병: 환자보살핌, 노인수발, 병원일 43
      • (6) 생활보조: 수발, 식사, 생활도우미 43
      • (7) 노력봉사: 보조역할, 허드렛일, 농사일 44
      • (8) 보육봉사: 장애우도우미, 아동보호, 학습지도 44
      • (9) 공익업무: 관공서, 환경, 사무정리 45
      • (10) 행사일: 오락, 행사도우미, 공연, 대회도우미 45
      • (11) 캠프: 일반프로그램, 시설봉사 46
      • (12) 전문자원: 인성프로그램, 기술지원, 재활업무 47
      • (13) 사회분위기: 친사회성, 반사회성, 사회적필요, 언론매체 47
      • (14) 학교: 교육과정, 교내활동, 학과 48
      • (15) 종교: 종교단체, 교회봉사활동 49
      • (16) 가정: 어머니권고, 가족영향 49
      • (17) 가용성: 시간여유, 마음여유 50
      • (18) 준비성: 경험많음, 전문교육, 타인수용 50
      • (19) 의지욕구: 건강한삶, 자기신념, 궁금증 51
      • (20) 계기필요: 필요성부족, 미흡함, 의례적임 51
      • (21) 어려움: 힘들어함, 미숙함, 더러움, 두려움 52
      • (22) 동정심: 미안함, 부끄러움, 안타까움 53
      • (23) 기쁨: 뿌듯함, 자각, 즐거움, 성숙함, 감동 53
      • (24) 공동체감: 필요함, 사회각성, 편견버림 54
      • (25) 자기지향: 자기배움, 대가취득, 진로선택, 부담감해소 54
      • (26) 자기이해: 인격성숙, 자기반성, 존재감, 자신감 55
      • (27) 타인지향: 자기희생, 지속성, 타인도움, 관심, 사랑실천 55
      • (28) 타인이해: 편견개선, 공감, 차이이해 56
      • (29) 사회윤리: 필요성, 공동목표, 행복찾기 57
      • 2) 축코딩: 패러다임 범주분석 58
      • (1) 자원봉사 동기 58
      • (2) 실천 행동 58
      • (3) 맥락적 조건 59
      • (4) 중재적 조건 60
      • (5) 심리적 반응 61
      • (6) 자원봉사결과 62
      • 3) 선택코딩 63
      • (1) 차원 63
      • (2) 차원별 자원봉사활동 지향 64
      • 3. 논의 68
      • Ⅳ. 연구 2 72
      • 1. 예비연구 72
      • 1) 연구대상 73
      • 2) 문항개발 절차 74
      • 2. 문항 분석 75
      • 1) 연구대상 76
      • 2)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76
      • 3)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79
      • 4) 공인타당도 검증 81
      • 3. 논의 83
      • Ⅴ. 연구 3 86
      • 1. 연구 방법 87
      • 1) 연구대상 87
      • 2) 절차 및 도구 88
      • (1) 연구 절차 88
      • (2) 측정도구 88
      • 2. 연구 결과 92
      • 1) 봉사활동 전/후 차이검증 결과 92
      • 2) 자원봉사활동의 의미성 회귀분석 결과 93
      • 3) 탐색 모형 제안 99
      • 3. 논의 102
      • Ⅵ. 연구 4 105
      • 1. 예비 연구 105
      • 1) 연구대상 106
      • 2) 절차 및 도구 107
      • 2. 문항분석 109
      • 1) 연구대상 109
      • 2) 척도개발 결과 110
      • (1) 탐색적 요인분석 110
      • (2) 확인적 요인분석 112
      • 3. VoSS-test를 이용한 봉사활동 프로그램 효과 분석 116
      • 1) 연구대상 116
      • 2) 봉사활동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116
      • 4. 논의 123
      • Ⅶ. 종합논의 125
      • 참고문헌 134
      • 부록 144
      • 국문초록 170
      • Abstract 1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