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과정 및 자원봉사활동이 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네 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대학생들의 심리적 과정 및 자원봉사활동이 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네 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대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에 대하여 부여하는 의미를 규명하였고, 연구 2와 3에서는 자원봉사활동이 대학생의 자기개발과 사회성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4에서는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총 109명(남 48, 여 61)을 대상으로 근거이론적 연구방법을 통해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536개의 개념과 94개의 하위범주, 29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 과정에서 6개의 패러다임에 기초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학생들에게는 자신의 관심사와 합리적 방식이 자원봉사주의(volunteerism)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라는 핵심적인 특징을 도출하였으며, 몰입, 투자, 희생, 헌신으로 구분되는 4 가지 봉사활동 지향을 밝혀냈다.
연구 2에서는 예비연구를 거쳐 개발한 15문항의 자원봉사활동의 의미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428명(남 193, 여 235)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280명(남 124, 여 156)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인적 의미와 사회적 의미의 두 요인으로 구분하였고, 모형의 적합도와 공인타당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 3에서는 947명(남 461, 여 486)을 대상으로 자원봉사활동이 대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변인으로는 크게 자기개발과 사회성개발이라는 두 가지 요소로 이루어졌다. 자기개발 요소는 자기평가, 자아존중감, 삶의 질의 세 가지 변인으로 구성하고, 사회성개발 요소는 타인수용, 타 인종에 대한 태도, 공동체의식, 민주시민의식의 네 가지 변인으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자원봉사활동 그 자체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원봉사활동의 의미성이 높을수록 자기개발과 사회성개발의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4에서는 연구 1에서 도출된 4가지 지향(몰입, 투자, 희생, 헌신)을 근거로 하여 봉사활동 프로그램 평가척도(VoSS-test)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689명(남 326, 여 363)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30문항을 378명(남 180, 여 198)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개발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고, 종속변인들은 연구 3과 동일하다. 그 결과, 몰입지향이나 헌신지향이 높은 자원봉사자들은 봉사활동을 통해 전반적인 자기개발이나 사회성개발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투자지향과 희생지향이 높은 자원봉사자들의 경우, 자신들이 참가한 봉사활동 프로그램이 각각 자기개발과 사회성 개발에 미흡하다는 불만족을 많이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내재화하는 다양한 가치와 그들이 기대하는 자기개발 및 사회성개발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프로그램 평가 도구인 VoSS-test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