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표현의 자유에 대한 개인주의적 접근방법과 공익적 접근방법 -반론권에 관한 미 연방대법원 판례를 통해 바라본 헌법 이론적,철학적 지형- = Individualist and Collectivist Approaches to Freedom of Spee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3964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국 헌법학에서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절대적 보장론의 유력한 근거 중의 하나가 개인의 자율성 신장이다. 이는 개인 자유와 권리의 보장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전통...

      미국 헌법학에서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절대적 보장론의 유력한 근거 중의 하나가 개인의 자율성 신장이다. 이는 개인 자유와 권리의 보장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전통에 의거한 것으로 자율성 수호를 기치로 민주적 의사결정과정에서 표현에 대한 국가의 간섭의 배제가 정당화된다. 여기에서의 자율성이란 개인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일체의 외부적 제한이 없는 상태를 뜻하며 어떠한 명목으로든 국가 간섭주의를 배격하려 한다. 한편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과 동시에 등장한 공동체주의 사상이 발전하면서 표현의 자유 영역에서도 개인의 자유보다 공익을 우선시하는 견해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자율성의 진정한 의미를 찾는 작업에서 정당화 근거를 도출하려고 하였는데, 민주적이고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공적 토론 과정에서 진정한 시민의 자율성이 확보되려면 개인주의에서 말하는 형식적 자율성의 허울을 벗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실질적으로 토론에 필요한 정보가 자유롭고 평등한 사회 구성원들을 위해 얼마나 공평하게 배분되었는가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개인주의적 접근방법의 자율성 가치가 기존의 불평등, 부당한 정보의 배분 상태가 자율성을 명목으로 고착화 되었다는 사실이 보인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따르면 진정한 자율성을 실현하기 위해 자율성을 핑계 삼은 표현의 자유 보호 논리는 지양되어야 한다. 자유와 자율성의 관계를 철학적으로 이해한다면 개인주의 논리에서도 자유의 제한을 통한 자율성 신장이 가능한 경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라즈의 완전주의적 자유주의 개념에 의하면 국민의 자율성 확보를 위한 국가의 역할이 자유주의 내에서도 정당화 될 수 있다. 자유주의가 지배적 사상으로 자리매김 해 온 미국과 같은 환경이라면 공익적 접근방법의 자율성 제외 논리가 설득력을 가질 수 있으나 단체주의 사상이 상대적으로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우리 상황에서는 자유주의에 대한 수정된 이해를 통해 자율의 가치를 유지하며 공익적 접근방법에서 제기한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bsolute protection theory of freedom of speech in American constitutional law is justified by the value of individual autonomy. Traditional liberal individualism, which promotes autonomy as a foremost theoretical target, prohibits the government ...

      The absolute protection theory of freedom of speech in American constitutional law is justified by the value of individual autonomy. Traditional liberal individualism, which promotes autonomy as a foremost theoretical target, prohibits the government from constraining free speech over the process of public deliberation for the democratic collective self-decision making in the name of protecting autonomy. Autonomy, in this context, means being free of paternalistic external constraints. Linked 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tarianism, the collectivist theory of free speech, in which public interests are considered highly, has been shown. The theory criticize the liberal individualist approach to free speech for that autonomy, in this approach, is used as an excuse of existing unequal distribution of information which is the fundamental source of the public deliberation. The strategical method of the collectivist theory to attack the individualist perspective, therefore, is concentrating on deconstructing this autonomy pretext. A philosophical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liberty, which was studied by Gerald Dworkin and many scholars, reveals the new possibility that autonomy can be promoted by the paternalistic intervention of liberty. In addition, Joseph Raz`s perfectionist liberalism, in which the government can ban immoral choices for promoting autonomy, leads a new understanding of liberalism instead of the traditional individualistic liberalism in the area of freedom of speech. Those works can be meaningful especially in the Korean circumstance where the collectivist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rights has relatively prevailed so fa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락인, "현행지방지치제도의 헌법적 진단" 1 : 1995

      2 김종서, "현행지방자치관계법의 비판적 검토" (187) :

      3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8

      4 강경근, "헌법상 지방자치의 본질과 형성기준" 18 : 1990

      5 이기우, "행정구역개편과지방분권의관계”, 2008,10.20, 경기개발연구원주최-지방행정체제 개편 대토론회"

      6 전광석, "한국헌법론 제4판" 법문사 2007

      7 김철수, "한국헌법과 지방자치의 방향" (4) : 2000

      8 한국지방자치학회, "한국지방자치론" 삼영사 1997

      9 백윤철, "프랑스의 지방분권에 관한 연구" 서울대 1998

      10 김재원, "표현의 자유에 관한 미국 판례의 법철학적 성찰" 3 (3): 2000

      1 성락인, "현행지방지치제도의 헌법적 진단" 1 : 1995

      2 김종서, "현행지방자치관계법의 비판적 검토" (187) :

      3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8

      4 강경근, "헌법상 지방자치의 본질과 형성기준" 18 : 1990

      5 이기우, "행정구역개편과지방분권의관계”, 2008,10.20, 경기개발연구원주최-지방행정체제 개편 대토론회"

      6 전광석, "한국헌법론 제4판" 법문사 2007

      7 김철수, "한국헌법과 지방자치의 방향" (4) : 2000

      8 한국지방자치학회, "한국지방자치론" 삼영사 1997

      9 백윤철, "프랑스의 지방분권에 관한 연구" 서울대 1998

      10 김재원, "표현의 자유에 관한 미국 판례의 법철학적 성찰" 3 (3): 2000

      11 강기홍, "지방행정구역개편의 법적 원리 -독일 기본법 제29조를 참조하여-" 지방행정연구원

      12 국회사무처 입법조사국, "지방자치제도(입법참고자료 제259호)"

      13 金弘大, "지방자치입법론" 박영사 1999

      14 서원우, "지방자치의 헌법적 보장" 고시연구 1993

      15 유지태, "지방자치의 제도적보장론 소고" 29 : 1993

      16 이준구, "지방자치와 제도보장론" 6 : 1990

      17 김동훈, "지방자치시대의 주민참여" 2 (2): 1990

      18 조태제, "지방자치단체의 파산제도" 법제연구원 2006

      19 최창호, "지방자치단체의 종류와 계층" 1 (1): 1989

      20 김원규,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입법 제정권" 18 : 1990

      21 김철용,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가의 관여" 18 : 1990

      22 오희환, "지방자치단체간 합리적 기능 배분 방향" 1995

      23 행정자치부재정정책팀, "지방자치단체 재정력 측정지표의 유용성 검토,2005. 10"

      24 소순창, "지방일괄이양법의 제정방향-일본 지방분권일괄법을 중심으로" 한국법제연구원 2003

      25 성경륭, "지방분권형국가만들기" 나남출판사 2003

      26 유진식, "지방분권과 행정구역개편의 행정법적 문제" 7 (7): 2006

      27 장용근, "지방분권과 지방자치에 대한 헌법적 고찰" 한국헌법학회 10 (10): 457-496, 2004

      28 정세황, "중앙과 지방간의 관계" 1 (1): 1989

      29 정재호, "중국의 중앙과 지방관계론-분권화개혁의 정치경제" 나남출판사 1999

      30 오동석, "주민참여적 지방자치의 헌법적 정당성" 서울대학교 1998

      31 홍정선, "주민발언권을 허용하는 지방의회회의규칙의 정당여부" (2219) : 1993

      32 신기현, "조세법률주의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1996

      33 인권법교재발간위원회, "인권법" 아카넷 2006

      34 신도철, "새로운 지역발전정책 패러다임 :광역분권의 필요성과 제도개편 방향"

      35 백윤철, "불란서의 행정구역개편" 30 : 2006

      36 김해룡, "독일의 지방행정체제의 개편(구역개편)" 24 : 2006

      37 김해룡, "독일 지방자치법 연구" 한울 아카데미 1994

      38 강승식, "독일 기본법상 표현의 자유 제한에 대한 비판적 고찰" 7 (7): 2005

      39 이규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기능배분에 관한 연구" (144) :

      40 杉原泰雄, "資料 現代地方自治" 勁草書房 2003

      41 綿貫芳源, "條例의 性質과 司法審査의 基準" (35) :

      42 杉原泰雄, "地方自治權의 本質" 48 (48): 1976

      43 林毅, "ドイツにおける地方自治制の歷史" 敬文堂 1997

      44 Fiss, Owen M., "Why The State?"

      45 Gutmann, Amy, "Why Deliberate Democrac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4

      46 Matthews, D., "U. S. senators, and their world" Norton 1973

      47 George,Robert P., "The Unorthodox Liberalism of Joseph Raz" 53 (53): 1991

      48 Dworkin,Gerald, "The Theory and Practice of Aut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49 Emerson,Thomas I, "The System of Freedom of Expression" Vintage Books 1970

      50 Raz,Joseph, "The Morality of Freedom"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51 Brison,Susan J., "The Autonomy Defense of Free Speech" 108 (108): 1998

      52 Walzer,Michael, "Spheres of Justice: a Defense of Pluralism and Equality" Basic Books 1983

      53 Sunstein,Cass R., "Preference and Poli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20): 1991

      54 Rawls,John, "Political Liberalism"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55 Meiklejohn,Alexander, "Political Freedom" Oxford University Press 1965

      56 Dworkin,Gerald, "Paternalism.in Morality and the Law ed.Richard.Wasserstrom"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71

      57 Husak,Douglas N., "Paternalism and Autonomy.?" 10 (10): 1981

      58 Luban,David, "Partisanship,Betrayal and Autonomy in the Lawyer-Client Relationship:a Reply to Stephen Ellmann" 1004 : 1990

      59 Sunstein,Cass R., "Partial Constitution" Harvard?University Press 1993

      60 Mill,John Stuart, "On Liberty:Annotated Text Sources and Background Criticism" W톆텻orton & Company 1975

      61 Wright,J.Skelly, "Money and the Pollution of Politics: Is the First젨 Amendment an Obstacle to Political Equality?" 609 : 1982

      62 Post,Robert C., "Managing Deliberation:The Quandary of Democratic?Dialogue" 103 (103): 1993

      63 Sandel,Michael J., "Liberalism and the Limits of Jus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64 Tucker,D.F.B., "Law,Liberalism,and Free Speech" Rowman & Allanheld 1985

      65 Wolff,Robert P., "In Defense of Anarchism" Harper & Row 1970

      66 Schauer,Frederick, "Free Speech:a Philosophical Enqui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67 Fiss,Owen M., "Free Speech and Social Structure" 1986

      68 Berlin,Isaiah, "Four Essays on Liberty" Oxford University Press 1969

      69 Cronin, Thomas E., "Direct democracy- The Politics of initiativ, referendum, and Recall" Harvard press 1989

      70 Chemerinsky,Erwin, "Constitutional Law" Aspen Publishers 2001

      71 Sunstein,Cass R., "Beyond the Republican Revival" 1539 : 1988

      72 Richards,David, "Autonomy in Law, in The Inner Citadel: Essays on Individual Autonomy" 1989

      73 Chang, Cheoljoon, "Autonomy as a Foundation for a Theory of Free Speech and the Adversary System" Cornell University 2008

      74 Lipson,Morris, "Autonomy and Democracy" 2249 : 1995

      75 McIntyre,Alasdair C., "After Virtue:A Study in Moral Theory"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2007

      76 Breyer,Stephen, "Active Liberty:Interpreting Our Democratic Constitution" Alfred A.Knopf 2005

      77 한국헌법학회, "2006헌법개정최종본"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영문명 : Korean Branch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anl Law ->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nal Law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11 1.46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