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가족기능과의 관계 = The Relation of Health-related Behaviors and Family Function in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33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It is well known that family is not only the basis but also one of the major factors for personal health management. In this study, we examined to find out the association of family function with health behavior. Methods: From June to Aug...

      Background: It is well known that family is not only the basis but also one of the major factors for personal health management. In this study, we examined to find out the association of family function with health behavior.
      Methods: From June to August, 1999, a total of 8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from several metropolitan, medium and small sized cities and a 'myon', were questionnaired on their health-related behaviors like smoking, alcohol intake, diet, exercise and sleeping by means of 'Korean Family Function Assessment Tool'.
      Results: Among the total, 599 students gave appropriate answers. They were composed of 323 (53.9%) middle school and 276 (46.1%) high school students. Male to female sex ratio was 307 (51.3%) to 292 (48.7%). In the aspect of smoking, smoking group and non-smoking group showed 127.0±23.3 and 144.9±23.6, respectively, in terms of Korean Family Function Assessment Tool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s heavy alcohol drinkers who consumed alcohol more than 168 g-in case of girls the datum point was 132 g-per week, light drinkers and non-drinkers. Their KFFAT scores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P<0.01). On tukey multiple comparis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rimarily between the drinkers and the non-drinkers (P<0.05). Similer findings were shown between the regular and the irregular diet group (P<0.01). But there as no significance with respect to exercise and sleeping.
      Conclusion: Among the health-related behaviors of adolescents, smoking, alcohol intake and diet habi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amily function, but exercise and sleeping were no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가족은 건강관리의 근본이 되는 배경으로서, 개인의 건강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특히 건강행위와의 관련성을 보기 위해 일부 청소년들을 대상으...

      연구배경: 가족은 건강관리의 근본이 되는 배경으로서, 개인의 건강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특히 건강행위와의 관련성을 보기 위해 일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건강행위와 가족기능을 평가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9년 6월부터 8월까지 대도시와 중소도시 및 읍면의 남녀 중, 고등학생 각각 50명씩 총 800명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흡연, 음주, 식사, 운동, 수면 등 건강행위와 한국형 가족기능 평가도구를 이용한 설문을 조사하였다.
      결과: 설문에 적절히 응답한 599명의 조사 대상자 중 중학생은 323명(53.9%), 고등학생은 276명(46.1%)이었고, 남자가 307명(51.3%), 여자가 292명(48.7%)이었다. 흡연군과 비흡연군간에 가족기능 평가지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음주의 분류는 남자는 168 g, 여자는 132 g의 주당 알코올 소비량을 기준으로 하여 고알코올 섭취군과 저알코올 섭취군, 그리고 비음주군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 세 군 간의 가족기능 평가지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사후 검정에서 주로 음주군과 비음주군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식습관이 규칙적인 군과 불규칙적인 군을 비교하였을 때, 두 군간의 가족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그러나 효과적인 운동수행 유무나 적정 수면 유무에 따른 가족기능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청소년의 건강행위 중 흡연, 음주, 식습관은 가족기능과 관련이 있었고, 운동과 수면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흡연과 가족기능지수와의 관계에 관한 고찰" 38-45,

      2 "한림의대 가정의학교실" 363-8, 1999

      3 "한국형 가족기능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23 (23): 292-300,

      4 "한국형 가족기능 평가도구의 개발" 21 (21): 994-1005,

      5 "청소년 건강관리. 가정의학회편. 가정의학." 계측문화사 167-84, 1997

      6 "중학교 학생의 가족기능 평가도구로서 FACES Ⅲ 설문서의 타당도 및 신뢰도 - 본인만 응답할 때" 84-90,

      7 "중년 남성에서 직업 스트레스와 교대 근무 및 생활 습관이 수면 문제에 미치는 영향" 709-19,

      8 "주정 중독환자들의 자아방어기제와 가족기능[초록]" 16 : 11-,

      9 "운동과 다른 건강행위와의 연관성[초록]" 17 (17): 1107-,

      10 "알콜 중독환자와 가족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분석" 1088-107,

      1 "흡연과 가족기능지수와의 관계에 관한 고찰" 38-45,

      2 "한림의대 가정의학교실" 363-8, 1999

      3 "한국형 가족기능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23 (23): 292-300,

      4 "한국형 가족기능 평가도구의 개발" 21 (21): 994-1005,

      5 "청소년 건강관리. 가정의학회편. 가정의학." 계측문화사 167-84, 1997

      6 "중학교 학생의 가족기능 평가도구로서 FACES Ⅲ 설문서의 타당도 및 신뢰도 - 본인만 응답할 때" 84-90,

      7 "중년 남성에서 직업 스트레스와 교대 근무 및 생활 습관이 수면 문제에 미치는 영향" 709-19,

      8 "주정 중독환자들의 자아방어기제와 가족기능[초록]" 16 : 11-,

      9 "운동과 다른 건강행위와의 연관성[초록]" 17 (17): 1107-,

      10 "알콜 중독환자와 가족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분석" 1088-107,

      11 "알코올 관련장애 환자에서 가족기능도지수와 가족적응력 결속력평가척도에 의한 가족기능평가[초록]" 16 : 11-,

      12 "고등학생의 흡연과 관련된 요인[초록]"

      13 "고등학교 3학년 학생에서 특성불안의 고저에 따른 수면양상" 16 (16): 721-30,

      14 "고교생 흡연실태 및 가족기능지수와 흡연과의 관계" 592-601,

      15 "건강증진의 주요영역" 가정의학회편 계축문화사 331-407, 1997

      16 "가족요인의 차이에 따른 대학생의 음주양상" 51-60,

      17 "가족구성원 2인을 대상으로 FACES III에 대한 설문조사시 신뢰도와 타당도" 17 (17): 540-53,

      18 "가족구성원 1인의 FACES III 응답 이용시 설문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312-21,

      19 "가족과 질병" 가정의학회편 계측문화사 51-9, 1997

      20 "relationships to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mong university women" 97-106, jsubstabuse1991

      21 "The family’s influence on health Textbook of family practice" 31-42, 2002

      22 "The effect of shift system on sleep quality and family function of workers in Taiwan" 410-7,

      23 "Relationship between family perception and alcohol consumption" 117-21,

      24 "Psychosocial influences on health Textbook of family practice" 43-51, 2002

      25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The physicians' guide to helping patients with alcohol problem" 95 1-3769 12, 1995

      26 "Family functioning and psychopathology among adolescents with severe emotional disturbances" 83-1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2-09-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가정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2-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6 0.54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