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육묘 생산 시스템 차이에 따른 오이 모종의 묘소질과 정식 후 생육 비교 = Comparison of Seedling Quality of Cucumber Seedlings and Growth and Production after Transplanting according to Differences in Seedling Production Syst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519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과 공정육묘장의 환경차 이에 따른 오이 모종의 묘소질, 정식 후 생육과 과실의 특성 및 생산량 비교를 통해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생산된 모종의 생육과 생산량의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 행하였다. 처리구는 정식 전까지 공정육묘장에서 육묘한 Greenhouse 모종(GH)이 대조구이다. 가식전까지 인공광 이 용형 식물공장에서 9일간 육묘하고, 가식 후 육묘장에서 13일 간 육묘한 Plant factory to Greenhouse 모종(PG), 정식 전까 지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22일간 육묘한 Plant factory 모종(PF)으로 나누어 구분하였다. 묘소질에서는 PF의 상대 생장률과 충실도가 가장 높았고, 근권부 발달 또한, 가장 우수 하였다. 정식 후 생육 또한 세 처리구 중 PF가 빠른 경향을 나 타냈으며 첫 수확일이 GH에 비해 2일 빨랐고 작기는 1일 빠 르게 종료되었다. 과장, 과폭 및 과중을 비교한 결과 처리구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였다. PF가 암꽃 개화율이 높았고, 착과율 은 PF가 가장 낮았다.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PF가 10.23kg으 로 가장 많았다. 엽록소 형광 매개 변수 중 가장 민감하게 반응 하는 Pi_Abs는 정식 후 4주차에 PF가 4.14로 가장 높았다. 정식후 4주차의 Fv/Fm과 DI0/RC를 비교한 결과 PF가 가장 스 트레스를 적게 받는 경향을 나타냈다. PF는 묘소질, 정식 후 생육 및 생산량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과실 품질은 GH의 과실 과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PF를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과 공정육묘장의 환경차 이에 따른 오이 모종의 묘소질, 정식 후 생육과 과실의 특성 및 생산량 비교를 통해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생산된 모종의 ...

      본 연구는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과 공정육묘장의 환경차 이에 따른 오이 모종의 묘소질, 정식 후 생육과 과실의 특성 및 생산량 비교를 통해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생산된 모종의 생육과 생산량의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 행하였다. 처리구는 정식 전까지 공정육묘장에서 육묘한 Greenhouse 모종(GH)이 대조구이다. 가식전까지 인공광 이 용형 식물공장에서 9일간 육묘하고, 가식 후 육묘장에서 13일 간 육묘한 Plant factory to Greenhouse 모종(PG), 정식 전까 지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22일간 육묘한 Plant factory 모종(PF)으로 나누어 구분하였다. 묘소질에서는 PF의 상대 생장률과 충실도가 가장 높았고, 근권부 발달 또한, 가장 우수 하였다. 정식 후 생육 또한 세 처리구 중 PF가 빠른 경향을 나 타냈으며 첫 수확일이 GH에 비해 2일 빨랐고 작기는 1일 빠 르게 종료되었다. 과장, 과폭 및 과중을 비교한 결과 처리구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였다. PF가 암꽃 개화율이 높았고, 착과율 은 PF가 가장 낮았다.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PF가 10.23kg으 로 가장 많았다. 엽록소 형광 매개 변수 중 가장 민감하게 반응 하는 Pi_Abs는 정식 후 4주차에 PF가 4.14로 가장 높았다. 정식후 4주차의 Fv/Fm과 DI0/RC를 비교한 결과 PF가 가장 스 트레스를 적게 받는 경향을 나타냈다. PF는 묘소질, 정식 후 생육 및 생산량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과실 품질은 GH의 과실 과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PF를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the growth and production of seedlings produced in plant factories with artificial lighting by comparing seedling quality,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after transplanting cucumber seedlings according to environmental differences between plant factories with artificial lighting and conventional nurseries in greenhous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greenhouse seedlings (GH) grown in the conventional nursery before transplanting. Plant factory to greenhouse seedlings (PG) were grown for 9 days in a plant factory with artificial lighting and for 13 days in an conventional nursery. Plant factory seedlings (PF) were grown in a plant factory with artificial lighting for 22 days until planting. In terms of seedling quality, PFs had the highest relative growth rate and compactness and the best root zone development. After transplanting PFs tended to grow faster, the first harvest date was 2 days earlier than that of GHs, and the growing season ended 1 day earlier. The female flower flowering rate of the PFs was high, and the fruit set rate was of PF the lowest. The production per unit area was highest for PFs at 10.23kg Performance index on the absorption basis, the most sensitive chlorophyll fluorescence parameter, was highest at 4.14 for PFs at 4 weeks after transplantation. By comparing the maximum quantum yield of primary PS Ⅱ photochemistry and dissipated energy flux per PS Ⅱ reaction center electron at 4 weeks after transplantation, PFs tended to be the least stressed. PFs had the best seedling quality, growth, and production after planting, and fruit quality was consistent with that of greenhouse seedlings. Therefore, plant factory seedlings can be used in the field.
      번역하기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the growth and production of seedlings produced in plant factories with artificial lighting by comparing seedling quality,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after transplanting cucumber seedlings accord...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the growth and production of seedlings produced in plant factories with artificial lighting by comparing seedling quality,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after transplanting cucumber seedlings according to environmental differences between plant factories with artificial lighting and conventional nurseries in greenhous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greenhouse seedlings (GH) grown in the conventional nursery before transplanting. Plant factory to greenhouse seedlings (PG) were grown for 9 days in a plant factory with artificial lighting and for 13 days in an conventional nursery. Plant factory seedlings (PF) were grown in a plant factory with artificial lighting for 22 days until planting. In terms of seedling quality, PFs had the highest relative growth rate and compactness and the best root zone development. After transplanting PFs tended to grow faster, the first harvest date was 2 days earlier than that of GHs, and the growing season ended 1 day earlier. The female flower flowering rate of the PFs was high, and the fruit set rate was of PF the lowest. The production per unit area was highest for PFs at 10.23kg Performance index on the absorption basis, the most sensitive chlorophyll fluorescence parameter, was highest at 4.14 for PFs at 4 weeks after transplantation. By comparing the maximum quantum yield of primary PS Ⅱ photochemistry and dissipated energy flux per PS Ⅱ reaction center electron at 4 weeks after transplantation, PFs tended to be the least stressed. PFs had the best seedling quality, growth, and production after planting, and fruit quality was consistent with that of greenhouse seedlings. Therefore, plant factory seedlings can be used in the fiel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