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지 토양의 효율적인 수분관리를 위해서는 토양수분센서 를 알맞게 사용하여야 하며, 특히 노지 과수와 같이 넓은 뿌리환경을 가지는 토양 환경에서는 적합한 센서 설치 위치가 매 우 중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51982
2024
Korean
배 ; 사과 ; 자동관수시스템 ; 토양수분장력 ; 효율적 관수 ; apple ; Asian pear ; automated irrigation system ; efficient irrigation ; soil water potential
KCI등재
학술저널
107-113(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노지 토양의 효율적인 수분관리를 위해서는 토양수분센서 를 알맞게 사용하여야 하며, 특히 노지 과수와 같이 넓은 뿌리환경을 가지는 토양 환경에서는 적합한 센서 설치 위치가 매 우 중요...
노지 토양의 효율적인 수분관리를 위해서는 토양수분센서 를 알맞게 사용하여야 하며, 특히 노지 과수와 같이 넓은 뿌리환경을 가지는 토양 환경에서는 적합한 센서 설치 위치가 매 우 중요하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노지 과수원에서 다양한 거 리와 깊이에 토양수분장력 센서를 설치하여 각 위치의 토양수 분장력 값을 측정하고, 센서 설치 위치에 따른 토양수분 변화 정도를 비교하여, 이에 따른 최적 토양수분센서 설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국내 두 지역에 위치한 사과 및배 과수원에서 각 과수의 수간으로부터 거리 20, 40, 60cm, 토양표면으로부터 깊이 10, 20, 30cm로 각각 9개의 토양수분장력 센서(TEROS 21, METER Group)를 설치하여 2년간의 토양 수분장력 변화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과수원 모두 센서 가 과수의 수간으로부터 가까울수록, 토양의 표면으로부터 얕게 설치되어 있을수록 토양수분장력 값의 변화 정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20cm × 10cm(과수의 수간으로부터 거리 × 토양 표면으로부터 깊이) 지점에서의 토양수분장력 값의 변화 정 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토양수분센서 설치에 가장 적합 한 지점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연도가 달라짐에 따라 과수 의 뿌리가 생장하며 센서 설치 위치에 따른 토양수분장력의 변화 정도 양상이 조금씩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지 과수와 같이 장기간 재배하는 작물의 토양수분 환경을 알맞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의 주기적인 토양수분 변화 관찰 및 보완을 통해 센서 설치 위치를 변경하는 노력도 필요할 것 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efficient soil water management in open fields, the proper use of soil moisture sensors is a prerequisite. Particularly in open-field environments like orchards with extensive root systems, the appropriate positioning of sensors is very important....
For efficient soil water management in open fields, the proper use of soil moisture sensors is a prerequisite. Particularly in open-field environments like orchards with extensive root systems, the appropriate positioning of sensors is very importan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optimal placement of soil moisture sensors by assessing changes in soil water potential across various positions within orchard field soils after installing tensiometers. In apple and Asian pear orchards located in two regions of Korea, nine soil water potential sensors (TEROS 21, METER Group) were installed at distances of 20, 40, and 60 cm from the tree trunk and depths of 10, 20, and 30 cm from the soil surface, and monitored the soil water potential changes over two years.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sitions closer to the tree trunk and the soil surface exhibited more pronounced changes in soil water potential. The greatest magnitude of change in soil water potential was observed at a distance of 20 cm and a depth of 10 cm, suggesting this position as the most suitable for soil moisture sensor installation. However, variations in the degree and pattern of changes in soil water potential were noted across sensor positions due to root system growth over time. Therefore, periodic observation and adjustments in sensor placement would be advisable to accurately monitor the soil moisture condition in long-term crops such as fruit trees in open fields
수직농장에서 약용작물 생산을 위한 8종의 종자 발아 특성
육묘 생산 시스템 차이에 따른 오이 모종의 묘소질과 정식 후 생육 비교
육묘 단계에서 아스파라거스 6품종의 맹아 출현과 생장 특성 비교
수경재배 토마토 재사용 암면 배지의 기초 물리화학성 변화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