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나주 송제리 고분군 1호분에 사용된 마감재의 재료적 특성 =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materials used in tomb No.1 of the Songje-ri, in Na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601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haracterize the material of the finishing materials used in the No.1 stone chamber tomb of
      the Baekje-era tumuli in Songjeri, Naju with mineralogical, chemical, and physical analyses. The finishing material
      is a mixture of white lumps and fragments, presumed to be shells, that remain on the surface and between the
      gaps of the stone walls inside the tomb.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main constituent mineral of the finishing material is calcite. Infrared spectroscopy showed peaks due to calcium carbonate, and thermal reaction decarbonation in the 700-800℃ range, high calcium content, and loss on ignition were confirmed. Therefore, the main material of the finishing materials was determined to be lime, and since no aggregates such as sand or gravel were found, it was identified as lime paste. The shell fragments mixed into the lime paste appear dark blue or grayishwhite in color, with no original shape remaining. The surface has a layered structure, and microscopic observations revealed prismatic layers with a columnar structure and nacreous layers with a consistent orientation, suggesting that
      the shells are from bivalve mollusks. Additionally, X-ray imaging of the shell fragments showed holes and tunnels
      caused by boring marine organisms both on the surface and inside, and radiocarbon dating results confirmed that the dating of the shells was consistent with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tomb. It is concluded that the finishing material used in Tomb No. 1 in Songje-ri, Naju, was lime paste mixed with shell fragments, and the lime was made using the shells of bivalve mollusks as the raw material.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characterize the material of the finishing materials used in the No.1 stone chamber tomb of the Baekje-era tumuli in Songjeri, Naju with mineralogical, chemical, and physical analyses. The finishing material is a mixture of white lu...

      This study aims to characterize the material of the finishing materials used in the No.1 stone chamber tomb of
      the Baekje-era tumuli in Songjeri, Naju with mineralogical, chemical, and physical analyses. The finishing material
      is a mixture of white lumps and fragments, presumed to be shells, that remain on the surface and between the
      gaps of the stone walls inside the tomb.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main constituent mineral of the finishing material is calcite. Infrared spectroscopy showed peaks due to calcium carbonate, and thermal reaction decarbonation in the 700-800℃ range, high calcium content, and loss on ignition were confirmed. Therefore, the main material of the finishing materials was determined to be lime, and since no aggregates such as sand or gravel were found, it was identified as lime paste. The shell fragments mixed into the lime paste appear dark blue or grayishwhite in color, with no original shape remaining. The surface has a layered structure, and microscopic observations revealed prismatic layers with a columnar structure and nacreous layers with a consistent orientation, suggesting that
      the shells are from bivalve mollusks. Additionally, X-ray imaging of the shell fragments showed holes and tunnels
      caused by boring marine organisms both on the surface and inside, and radiocarbon dating results confirmed that the dating of the shells was consistent with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tomb. It is concluded that the finishing material used in Tomb No. 1 in Songje-ri, Naju, was lime paste mixed with shell fragments, and the lime was made using the shells of bivalve mollusks as the raw materi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나주 송제리에 위치한 백제시대 고분군 중 1호분의 석실 내부에 사용된 마감재의 광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분석을 수행하여 재료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마감재는 백색의 덩어리 형태에 패각으로 추정되는 편이 혼합된 상태로 석실 내부 벽석의 표면과 틈 사이에 남아있었다. 분석결과, 마감재의 주요 구성광물로 방해석이 검출되었고, 탄산칼슘에서 기인하는 적외선분광스펙트럼, 700-800℃ 구간에서 일어난 탈탄산화 열적 반응, 높은 함량의 칼슘 성분과 작열감량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마감재의 주요 재료는 회로 판단되며 모래나 자갈과 같은 골재가 확인되지 않아 회반죽으로 파악된다. 회반죽에 혼합되어 있던 패각은 짙은 남색 혹은 회백색을 띄며 원형은 남아있지 않다. 표면은 적층식으로 쌓여진 층상 형태로 미세조직 관찰을 통해 기둥형의 각주층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진 진주층이 확인되어 이매패류로 추정된다. 또한 X-ray 촬영으로 패각의 표면과 내부에서 천공성 해양생물에 의한 구멍과 통로를 확인하였으며, 방사성 탄소 연대측정 결과 고분의 축조 연대와 부합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나주 송제리 고분군 1호분에 사용된 마감재는 회반죽과 패각을 혼합하여 활용하였으며 회는 혼합되어 있던 패각을 원재료로 제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나주 송제리에 위치한 백제시대 고분군 중 1호분의 석실 내부에 사용된 마감재의 광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분석을 수행하여 재료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마감재는 백색의 덩...

      본 연구에서는 나주 송제리에 위치한 백제시대 고분군 중 1호분의 석실 내부에 사용된 마감재의 광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분석을 수행하여 재료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마감재는 백색의 덩어리 형태에 패각으로 추정되는 편이 혼합된 상태로 석실 내부 벽석의 표면과 틈 사이에 남아있었다. 분석결과, 마감재의 주요 구성광물로 방해석이 검출되었고, 탄산칼슘에서 기인하는 적외선분광스펙트럼, 700-800℃ 구간에서 일어난 탈탄산화 열적 반응, 높은 함량의 칼슘 성분과 작열감량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마감재의 주요 재료는 회로 판단되며 모래나 자갈과 같은 골재가 확인되지 않아 회반죽으로 파악된다. 회반죽에 혼합되어 있던 패각은 짙은 남색 혹은 회백색을 띄며 원형은 남아있지 않다. 표면은 적층식으로 쌓여진 층상 형태로 미세조직 관찰을 통해 기둥형의 각주층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진 진주층이 확인되어 이매패류로 추정된다. 또한 X-ray 촬영으로 패각의 표면과 내부에서 천공성 해양생물에 의한 구멍과 통로를 확인하였으며, 방사성 탄소 연대측정 결과 고분의 축조 연대와 부합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나주 송제리 고분군 1호분에 사용된 마감재는 회반죽과 패각을 혼합하여 활용하였으며 회는 혼합되어 있던 패각을 원재료로 제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