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연기 파티클에 대한 포톤 매핑 기반의 렌더링 기법 = Photon Mapping-Based Rendering Technique for Smoke Partic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570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realistically produce fluids such as smoke for the visual effects in the films or animations, we need two main processes: a physics-based modeling of smoke and a rendering of smoke simulation data, based on light transport theory. In the computer g...

      To realistically produce fluids such as smoke for the visual effects in the films or animations, we need two main processes: a physics-based modeling of smoke and a rendering of smoke simulation data, based on light transport theory. In the computer graphics community, the physics-based fluids simulation is
      generally adopted for smoke modeling. Recently, the interest of the particle-based Lagrangian simulation methods is increasing due to the advantages at simulation time, instead of the grid-based Eulerian simulation methods which was widely used. As a result, because the smoke rendering technique depends
      heavily on the modeling method, the research for rendering of the particle-based smoke data still remains challenging while the research for rendering of the grid-based smoke data is actively in progress. This paper focuses on realistic rendering technique for the smoke particles produced by Lagrangian simulation
      method. This paper introduces a technique which is called particle map, that is the expansion and modification of photon mapping technique for the particle data. And then, this paper suggests the novel particle map technique and shows the differences and improvements, compared to previous work.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irradiance map technique which is the pre-calculation of the multiple scattering term in the volume rendering equation to enhance efficiency at rendering ti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기와 같은 유체의 모습을 영화나 애니메이션에서의 특수 효과에 활용하기 위해는 연기를 사실적으로 모델링하는 과정과 모델링 된 연기 내부에서의 빛의 흐름이 잘 반영된 렌더링 과정이...

      연기와 같은 유체의 모습을 영화나 애니메이션에서의 특수 효과에 활용하기 위해는 연기를 사실적으로 모델링하는 과정과 모델링 된 연기 내부에서의 빛의 흐름이 잘 반영된 렌더링 과정이 필요하다.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는 연기 모델링의 사실성을 살리기 위해 물리 기반의 유체 시뮬레이션 기법을 많이 차용하고 있는데, 그
      동안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주로 연구되어 온, 격자 기반의 Euler 방법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파티클 기반의 Lagrange 방법이 시뮬레이션 단계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연기 렌더링은 연기 모델링 방법에 종속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격자 기반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한 렌더링 방법 은 많이 연구되고 있는 데 비해, 파티클 형태로 산출된 연기 데이터에 대하여 사실적인 영상을 생성해주는 렌더링 기술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Lagrange 기법을 적용하여 생성한 파티클 집합 형태의 연기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사실적으로 렌더링하기 위해, 전역 조영을 위한 최신 렌더링 기술인 포톤 매핑 기법을 파티클 데이터에 맞게 변형 및 확장한 파티클맵 기법을 소개하고, 개선된 파티클맵 기법을 제시하여,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을 보여준다. 또한 렌더링 과정에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볼륨 렌더링 방정식의 다중 산란 항을 미리 계산하는 광도맵이라는 방법을 제시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 Park, "Vortex Fluid for Gaseous Phenomena" 261-270, 2005

      2 R. Fedkiw, "Visual Simulation of Smoke" 15-22, 2001

      3 M.N. Gamito, "Two-dimensional Simulation of Gaseous Phenomena Using Vortex Particles" 2-15, 1995

      4 R. Siegel, "Thermal Radiation Heat Transfer" Hemisphere Publishing Corporation 1992

      5 J. Stam, "Stable Fluids" 121-128, 1999

      6 M. Desbrun, "Smoothed Particle: A New Paradigm for Animating Highly Deformable Bodies" 61-76, 1996

      7 R.A. Gingold, "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 Theory and Application to Non-spherical Stars" 181 : 375-398, 1977

      8 J.J. Monaghan, "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 30 (30): 543-574, 1992

      9 H.W. Jensen, "Realistic Image Synthesis Using Photon Mapping" AK Peters 2001

      10 J.T. Kajiya, "Ray Tracing Volume Densities" 18 (18): 165-174, 1984

      1 S. Park, "Vortex Fluid for Gaseous Phenomena" 261-270, 2005

      2 R. Fedkiw, "Visual Simulation of Smoke" 15-22, 2001

      3 M.N. Gamito, "Two-dimensional Simulation of Gaseous Phenomena Using Vortex Particles" 2-15, 1995

      4 R. Siegel, "Thermal Radiation Heat Transfer" Hemisphere Publishing Corporation 1992

      5 J. Stam, "Stable Fluids" 121-128, 1999

      6 M. Desbrun, "Smoothed Particle: A New Paradigm for Animating Highly Deformable Bodies" 61-76, 1996

      7 R.A. Gingold, "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 Theory and Application to Non-spherical Stars" 181 : 375-398, 1977

      8 J.J. Monaghan, "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 30 (30): 543-574, 1992

      9 H.W. Jensen, "Realistic Image Synthesis Using Photon Mapping" AK Peters 2001

      10 J.T. Kajiya, "Ray Tracing Volume Densities" 18 (18): 165-174, 1984

      11 M. Pharr, "Physically Based Rendering" Morgan Kaufmann 2004

      12 S. Peremože, "Particle-based Simulation of Fluids" 22 (22): 401-410, 2003

      13 M. Müller, "Particle-based Fluid Simulation for Interactive Applications" 154-159, 2003

      14 K. Sims, "Particle animation and rendering using data parallel computation" 24 (24): 405-413, 1990

      15 J. Arvo, "Particle Transport and Image Synthesis" 24 (24): 63-66, 1990

      16 W.T. Reeves, "Particle Systems: A Technique for Modeling a Class of Fuzzy Objects" 2 (2): 91-108, 1983

      17 N.L. Max, "Optical Models for Direct Volume Rendering" 1 (1): 99-108, 1995

      18 J.L. Bentley, "Multidimensional Binary Search Trees Used for Associative Searching" 18 (18): 509-517, 1975

      19 F N. Foster, "Modeling the Motion of a Hot, Turbulent Gas" 181-188, 1997

      20 R.V. Klassen, "Modeling the Effect of the Atmosphere on Light" 6 (6): 215-237, 1987

      21 N. Adabala, "Modeling and Rendering of Gaseous Phenomena Using Particle Maps" 11 (11): 279-293, 2000

      22 M. Matsumoto, "Mersenne Twister: A 623-Dimensionally Equidistributed Uniform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 8 (8): 3-30, 1998

      23 J.F. Blinn, "Light Reflection Functions for Simulation of Clouds and Dusty Surfaces" 16 (16): 21-29, 1982

      24 N.L. Max, "Light Diffusion through Clouds and Haze" 33 (33): 280-292, 1986

      25 H.W. Jensen, "Global Illumination Using Photon Maps" 21-30, 1996

      26 H.W. Jensen, "Efficient Simulation of Light Transport in Scenes with Participating Media Using Photon Maps" 311-320, 1998

      27 J. Stam, "Depicting fire and other gaseous phenomena using diffusion processes" 129-136, 1995

      28 B. Feldman, "Animation Suspended Particle Explosions" 22 (22): 708-715, 2003

      29 A. Selle, "A Vortex Particle Method for Smoke, Water and Explosions" 24 (24): 910-914, 2005

      30 L.B. Lucy, "A Numerical Approach to the Testing of the Fission Hypothesis" 82 (82): 1013-1024,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7 0.07 0.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5 0.04 0.29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