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 영어 수업에서 활용할 창의 활동과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 Creativity Enhancing Activities in English Lessons for 6<sup>th</sup>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558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초등학교 6학년 정규 영어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창의성을 강조한 활동들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 논문의 실험을 위해 총 122명의 초등학...

      이 논문은 초등학교 6학년 정규 영어 수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창의성을 강조한 활동들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 논문의 실험을 위해 총 122명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참여했고 이들은 각 61명씩 실험수업반과 통제 반으로 나뉘었다. 이 실험수업을 위해 영어 교과서 중에서 하나의 유닛을 사용했고 통제반은 주로 교과서에 있는 활동들을 위주로 수업을 하였고 실험 반은 6가지의 창의 활동들을 2주 동안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병행하였고 실험 수업이 끝난 후에 설문지와 인터뷰를 수행했다. 설문 결과로서 볼 때 실험반이 통제 반에 비하여 실험수업을 기존 수업보다 선호하였다. 두 그룹은 선호하거나 싫어하는 활동들에서 차이를 보였다. 통제 반은 생각 할 기회가 많이 주어진 창의 활동들 중에서 두 가지(categorization and a creative role play)와 `Listen and Repeat` 를 제일 많이 선호하였고 그 이유는 생각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서 이다. 하지만 창의 활동중 하나인 Creative chant는 가장 싫어하는 활동 중 하나로 뽑혔는데 이에 대한 이유는 너무나 생각하게 하기 때문과 너무나 많은 그룹토의 때문이었다. 통제 반이 제일 선호하는 활동들은 게임과 `Listen and Repeat`, 그리고 읽기 활동이며 이에 대한 이유에서 생각할 기회가 많아서 라는 이유는 단 한 사람도 선택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느낀 점은 학생들이 감당 할 만큼의 적절한 창의 활동들은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언어를 연습하게 하는 활동과의 적절한 조합을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수업의 형태가 아닌가 하는 조심스런 결론에 이르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roduces four types of creativity enhancing activities(CEAs) that can be implemented as part of English lessons for 6<sup>th</sup>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s the students` perceptions toward them. A total o...

      This study introduces four types of creativity enhancing activities(CEAs) that can be implemented as part of English lessons for 6<sup>th</sup>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s the students` perceptions toward them. A total of 122 6<sup>th</sup>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61 of them being enrolled i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respectively. For this study, one unit of an English textbook was used. While the control group mainly used textbook activities for each lesson, the experimental group used six different CEAs in place of six textbook activities across six English lessons over a two-week period. The study employ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analysis for more robust data analysis and triangulation of the data. After the experiment, each participant in both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completed a post survey and several students were chosen to take part in an interview. The survey results for both groups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English lesson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showing greater positivity. There were discrepancie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gard to the activities they liked and disliked. Whereas the control group students preferred the game-like activities, many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preferred some CEAs to other textbook activities due to the opportunities they provided to use their thinking skills. This research showed a positive effect of CEAs on Korean primary school learners` English learning and it also revealed possibilities of implanting CEAs in regular English lessons for Korean primary school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