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니어 세대의 기능성 침대 디자인 속성 도출을 위한 사용성 평가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Usability Evaluation for Deriving Attribute of Functional Bed Design of Senior Gen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932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본 연구는 저출산과 고령화의 가속화에 따른 사회적 부담이 아닌 시니어 세대들의 연장된 삶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따라서 시니어 소비자의 비중이 ...

      연구배경 본 연구는 저출산과 고령화의 가속화에 따른 사회적 부담이 아닌 시니어 세대들의 연장된 삶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따라서 시니어 소비자의 비중이 확대되면서 활성화된 시니어 비즈니스 분야 중 헬스케어 제품인 기능성 침대를 의료기기가 아닌 건강관리를 위한 가정용 기능성 침대로 개발하기 위하여 신규제품으로써 갖추어야 할 기본 속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사용자의 특징인 시니어 세대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신체접촉을 통해 구동되는 제품의 속성에 따라 ‘사용성’을 우선하여 디자인 개발사례들을 수집하고, 비교 연구하여 제품 속성에 따른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기초자료로써 사례분석 내용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이론적 고찰로써 사용성과 사용성 평가의 개념과 정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발전과정과 경향을 살펴보고 디자인 사용성 평가사례 비교를 통해 일반제품과 유사제품으로 나누어 사용성 평가항목을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기능성 침대의 사용목적과 환경에 따라 평가항목을 재분류 하였으며, 포괄적인 국제표준(ISO)에서 정의된 사용성 평가항목을 제품의 속성에 따라 평가요소인 유효성, 효율성, 만족도로 나뉘어 재정의 하였다. 또한, 기능성 침대 디자인 개발에 적절한 제품의 속성으로 6가지를 분류하고 설명하였다. 그 분류된 속성으로는 안전한 사용과 견고한 구조, 그리고 손쉬운 조작이며 나머지는 부가적인 속성으로 기능적 편의, 심미적 만족, 간편한 관리이다.
      결론 향후 사용성 평가사례 연구를 통해 도출된 사용성 평가요소의 개념을 기초하여 기능성 침대(매트리스)와 리모컨으로 구분된 사용성 평가요소의 세부항목을 구성하고 직접적인 접촉으로 구동되는 제품의 속성에 따라 ‘안정성’을 강조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후속적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is study focused on the social changes caused by extended life of the senior generation, not the social burden caused by low birthrate and aging. therefore it intends to derive the attribute of functional bed, a health care product among ...

      Background This study focused on the social changes caused by extended life of the senior generation, not the social burden caused by low birthrate and aging. therefore it intends to derive the attribute of functional bed, a health care product among the activated senior business fields by the proportion of senior consumers is increased, which changed from medical device to health care product.
      Methods Design cases around 'usability' were collected by product attributes that work by physical contact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senior gen., and case analysis and implication was proposed as basic data of design guidelines according to product attributes. A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thi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rends are examin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usability and usability evaluation. And the usability factors were divided into general products and similar products by comparing the design usability cases.
      Results Evaluation factors were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environment of the functional bed, the usability evaluation factors defined by ISO were redefined by dividing them into effectiveness, satisfaction, efficiency, which are evaluation factors by product attributes. In addition, six categories are described as attributes for design development of functional bed. The categorized attributes are safe use, solid structure, and easy operation, and the rest are additional attributes such as functional convenience, aesthetic satisfaction, and easy management.
      Conclusion In the future, hoping to continue a study on design guideline emphasizing 'stability' with details of usability factors separated by functional bed (mattress) and remote control based on the concept of usability evaluation factors derived from usability case stud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현용, "친고령 제품 사용성 평가를 위한체험관 활용방안" 24 : 27-, 2015

      2 통계청, "주요인구지표"

      3 이건표, "제품 디자인에 있어서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연구" (18) : 139-, 1996

      4 강병기, "전동침대의 인체측정학적 분석과 높이에 따른 기립 동작의 기초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28 (28): 125-137, 2009

      5 김용준, "인간중심의 사용성평가" 무역경영사 4-, 2017

      6 김장석, "실버세대를 위한 의료용 기능성 침대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2 (12): 123-134, 2011

      7 조하경, "사용성 평가에 기반한 센서 기반 헬스 케어 스마트 의류의 모형 개발" 한국감성과학회 11 (11): 81-90, 2008

      8 정광태, "보행보조차의 인체측정학적 분석 및 사용성 평가를 통한 디자인 개선" 대한인간공학회 28 (28): 17-26, 2009

      9 구원회, "뇌졸중 환자를 위한 상지재활훈련기기 Easy-Flex의 사용성 평가" 디자인연구소 16 (16): 71-80, 2017

      10 권오정, "노인의 주택 내 연속이동보조장치 시용성 평가" 38 (38): 238-, 2018

      1 장현용, "친고령 제품 사용성 평가를 위한체험관 활용방안" 24 : 27-, 2015

      2 통계청, "주요인구지표"

      3 이건표, "제품 디자인에 있어서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연구" (18) : 139-, 1996

      4 강병기, "전동침대의 인체측정학적 분석과 높이에 따른 기립 동작의 기초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28 (28): 125-137, 2009

      5 김용준, "인간중심의 사용성평가" 무역경영사 4-, 2017

      6 김장석, "실버세대를 위한 의료용 기능성 침대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2 (12): 123-134, 2011

      7 조하경, "사용성 평가에 기반한 센서 기반 헬스 케어 스마트 의류의 모형 개발" 한국감성과학회 11 (11): 81-90, 2008

      8 정광태, "보행보조차의 인체측정학적 분석 및 사용성 평가를 통한 디자인 개선" 대한인간공학회 28 (28): 17-26, 2009

      9 구원회, "뇌졸중 환자를 위한 상지재활훈련기기 Easy-Flex의 사용성 평가" 디자인연구소 16 (16): 71-80, 2017

      10 권오정, "노인의 주택 내 연속이동보조장치 시용성 평가" 38 (38): 238-, 2018

      11 오은혜, "노인소비자를 고려한 사용성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13 (13): 101-121, 2010

      12 형성은, "국내외 사용성 평가를 통한 공공자전거디자인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6 (16): 512-521, 2010

      13 서효민, "고령자를 위한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UI 사용성 평가영역의 개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9 (19): 1759-1767, 2018

      14 김영아, "고령자 중심 욕창예방 매트리스 사용성 평가"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10 (10): 1-8, 2018

      15 유재성, "가정 요양용 전동침대의 사용성평가 지표 개발"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8 (18): 45-55, 2016

      16 이태문, "[지금 동경은] 액티브 시니어세대에게 필요한 것들"

      17 박재현, "UX 평가 및 분석의 이해" 청문각 2017

      18 박서연, "U-실버세대를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및 연동 게임의 서비스 디자인 방안 탐색: 개인 맞춤형 운동처방 실행을 위한 흥미 유도 목적의 U-Hospital 솔루션" 한국감성과학회 22 (22): 23-34, 2019

      19 박서기, "IoT 기술 발전으로 침대의 지능화급진전"

      20 형준희, "4차 산업혁명이 열어줄 시니어비즈니스 시대, ICT 비즈니스의 사례와 시사점"

      21 명순영, "4차 산업혁명 물결 타고시니어 비즈니스 급성장"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dustrial design -> JOURNAL OF INDUSTRIAL DESIG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8 0.06 0.21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