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소통의 시대 대통령의 이미지에 관한 주관성 연구 = Typology Study on an Image of President in Age of Commun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734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work was researched by practical method in a subjectivity study accessible in-depth, in sloughing off old habit of functional quantity analysis about Reception Type on an Image of President in Age of Communication.
      The perception pattern come out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in Q-methodology. The result is as follows ; it is that divided ‘1<(N=4): Scholarly Type>, 2<(N=4): humanity Type>, 3<(N=4):Exemplary Type>’. Like this, it found that is very different type all over.
      Hereafter, this study is to ascertain acceptance behavior about Reception Type on an Image of President in Age of Communication,21th ; to offer a developmental suggestion about it.
      번역하기

      This work was researched by practical method in a subjectivity study accessible in-depth, in sloughing off old habit of functional quantity analysis about Reception Type on an Image of President in Age of Communication. The perception pattern come out...

      This work was researched by practical method in a subjectivity study accessible in-depth, in sloughing off old habit of functional quantity analysis about Reception Type on an Image of President in Age of Communication.
      The perception pattern come out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in Q-methodology. The result is as follows ; it is that divided ‘1<(N=4): Scholarly Type>, 2<(N=4): humanity Type>, 3<(N=4):Exemplary Type>’. Like this, it found that is very different type all over.
      Hereafter, this study is to ascertain acceptance behavior about Reception Type on an Image of President in Age of Communication,21th ; to offer a developmental suggestion about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소통의 시대 대통령의 이미지 유형에 관하여 이미 사용되어 온 기능적 수량분석에서 한 걸음 나아가 보다 심층적이고 본질적인 의미에 접근할 수 있는질적 분석방법의 하나가 되는 Q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은 소통의 시대 대통령의 이미지 유형에 관하여 일반인들의 수용 유형을유형별로 분류해서 이들 간의 특성을 알아보고 향후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분석된 내용은 크게 총 3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제 1유형<(N=4): 학자적유형(Scholarly Type)>, 제 2유형<(N=4): 인도적 유형(humanity Type)>, 제 3유형<(N=4): 모범생 유형(Exemplary Type)>으로서, 각 유형마다 독특한 특징이 있는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과적으로, 지금까지 소통의 시대 대통령의 이미지 유형과 관련하여 일반대중의 사회적, 심리적 특성이나 라이프스타일 유형화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다양한 문화 수용과 평가에 따른 타겟별 대중의 유형화 작업은다양하게 연구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많은 개선책을 제시할 수 있겠다. 따라서 추후 발전된 연구방향은 소통의 시대 대통령의 이미지 유형에 대한 구체적인 이용자들의 인식 특성과 행태를 연결하여 분석하는 것이 요청된다.
      번역하기

      이 논문에서는 소통의 시대 대통령의 이미지 유형에 관하여 이미 사용되어 온 기능적 수량분석에서 한 걸음 나아가 보다 심층적이고 본질적인 의미에 접근할 수 있는질적 분석방법의 하나...

      이 논문에서는 소통의 시대 대통령의 이미지 유형에 관하여 이미 사용되어 온 기능적 수량분석에서 한 걸음 나아가 보다 심층적이고 본질적인 의미에 접근할 수 있는질적 분석방법의 하나가 되는 Q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목적은 소통의 시대 대통령의 이미지 유형에 관하여 일반인들의 수용 유형을유형별로 분류해서 이들 간의 특성을 알아보고 향후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분석된 내용은 크게 총 3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제 1유형<(N=4): 학자적유형(Scholarly Type)>, 제 2유형<(N=4): 인도적 유형(humanity Type)>, 제 3유형<(N=4): 모범생 유형(Exemplary Type)>으로서, 각 유형마다 독특한 특징이 있는것으로 파악되었다. 결과적으로, 지금까지 소통의 시대 대통령의 이미지 유형과 관련하여 일반대중의 사회적, 심리적 특성이나 라이프스타일 유형화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다양한 문화 수용과 평가에 따른 타겟별 대중의 유형화 작업은다양하게 연구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많은 개선책을 제시할 수 있겠다. 따라서 추후 발전된 연구방향은 소통의 시대 대통령의 이미지 유형에 대한 구체적인 이용자들의 인식 특성과 행태를 연결하여 분석하는 것이 요청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웅, "후보 이미지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사회인지론적 설명 : 15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43 (43): 252-, 1998

      2 조기숙, "한국 유권자의 정당본위 투표" 1 (1): 156-183, 1995

      3 안광식, "커뮤니케이션과 투표형태 : 제 13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25 : 75-123, 1990

      4 조선일보, "첫 대선 예비주자 11명 이미지 조사. 2002년 3월 4일"

      5 김흥규, "주관성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이해" 6 (6): 1-11, 1992

      6 김학수, "정치인 이미지의 새 조사방법"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997

      7 김광수, "정치 광고 후보자의 이미지에 끼치는 영향 : 광고태도를 중심으로" 9 : 69-88, 1998

      8 월간조선,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각 후보 모습. 2월호"

      9 김혜성, "대학생의 정치지도자의 이미지에 대한 Q 방법론 연구: 이명박 대통령을 중심으로"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18 (18): 53-93, 2010

      10 중앙일보, "대선주자 ‘빅’리더쉽 집중탐구. 2002년 10월 27일"

      1 이준웅, "후보 이미지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사회인지론적 설명 : 15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43 (43): 252-, 1998

      2 조기숙, "한국 유권자의 정당본위 투표" 1 (1): 156-183, 1995

      3 안광식, "커뮤니케이션과 투표형태 : 제 13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25 : 75-123, 1990

      4 조선일보, "첫 대선 예비주자 11명 이미지 조사. 2002년 3월 4일"

      5 김흥규, "주관성 연구를 위한 Q방법론의 이해" 6 (6): 1-11, 1992

      6 김학수, "정치인 이미지의 새 조사방법"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997

      7 김광수, "정치 광고 후보자의 이미지에 끼치는 영향 : 광고태도를 중심으로" 9 : 69-88, 1998

      8 월간조선,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각 후보 모습. 2월호"

      9 김혜성, "대학생의 정치지도자의 이미지에 대한 Q 방법론 연구: 이명박 대통령을 중심으로"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18 (18): 53-93, 2010

      10 중앙일보, "대선주자 ‘빅’리더쉽 집중탐구. 2002년 10월 27일"

      11 중앙일보, "국민의 눈에 비친 대선주자들. 1996년 9월 23일"

      12 노성종, "‘숙의’와 ‘참여’의 공존 : 대화의 숙의수준에 따른 정치적 이견의 경험과 정치참여의 관계 탐색" 한국언론학회 53 (53): 173-197, 2009

      13 "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B&i=124139&v=44"

      14 Mendelberg, T., "The deliberative citizen: Theory and evidence, In Political Decision Making, Deliberation, and Participation: Research in Micropolitics (Vol. 6)" JAI press 151-193, 2002

      15 Stephenson, W., "The Study of Behavior : Q-Technique and Its Method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27, 1954

      16 김흥규,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45-, 1990

      17 선우동훈, "Q방법론에 의한 소비자행동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11) : 7-, 1991

      18 Bohman, J., "Public deliberation: Pluralism, complexity, and democracy" MIT Press 1996

      19 Simmon, S. J., "Health: A Concept Analysis" 26 (26): 155-161, 1989

      20 Chambers, S., "Deliberative democratic theory" 6 : 307-326, 2003

      21 Stephenson, W., "Consciousness Out-Subjectivity, In The Psychological Record" 18-, 1968

      22 이제영, "2012 여성 대선후보 정치인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8) : 145-182, 2013

      23 양승목, "(디지털 시대의) 사회적 소통, 매체 그리고 문화적 실천"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63-84,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61 0.81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