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 애장왕대의 종묘개편과 천자 지향 = The Jongmyo Reforms and Cheonja Orientation of the Silla King Aejang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94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애장왕대의 종묘개편에 반영된 지위 관념을 분석한 글이다. 애장왕대의 개편은 『예기정의』와 대력 14년(779)의 묘의를 참고하여 王肅의 설에 따라, 제후 5묘로서 二昭二穆의 친묘 4...

      이 글은 애장왕대의 종묘개편에 반영된 지위 관념을 분석한 글이다. 애장왕대의 개편은 『예기정의』와 대력 14년(779)의 묘의를 참고하여 王肅의 설에 따라, 제후 5묘로서 二昭二穆의 친묘 4를 부묘하고 태종대왕과 문무대왕의 불훼묘를 소목의 수에서 별립한 것이었다. 두 대왕은 여전히 종묘에 모셔진 것이므로, 두 대왕의 별립을 근거로 원성왕계의 확립을 말하기 어렵다.
      혜공왕대의 개편으로 태종대왕과 문무대왕은 백제와 고구려를 평정한 大功德으로 대대로 허물지 않는 宗이 되었다. 이는 천자가 功德에 따라 祖宗을 세운 것과 같다. 신문왕 12년(692)의 태종 묘호 논쟁은 조종의 호를 둘러싼 갈등이었다. 태종호에 반영된 천자의식은 혜공왕대의 개편으로 문무왕까지 확대되었다. 조종은 시조와 같은 불훼묘였는데, 이는 시조와 같은 공통의 조상이 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원성왕은 ‘조종의 만파식적’을 계승할 수 있었고, 애장왕은 두 대왕을 계속 종묘에 모실 수 있었다.
      皇祖, 皇考의 皇은 황제, 皇家를 의미한다. 이는 漢 宣帝가 皇考廟를 설립한 것과 唐 중종이 신룡 원년(705)에 종묘를 복원하며 皇家의 태묘, 皇考, 皇兄이라 표현한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애장왕대에 친묘 4를 부묘한 것은 증조 할아버지인 원성왕과 함께 할아버지인 혜충대왕을 계속 모시기 위한 것이었다. 섭정인 김언승은 개편을 통해 원성왕이 구축한 황가가 황조 혜충대왕과 황고 소성대왕으로 이어지는 것을 드러낼 수 있었다. 결국 애장왕대의 개편은 원성왕계라는 왕족의 확립이자 인겸계라는 근친 왕족의 분지화를 꾀한 것이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ext analyzes the Jongmyo reforms that occurred during the second year of the reign of King Aejang (801) and traces the concepts of rank reflected in the reforms. The reforms at the time referred to the discussion on the Jongmyo(廟議) in the 14...

      This text analyzes the Jongmyo reforms that occurred during the second year of the reign of King Aejang (801) and traces the concepts of rank reflected in the reforms. The reforms at the time referred to the discussion on the Jongmyo(廟議) in the 14th year of dali(大曆) of Tang(779) and lijizhengyi(禮記正義) that follows Wang Su(王肅)'s interpretation. Therefore King Taejong and King Munmu were excluded from the number of zhaomu(昭穆). Placed the four shrines of blood relatives(親廟 4) means that the number of the ancestral tablet(廟數) was five royal shrines(諸侯五廟) of two of zhao(昭) and two of mu(穆). The two great kings still was placed the Jongmyo. Therefore it is hard to say that King Wonseong's bloodline was established because their tablet was located in another p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Hyegong, King Taejong and King Munmu became the permanent ancestral tablet(宗) for their great achievements(大功德) in conquering Baekje and Goguryeo. This follows the logic of Giving the name 'Jojong(祖宗)' to ancestors with great achievements in the Cheonja seven shrine system. And Jojong means common ancestor. The dispute of The title Taejong in the 12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hinmun (692) was a conflict over the title of Jojong The title Jojong was extended to King Munmu due to the reform of King Hyegong's reign. This perception continued into the reign of Aejang.
      Hwang(皇) in Hwangjo(皇祖) and Hwanggo(皇考) means emperor and Imperial Family. This can be seen through two things. One is that king Xuandi(宣帝) of Han(漢) built a Hwanggomyo(皇考廟). The other is the discussion on the Jongmyo(廟議) in the first years of Shenlong of Tang(705). It can be said that the reforms were made to maintain the permanent memorial tablets of the two kings, who were common ancestors, while at the same time keeping the memorial tablets of King Wonseong, who was the king's great-grandfather, and King Hyechung, who was the king's grandfather. In the end, through reform, the near-chin royal family called the lineage of Ingyeom(Hyechung) was established within the royal family called the lineage of King Wonseo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서"

      2 김용천, "한 선제기 예제 논의-‘위인후자’예설의 변화를 중심으로-" 33 : 1999

      3 주보돈, "통일신라의 (릉)묘비에 대한 몇 가지 논의" 9 : 2012

      4 "자치통감"

      5 "예기정의"

      6 "예기"

      7 정병섭, "역주 예기집설대전 제법" 학고방 2015

      8 정병섭, "역주 예기집설대전 곡례" 학고방 2015

      9 채미하, "애장왕・헌강왕대의 대일외교와 그 활용" 신라사학회 (44) : 149-184, 2018

      10 김영하, "신라중대사회연구" 일지사 2007

      1 "한서"

      2 김용천, "한 선제기 예제 논의-‘위인후자’예설의 변화를 중심으로-" 33 : 1999

      3 주보돈, "통일신라의 (릉)묘비에 대한 몇 가지 논의" 9 : 2012

      4 "자치통감"

      5 "예기정의"

      6 "예기"

      7 정병섭, "역주 예기집설대전 제법" 학고방 2015

      8 정병섭, "역주 예기집설대전 곡례" 학고방 2015

      9 채미하, "애장왕・헌강왕대의 대일외교와 그 활용" 신라사학회 (44) : 149-184, 2018

      10 김영하, "신라중대사회연구" 일지사 2007

      11 나희라, "신라의 국가제사" 지식산업사 2003

      12 나희라, "신라의 국가제사" 지식산업사 2003

      13 채미하, "신라의 冊封儀禮와 그 기능" 한국사학회 (127) : 55-96, 2017

      14 이기동, "신라골품제사회와 화랑도" 일조각 1984

      15 이기동, "신라골품제사회와 화랑도" 일조각 1984

      16 안주홍, "신라 혜공왕대의 종묘제 개편과 그 함의" 부산경남사학회 (111) : 121-152, 2019

      17 최병헌, "신라 하대사회의 동요" 국사편찬위원회 3 : 1981

      18 이문기, "신라 하대 정치와 사회 연구" 학연문화사 2015

      19 김창겸, "신라 하대 국왕과 정치사" 온샘 2018

      20 박남수, "신라 문무대왕의 삼국통일과 宗廟制 정비" 신라사학회 (38) : 263-316, 2016

      21 채미하, "신라 국가제사와 왕권" 혜안 2008

      22 "신당서"

      23 "삼국사기"

      24 변태섭, "묘제의 변천을 통하여 본 신라사회의 발전과정" 8 : 1964

      25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타베이스"

      26 "구당서"

      27 최순권, "고려전기 오묘제의 운영" 66 : 1988

      28 濱田耕策, "新羅國史の硏究" 吉川弘文館 2002

      29 濱田耕策, "新羅國史の硏究" 吉川弘文館 2002

      30 濱田耕策, "新羅國史の硏究" 吉川弘文館 2002

      31 최홍조, "新羅 哀莊王代의 政治改革과 그 性格" 한국고대사학회 (54) : 301-366, 2009

      32 윤경진, "新羅 中代 太宗(武烈王) 諡號의 追上과 재해석" 고려사학회 (53) : 213-252, 2013

      33 신성곤, "宗廟 制度의 탄생-宗廟의 공간과 배치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문화연구소 (57) : 41-67, 2014

      34 朱溢, "唐宋時期太廟廟數的變遷" (98) : 2010

      35 戶崎哲彦, "唐代における太廟制度の變遷" 262・263 : 1989

      36 김용천, "前漢末의 廟議와 功德·宗變論 ― 宗法관념의 변용과 확장 ―" 중국고중세사학회 (18) : 313-347, 2007

      37 이희덕, "[단행본] 韓國古代 自然觀과 王道政治" 혜안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23 통합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6 1.36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