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아스포라 재일한인의 '귀환': 한국사회에서의 경험과 정체성 = Returning Ethnic Koreans from Japan in Korea: Experiences and Identiti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ethnic Korean 'returnees' from Japan focusing on their experiences in Korea and reception/perception of returning Koreans-in-Japan in Korean society. I also explore how experiences in Korea affect ethno-national identities and sens...

      This paper examines ethnic Korean 'returnees' from Japan focusing on their experiences in Korea and reception/perception of returning Koreans-in-Japan in Korean society. I also explore how experiences in Korea affect ethno-national identities and sense of belonging and loyalty for the returnees.
      Among the overseas diasporic Korean groups, the distinct feature of Koreans-in-Japan lies in that their history originated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and attitudes toward them in Korea are deeply influenced by the (post)coloni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which is not always congenial. Because of the (post)colonial relationship, many Koreans keep negative attitudes toward Japan, the Japanese, and Japanese culture and these negative feelings are often projected on ethnic returnees from Japan. Another characteristic of Koreans-in- Japan as an ethnic minority group within a nation-state is their high level of cultural assimilation coupled with a low level of structural assimilation. Thus, most of the second or third generation returnees have legal nationality of Korea and/but are inept in Korean culture including the language. But for many Koreans who tend to think Korean blood, culture, and nationality as a set required to make ‘a proper Korean,’ cultural incompetence of the returnees is hard to understand. What is worse, the native culture and language of the returnees in this case is ‘Japanese.’
      Thus, Korean people often show high level of intolerance toward the returnees and hesitate to include them as fellow Koreans. The returnees, on the other hand, go through unexpected institutional barriers and prejudices and become disenchanted with their 'homeland'. Their former identities as a 'Korean' become challenged and problematized, and many come to embrace “jaeilgyopo” identities instea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조국’으로 ‘귀환’(return)한 재일한인(在日韓人)의 경험과 이들에 대한 한국사회의 수용과 인식을 고찰한다. 구체적으로는 일본에서 태어나서 자란 재일한인 젊은이들이 ...

      이 연구에서는 ‘조국’으로 ‘귀환’(return)한 재일한인(在日韓人)의 경험과 이들에 대한 한국사회의 수용과 인식을 고찰한다. 구체적으로는 일본에서 태어나서 자란 재일한인 젊은이들이 한국행을 선택하게 되는 배경과 목적, 한국에서의 경험, 그리고 이러한 경험이 그들의 귀속의식과 정체성에 끼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다른 디아스포라 귀환 사례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재일한인의 사례가 갖는 독특한 이론적 함의에도 주목한다.
      해외 거주 디아스포라 한인 중 재일한인이 갖는 특수성은 그 역사가 식민지배에 기원을 두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한국사회의 반응과 태도가 식민지배의 역사와 일본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다. 적지 않은 한국인들은 일본, 일본인, 일본문화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으며, 이런 감정은 종종 귀환한 재일한인에게 투사된다. 국민국가 속에 살아가는 소수 민족집단으로서 재일한인의 또 다른 특징은 이들이 문화적으로는 현지사회에 높은 동화양상을 보이면서도 구조적으로는 낮은 수준으로 동화되어 있는 점이다. 한국행을 하는 재일한인 후손 대다수는 한국국적을 유지하고 있지만, 언어를 포함해 한국문화에 대해선 무지하거나 서투르다. 그러나 많은 한국인들은 재일한인 귀환자의 한국문화에 대한 무지를 이해하기 힘들어 하며, 그들을 동료 ‘한국인’으로 포함시키길 주저한다. 그 결과 ‘보다 온전한 한국인’이 되기 위해 한국으로 온 재일한인 귀환자들은 ‘조국’에 도착해 여러 종류의 예상치 못한 어려움과 편견을 경험하면서 자신의 민족적 정체성을 수정하거나 타협해 간다. 재일한인 귀환자들은 한국에 오면 ‘더 진짜 한국인’이 될 거라 기대했지만 ‘한국인이 될 수 없음’을 깨닫게 되고, ‘자이니치’(在日), 혹은 ‘재일교포’라는 범주를 자신의 정체성으로 긍정해 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대성, "한국에게 재일동포란 무엇인가 in : 재일조선인 그들은 누구인가" 삼인 50-67, 2003

      2 유끼(구라시게 정우희), "한국에 유학하는 자이니치(在日) 학생의 삶과 문화" 서울대학교 2001

      3 권숙인, "재일한인의 아이덴티티: ‘제3의 길’을 중심으로 in : 한국문화인류학의 이론과 실천" 소화출판사 499-520, 2000

      4 이정훈, "재일동포의 민족 정체성에 관한 연구: 재일동포 모국 수학생의 경우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1997

      5 정구미, "재일교포 2.5세 ‘노란구미’의 한국·일본 이야기" 안그라픽스 2005

      6 권숙인, "일본사회의 변화와 민족문제의 새로운 전개" 19 (19): 181-210, 2004

      7 이혜경,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 조선족 사례를 중심으로" 40 (40): 258-298, 2006

      8 유명기, "민족과 국민 사이에서: 한국체류조선족들의 정체성 인식에 관하여" 35 (35): 73-100, 2002

      9 전형권, "모국의 신화, 노동력의 이동, 그리고 이탈: 조선족의 경험에 대한 디아스포라적 해석" 38 : 135-160, 2006

      10 서경식, "난민과 국민사이" 돌베개 2006

      1 정대성, "한국에게 재일동포란 무엇인가 in : 재일조선인 그들은 누구인가" 삼인 50-67, 2003

      2 유끼(구라시게 정우희), "한국에 유학하는 자이니치(在日) 학생의 삶과 문화" 서울대학교 2001

      3 권숙인, "재일한인의 아이덴티티: ‘제3의 길’을 중심으로 in : 한국문화인류학의 이론과 실천" 소화출판사 499-520, 2000

      4 이정훈, "재일동포의 민족 정체성에 관한 연구: 재일동포 모국 수학생의 경우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1997

      5 정구미, "재일교포 2.5세 ‘노란구미’의 한국·일본 이야기" 안그라픽스 2005

      6 권숙인, "일본사회의 변화와 민족문제의 새로운 전개" 19 (19): 181-210, 2004

      7 이혜경,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가적 가족: 조선족 사례를 중심으로" 40 (40): 258-298, 2006

      8 유명기, "민족과 국민 사이에서: 한국체류조선족들의 정체성 인식에 관하여" 35 (35): 73-100, 2002

      9 전형권, "모국의 신화, 노동력의 이동, 그리고 이탈: 조선족의 경험에 대한 디아스포라적 해석" 38 : 135-160, 2006

      10 서경식, "난민과 국민사이" 돌베개 2006

      11 福岡安則, "在日韓國·朝鮮人" 中央公論社 1998

      12 金泰永, "アイデンティティ·ポリテックスを超えて―在日朝鮮人のエスニシティ" 世界思想社 1999

      13 權肅寅, "とアイデンテイテイの分化と統合: 貌する在日韓人社會の地平 in : 中心と周?からみた日韓社?の諸相" 慶應義塾大?出版 257-294, 2007

      14 박재명, "「나는 한국 국적을 가진 외국인」. 중앙일보 대학생 기획·탐사기사 우수상(중앙일보 2004. 9. 30)"

      15 권혁태, "「‘재일조선인’과 한국사회: 한국사회는 재일조선인을 어떻게 ‘표상’해 왔는가" 78 : 234-267, 2007

      16 Kashiwazaki, "To be Korean without Korean Nationality: Claim to Korean Identity by Japanese Nationality Holders in : Koreans in Japana" East Rock Institute 48-70, 2000

      17 Levy, Daniel, "The Politicization of Ethnic German Immigrants: The Transformation of State Priorities in : Ethnic Migrants, London & Portland" Frank Cass 289-304, 2003

      18 Tsuda, Takeyuki, "Strangers in the Ethnic Homeland: Japanese Brazilian Return Migration in Transnational Perspectiv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

      19 Linger,Daniel Touro., "No One Home: Brazilian Selves Remade in Japa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1

      20 Befu, Harumi., "Hegemony of Homogeneity: An Anthropological Analysis of Nihonjinron" Trans Pacific Press 2001

      21 Dietz, Barbara., "German and Jewish Migration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to Germany: Background, Trends, and Implications" 26 (26): 635-652, 2000

      22 Kulu, Hill, "Ethnic Return Migration from the East and the West: The Case of Estonia in the 1990s" 52 (52): 349-369, 2000

      23 Munz, Rainer., "Ethnic German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and their Return to Germany in : Diaspora and Ethnic Migrants, London & Portland" Frank Cass 261-271, 2003

      24 Mz, Rainer, "Diaspora and Ethnic Migrants: Germany, Israel and Post-Soviet Successor States in Comparative Perspective, London & Portland" Frank Cass 2003

      25 Roth, Joshua Hotaka., "Brokered Homeland: Japanese Brazilian Migrants in Japan" Cornell University Press 2002

      26 Iglicka,Krystyna., "Are They Fellow Countrymen or Not?: The Migration of Ethnic Poles from Kazakhstan to Poland" 32 (32): 995-1014, 1998

      27 Tsuda, Takeyuki (Gaku), "Acting Brazilian in Japan: Ethnic Resistance among Return Migrants" 39 (39): 55-71, 2000

      28 李進熙編, "<在日>はいま:在日韓?人·朝鮮人の?後五十年" 靑丘文化史 1996

      29 朴 一, "<在日>という生き方: 差異と平等のジレンマ" 講談社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37 0.6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