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신성 고혈압의 중증도에 따른 임상적 고찰 = Original Reports : A Clinical Report of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according to the Sever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5248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임신성 고혈압으로 진단된 산모의 임상적 자료를 분석하여 임신성 고혈압 연구에 기초를 삼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0년 11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1년 동안 삼성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

      임신성 고혈압으로 진단된 산모의 임상적 자료를 분석하여 임신성 고혈압 연구에 기초를 삼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0년 11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1년 동안 삼성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진찰을 받고 분만하여 임신결과가 확인된 8,159예의 산모 중 임신성 고혈압으로 진단 된 212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임신성 고혈압의 발생빈도와 다태임신 및 임신성 당뇨와 임신성 고혈압과의 관계 및 모체와 신생아 합병증의 분포 등을 경증과 중증 임신성 고혈압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 중 임신성 고혈압의 발생율은 2.6%였고, 경증이 53.3%, 중증이 46.7%, 자간증은 한 예도 없었다. 중증도에 따른 임신성 고혈압의 발생 빈도는 임신부의 나이, 분만 횟수, 쌍태 임신 여부, 임신성 당뇨 여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분만 주수 21~28주 군과 33~36주 군에서는 중증 임신성 고혈압의 빈도가 경증에 비해 의미 있게 많았고 (p<0.05), 신생아 체중이 5 백분위수 미만인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중증 임신성 고혈압의 빈도가 경중에 비해 많았다 (p<0.05). 모성 합병증은 중증 임신성 고혈압에서 산모 빈혈과 조기진통의 합병증이 경증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p<0.05). 태아 및 신생아 합병증은 자궁내 발육 지연이 중증 임신성 고혈압에서 의미 있게 증가 된 것( p<0.05)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합병증은 임신성 고혈압의 중증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establish the baseline data for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PIH). From November 2000 through October 2001, a total of 212 women diagnosed as PIH and delivered at Samsung Cheil Hospita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establish the baseline data for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PIH). From November 2000 through October 2001, a total of 212 women diagnosed as PIH and delivered at Samsung Cheil Hospita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obstetric and neonatal records, then analyzed the incidence, maternal complications, and neonatal outcome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PIH. The incidence of PIH was 2.6% (mild and severe form was 59% and 41%, respectively). In maternal age, parity, number of fetus (singletone or multiple pregnancy), and gestational diabetu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cidence between mild and severe form of PIH. But, the women with severe PIH delivered more frequently at 21~28 and 33~36 gestational weeks than in mild form (p<0.05). Among fetuses with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IUGR), a group with birth weight below the population 5 percentile was more frequent in severe than in mild form of PIH (p<0.05). As to maternal, fetal and neonatal complications of PIH, maternal anemia, preterm labor, and IUGR were more frequently founded in severe form of PIH than in mild. We could not found significant different frequency in other complication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abruptio placenta, pulmonary edema, low apgar score, meconium staine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intracranial hemorrhage) between mild and severe form of PIH.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