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시대 소리미술의 공간과의 상호적 관계성 연구 = A study on mutual relationship of contemporary sound art with sp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349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미술사의 영역 안에서 소리미술의 이론적, 역사적인 계보를 추적하며 소리가 공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구성함을 밝힌 연구이다. 소리미술은 2000년을 전후로 개최...

      본 논문은 미술사의 영역 안에서 소리미술의 이론적, 역사적인 계보를 추적하며 소리가 공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구성함을 밝힌 연구이다. 소리미술은 2000년을 전후로 개최된 전시들을 통해 제도권에 등장한 이후 현재까지 시각예술 안에서 흥미로운 이슈로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음악과 미술의 경계선상에 있는 위치상의 이유로 소리미술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소리미술을 미술사안에서 해석할 수 있는 위치를 마련하기 위하여 소리미술이 등장하게 된 이론적 배경과 미술사 내에서의 역사를 추적해보았으며 동시대 소리미술작업들이 공간과의 다양한 관계를 형성하는 양상들을 고찰해보았다.
      연구자는 소리미술이 아직까지 하나로 합의된 개념적 정의가 부족하다는 사실을 전제로 하면서 ‘공간성’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19세기 말 기계화와 도시화로 인해 소음이 등장하면서 소리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었고, 소리를 기록할 수 있는 기술 또한 발전했다. 이러한 사회적, 경제적 배경을 바탕으로 20세기 초 미래주의자들은 소음을 예술의 영역으로 가져왔다.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의 반-예술적 태도에서 나타난 우연성에 기반한 소리의 등장은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매체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작곡가 존 케이지(John Cage)는 미래주의자들에 의해 예술적 가치가 부여된 소음을 자신의 작업 속에서 활용하면서 청취자의 개념을 탄생시키는데 일조하였다. 케이지에게 영향을 받은 백남준은 당시의 기술적 발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소리콜라주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또한 과정을 작업의 중요한 부분으로써 제시하는 가운데 소리가 등장하기도 했고, 비-물질적인 미술의 매체로써 소리가 이용되기도 했다.
      1960년대의 이후 등장한 막스 뉴하우스(Max Neuhaus)와 빌 폰타나(Bill Fontana), 그리고 앨빈 루시에(Alvin Lucier)등으로 대표되는 1세대 소리미술가들은 소리라는 매체를 공간과의 연관성 아래에서 본격적으로 탐구하기 시작했다. 최근에 이르기까지 소리미술가들은 소리를 통해 추상적인 공간(space)에서부터 사회적, 문화적인 맥락을 가진 장소(site)까지 다양한 공간의 특성들을 드러냈다. 소리는 공간을 물리적으로 규정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장소를 체험하고, 재현하는 역할 또한 하게 되었다. 나아가 기술매체의 발전을 활용한 소리미술은 소리를 장소와 분리시켜 재편성하고, 연출적 요소를 삽입하여 변형된 공간의 경험을 만들어 냈다.
      현재 소리미술은 실험음악과 미술의 경계에 위치하여 심도 있는 연구나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며 이러한 측면에서 소리미술의 개념을 ‘공간성’에 주목하여 공간과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작업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은 미술사에서 소리미술의 위치를 구축할 수 있게 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소리가 공간 안에서 단순히 존재하는 것 이상의 상호적 관계를 만드는 과정들을 살펴보면서 공간과 장소를 표현하는 매체의 하나로써 소리의 가능성을 재고해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dissertation reveals that the sound art creates diversified listener-audience experience through interplay between sound and spatiality, while tracing theoretical and historical genealogy of sound art within the framework of art history. Introduc...

      This dissertation reveals that the sound art creates diversified listener-audience experience through interplay between sound and spatiality, while tracing theoretical and historical genealogy of sound art within the framework of art history. Introduced through exhibitions held around 2000, Sound Art has marked its position in art world as an interesting field of art practice. However, for Sound Art is considered to be on the borderline between Art and music, theoretical study on Sound Art has not yet been done extensively. Therefore, this dissertation aims to examine sound art under the scope of art history, and to elaborate upon diverse aspects of relationship between spatiality and sound in works of contemporary Sound Art. Based on the preposition that there is no current agreed theoretical definition of sound art in the art historical narrative, this dissertation pays attention to the notion of spatiality.
      Followed by mechanization and urbanization in the ninetieth century, the concept of noise had been introduced and broadened awareness towards sound. Technology for sound recording was developed as well. With this socio-economic background, Futurist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rought Noise into the realm of Art. The idea of aleatory sound, which is in alignment with Marcel Duchamp’s anti-art attitude, proposed that noise can be used as an artistic medium. Composer John Cage, too, used noise in his works and made contribution in making the concept of ‘listener’. Nam June Paik, with the influence of Cage, created sound collage by making us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the time. In addition, sound has either been discussed with the approach to present the artistic process as crucial part of artworks, or been used as a Dematerialistic artistic medium.
      The first generation of sound artists-such as Max Neuhaus, Bill Fontana, and Alvin Lucier, who had emerged in late 1960s-started to explore Sound as a medium, focusing on its correlation with spatiality. Until recently, sound artists have revealed various aspects of spatiality with sound, from ‘space’: abstract existence; and ‘site’: construed from socio-cultural context. Sound not only defines a physical site but also represents a space, enabling audiences to experience it. Furthermore, taking advantage of development in media technology, sound art rearranges sound by detaching sound from the space it is generated from, and gives listeners an experience of altered space by inserting staged elements.
      This dissertation aims to situate sound art into the narrative of art history by examining artworks in light of relationship between sound and spatiality. Sound is not an element merely exists in space, but one of artistic mediums for expressing ideas on space, or site, generating mutual interaction with space itsel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문제제기
      • 2. 선행연구와 논문의 구성
      • II. 이론적 배경
      • 1. 개념정의
      • I. 서론
      • 1. 문제제기
      • 2. 선행연구와 논문의 구성
      • II. 이론적 배경
      • 1. 개념정의
      • 2. 소리와 소음
      • 3. 녹음과 재생
      • III. 20세기의 소리미술의 역사
      • 1. 소음예술
      • 2. 다다와 뒤샹의 발화
      • 3. 음악과 미술의 경계에서
      • 1) 존 케이지와 플럭서스
      • 2) 백남준의 소리콜라주
      • 4. 과정의 매체로써 소리
      • IV. 소리미술과 공간
      • 1. 소리를 통한 공간구축
      • 2. 소리를 통한 실제공간의 체험
      • 3. 소리채집을 통한 공간의 상기
      • 4. 분리를 통한 공간의 재편성
      • 5. 연출된 소리를 통한 공간의 변형
      • V. 결론
      • 참고도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