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구지가> 융합교육 방안 연구 : 수로왕 신화와 가야사를 연계한 교육방법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532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at we will cover in this paper is Gujiga, one of the ancient songs we know. <Gujiga> is a work that is consistently 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books among the three ancient songs.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ha...

      What we will cover in this paper is Gujiga, one of the ancient songs we know. <Gujiga> is a work that is consistently 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books among the three ancient songs.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hanges in the frequency increase and decrease did not appear suddenly. However, as it moved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number of ancient songs was rapidly reduced.
      In the case of the 7th curriculum, 13 of the 18 upper and lower textbooks accounted for 13, and the 2009 revised Literature I and II textbooks were included in 10 out of 14, and the 2011 revised literature textbook was included in 7 out of 11 . From the 7th to the 2011 revised curriculum, <Gujiga> has a very high retention rate compared to <Gongdo Doga> and <Hwanggaga>, whose rates in literature textbooks have changed rapidly. However, in the cas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literature textbook, there are only three textbooks containing <Gujiga>. Compared to the past curriculum,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ce in weight was significantly reduced.
      <Gujiga>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of ancient songs, which has a major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ancient people's life and culture (traditional culture) at the time. Gujiga is expected to have been transmitted through the process of oral orthodoxy between the tribes and the tribes by calling them as a new song at the time, especially when they inferred the song lyrics. This corresponds to the theory that <Guji> has a magical propensity. However, in this paper, we see <Gujiga> as the origin and the Youngsingunga (song to greet the king). In addition, along with <Gujiga>, the story of the birth of the waterway king related to the work and some records of "Garakkukki" and Gaya We are going to explore and connect and explore and design a converg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Korean literature,'literature' and social studies,'Korean history'.
      This study analyzes the educational pattern of <Gujiga>, one of the ancient songs included in the textbooks, examines the background stories of <Gujiga> related stories, and interests students without focusing on injectable education that can be boring. I would like to suggest a teaching-learning course plan that can have fun and participate in learning.
      In this paper, we see <Gujiga> as the origin and the Youngsingunga (song to greet the king). In addition, along with <Gujiga>, we also look at some records of "Garakkukki" related to the myth of King Suro, and Gayasa. By utilizing myths related to the King of the Waterway among various stories related to <Gujiga> in various ways, we also explore and connect with the literary education together with the Gayasa, and design a converg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related to Korean literature,'literature' and social studies, and'Korean history'. I want to do it. The method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let's take a look at the theory of <Gujiga> and <Suro King Myth>, Gayasa, definition and model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theories about Korean language and convergence educatio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Second, it is about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and content of the ancient song. The past and present, that is, the literary education goals of the 2011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ill b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1 revised literature textbooks and the 2015 revised literature textbooks, and the ancient songs of each curriculum textbook. We will compare and analyze the collecting aspect, learning goals, and learning activities.
      Third, I will design a convergence education class plan for <Gujiga>.
      I would like to create a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for convergence classes that link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social studies, “Korean history” to the ancient song <Gujiga>. In addition to theoretical learning, theatrical creation and demonstration activities will be conducted together.
      In this study, I saw <Gujiga> as an origin and a spirit god (song to greet the king) with an epic personality related to <Suro King Myth>, not just a shaman. We tried to design and study the converg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Korean literature,'literature' and social studies,'Korean history', by examining and linking some records of Gayakgukgi and Gayasa together. Instead of simply relying on memorization, I tried to organize the act of creating and demonstrating a single act as a device to increase students' desire for learning with theory.
      No actual experiments have been done, but the responses from the field teachers have been found to be positive. I will try when I go to the scene someday.



      Key words
      <Gujiga> Research on convergence education. A study on the education plan of <Gujiga>, the myth of King Suro, the history of Gaya, and fusion of literature and hist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번 논문에서 다루게 될 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고대가요 중 하나인 <구지가>이다. <구지가>는 앞에서 언급한 세 편의 고대가요 중 문학 교과서에 꾸준히 수록되는 작품이다. 7차 교...

      이번 논문에서 다루게 될 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고대가요 중 하나인 <구지가>이다. <구지가>는 앞에서 언급한 세 편의 고대가요 중 문학 교과서에 꾸준히 수록되는 작품이다. 7차 교육과정을 시작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차지하는 빈도수의 증가 및 감소에 대한 변화가 급격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넘어오면서 고대가요의 편성 수는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7차 교육과정의 경우, 문학 상, 하 교과서 총 18종 중 13종을 차지하였고, 2009 개정 문학Ⅰ,Ⅱ 교과서는 14종 중 10종, 2011 개정 문학 교과서의 경우 11종 중 7종에 수록되었다. 7차부터 2011년 개정 교육과정까지 문학 교과서에서 수록된 비율이 급변한 <공무도하가>와 <황조가>에 비하면 <구지가>는 그 유지 비율이 매우 높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2015 개정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의 경우 <구지가>를 수록한 교과서는 3종에 불과하다. 과거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비중의 차이는 확연하게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구지가>는 고대가요의 대표주자로 손꼽히는데, 이는 당시 고대인들의 생활과 문화(전통문화)가 함께 어울려짐을 파악하는데 주요한 의의를 둔다. <구지가>는 특히 노래 가사를 보아 유추하였을 때, 당시 고대인들이 신맞이 노래로서 이를 부름으로서 부족과 부족 사이에서 입에서 입으로 구비전승의 과정을 통해 전해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구지가>가 주술적 성향을 지니고 있다는 이론에 해당한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구지가>를 기원 및 영신군가(왕을 맞이하는 노래)라고 보고 이와 더불어 <구지가>와 함께 작품과 관련된 수로왕의 탄생신화와 「가락국기」의 일부기록, 그리고 가야사를 함께 살펴보고 연계하여 탐구하고 이와 관련된 국어과 ‘문학’과 사회과 ‘한국사’ 융합 교수 학습 방법을 설계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고대가요 중 하나인 <구지가>에 대한 교육양상을 분석하고 <구지가>와 관련된 설화의 배경 설화를 함께 살펴보며, 자칫 지루할 수 있는 주입식 교육 위주에 치우치지 않고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즐겁게 학습에 참여할 수 있는 교수 학습 과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지가>를 기원 및 영신군가(왕을 맞이하는 노래)라고 보고 이와 더불어 <구지가>와 함께 수로왕의 탄생신화와 관련된「가락국기」의 일부기록, 그리고 가야사를 함께 살펴보고, 아울러 <구지가>와 관련된 여러 설화 중 수로왕과 관련된 신화를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하여 문학교육과 함께 가야사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고 연계하여 탐구하고 이와 관련된 국어과 ‘문학’과 사회과 ‘한국사’ 융합 교수 학습 방법을 설계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구지가>와 <수로왕 신화>, 가야사, 융합 교육의 정의와 모형, 국어과 융합 교육에 관한 이론들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둘째, 고대가요 <구지가>에 대한 교육 현황과 교육 내용에 대한 부분이다. 과거와 현재 즉, 2011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문학 교육 목표에 대하여 살펴보고, 2011 개정 문학 교과서와 2015 개정 문학 교과서의의 특징과 각 교육과정 교과서의 고대가요 <구지가> 에 대한 작품의 수록 양상과 학습 목표, 학습 활동 등을 비교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셋째, <구지가> 융합 교육 수업 방안을 설계해 보도록 하겠다.
      고대가요 <구지가>에 대한 국어과 ‘문학’과 사회과 ‘한국사’를 연계한 융합 수업을 위한 교수 학습 지도안을 만들어보고자 한다. 이론 학습과 함께 연극 창작과 시연 활동을 함께 시행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지가>를 단순히 주술가가 아닌 <수로왕 신화>와 연관된 서사적 성격을 지닌 기원 및 영신군가(왕을 맞이하는 노래)라고 보고 이와 더불어 <구지가>와 함께 작품과 관련된 수로왕의 탄생신화와 「가락국기」의 일부기록, 그리고 가야사를 함께 살펴보고 연계하여 탐구하고 이와 관련된 국어과 ‘문학’과 사회과 ‘한국사’ 융합 교수 학습 방법을 설계해 보고자하였다. 단순히 암기식에 의존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이론과 함께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욕구를 높일 수 있는 하나의 장치로서 단막극 창작 및 시연 활동을 함께 구성해보았다.
      실제 실험은 해보지 못하였으나, 현장 교사의 반응은 긍정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언젠가 현장에 가게 되면 시도해 볼 예정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 목적 1
      • 2. 선행 연구 검토 3
      • 1) <구지가> 교육 방안 선행 연구 3
      • 2) 국어과 융복합 교육 선행 연구 10
      • I. 서 론 1
      • 1. 연구 목적 1
      • 2. 선행 연구 검토 3
      • 1) <구지가> 교육 방안 선행 연구 3
      • 2) 국어과 융복합 교육 선행 연구 10
      • 3. 연구의 대상과 방법 12
      • Ⅱ. 이론적 배경 13
      • 1. <구지가> 관련 논의와 역사 교육 13
      • 2. <구지가>의 교육 내용과 작품 이해 18
      • 3. 융합 교육의 정의와 모형 25
      • 1) 융합 교육의 정의 25
      • 2) 융합 교육의 특성 26
      • 3) 융합 교육 모형의 종류 28
      • (1) 다학문적 모형 28
      • (2) 간학문적 모형 29
      • (3) 탈학문적 모형 29
      • 4) 국어의 교과 융합 교육 31
      • (1) 융합 교육으로서 국어교육 - 문화의 관점 31
      • (2)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국어교육 32
      • Ⅲ. <구지가> 교육 현황과 교육 내용 33
      • 1. 문학 교육과정의 목표 33
      • 2. 개정 문학 교과서의 특징 35
      • 1) 2011 개정 문학 교과서의 특징 35
      • 2) 2015 개정 문학 교과서의 특징 37
      • 3. 문학교과서의 <구지가> 교육 양상 42
      • 1) 문학 교과서의 <구지가> 수록 현황 42
      • (1) 2011 개정 문학 교과서의 <구지가> 수록 현황 42
      • (2) 2015 개정 문학 교과서의 <구지가> 수록 현황 44
      • 2)<구지가>의 학습 목표 비교 분석 47
      • (1) 2011 개정 문학 교과서의 <구지가> 학습 목표 비교 분석 47
      • (2) 2015 개정 문학 교과서의 <구지가> 학습 목표 비교 분석 58
      • 3)<구지가> 학습 활동 비교 분석 65
      • (1) 2011 개정 문학 교과서의 <구지가> 학습 활동 비교 분석 65
      • (2) 2015 개정 문학 교과서의 <구지가> 학습 활동 비교 분석 83
      • Ⅳ. <구지가> 융합 교육 수업 방안의 실제 99
      • 1. <구지가> 융합 교육 체계 설정 99
      • 1) <구지가> 융합 교육을 위한 학습 목표 설정 99
      • 2) <구지가> 융합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 설정 101
      • 3) <구지가> 융합 교육을 위한 학습 활동 설정 102
      • 2. <구지가> 융합 교육 방안의 실제 104
      • 1) <구지가> 융합 교육 단원 구성 104
      • 2) <구지가> 융합 교육 단원 구성에 따른 교수 학습 지도 방안 제시 126
      • (1) 1차시 127
      • (2) 2차시 138
      • (3) 3차시 148
      • (4) 4차시 157
      • 3) <구지가> 융합 교육 교수 학습 지도안 평가 164
      • Ⅴ. 결 론 166
      • <참 고 문 헌> 168
      • <부 록> 173
      • 부록1. 설문지 174
      • 부록2. 지도안 평가지 176
      • 부록3. 수업용 PPT 1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