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절개지 사면의 생태환경 복원을 위한 자생식물 조합 = Native Plants Combination for Ecological Environmental Restoration of the Dissected Sloping A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suggest the native plants combination for restoration of the dissected sloping area, the plant communities of thirty seven quadrats from five localities of mid-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were surveyed from 2007 to 2008. Their flora, vegetati...

      To suggest the native plants combination for restoration of the dissected sloping area, the plant communities of thirty seven quadrats from five localities of mid-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were surveyed from 2007 to 2008. Their flora, vegetation structure, and dominant species based on the importance value were investigated. And the soil characters (pH, moisture content, water holding capacity, and organic matter) of each dominant species were analyzed. Also, germination tests were performed to check the stability of restored native plants using seed chips. As a result, 79 native plants were suggested for the dissected sloping area: 20 trees and subtrees for the upper layer, 18 shrubs and vines for the middle layer, and 41 herbs for the lower layer, taken together their flora, dominant species, vegetation structure, soil condition, germination test, flowering perio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보현, "폐탄광 경석지 식생 복원을 위한 식물군집 조사 분석" 3 (3): 33-42, 2000

      2 김계훈, "토양학" 향문사 2006

      3 김선관, "토양학" 그린토마토 2008

      4 남언정, "재래 초?목본 식물 위주의 비탈면녹화 시공지에 대한식생 변화에 관한 연구-모니터링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70-82, 2007

      5 우보명, "임업산림공학" 향문사 1995

      6 이미정, "임도 절토비탈면의 식생천이- 충청도를 중심으로 -" 한국임학회 92 (92): 397-408, 2003

      7 고정현, "일본의 비탈면 녹화공법 발전과정과 전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9 (9): 112-120, 2006

      8 정진현,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 91 (91): 694-700, 2002

      9 김귀순, "쓰레기 매립지 녹화에 적합한 자생식물 조사 및 선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1 (11): 62-73, 2008

      10 문형태, "상수리나무림과 리기다소나무림의 낙엽 생산과 분해" 17 (17): 345-353, 1994

      1 김보현, "폐탄광 경석지 식생 복원을 위한 식물군집 조사 분석" 3 (3): 33-42, 2000

      2 김계훈, "토양학" 향문사 2006

      3 김선관, "토양학" 그린토마토 2008

      4 남언정, "재래 초?목본 식물 위주의 비탈면녹화 시공지에 대한식생 변화에 관한 연구-모니터링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70-82, 2007

      5 우보명, "임업산림공학" 향문사 1995

      6 이미정, "임도 절토비탈면의 식생천이- 충청도를 중심으로 -" 한국임학회 92 (92): 397-408, 2003

      7 고정현, "일본의 비탈면 녹화공법 발전과정과 전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9 (9): 112-120, 2006

      8 정진현,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 91 (91): 694-700, 2002

      9 김귀순, "쓰레기 매립지 녹화에 적합한 자생식물 조사 및 선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1 (11): 62-73, 2008

      10 문형태, "상수리나무림과 리기다소나무림의 낙엽 생산과 분해" 17 (17): 345-353, 1994

      11 건설교통부, "비탈면 녹화 설계 및 시공 잠정 지침" 건설교통부 2005

      12 이지혜, "백두대간 도로사면의 생태적 녹화를 위한 자생수종 선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1 (11): 67-74, 2008

      13 송호경, "백두대간 도로 절토비탈면의 녹화수종 선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52-59, 2007

      14 김남춘, "녹화식생의 생육이 사면녹화 및 경관조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1

      15 김원, "금오산에서 산화지와 비산화지의 식물군집구조 비교" 19 (19): 55-64, 1995

      16 김남춘, "고속도로 절?성토 비탈면 녹화 공법의 적용 실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1-15, 2007

      17 우보명, "고속도로 절토비탈면의 식생천이에 관한 연구:중부고속도로를 중심으로" 85 (85): 347-359, 1996

      18 김남춘, "경관훼손지의 생태적 복구방안에 관한 연구" 1 (1): 28-44, 1998

      19 서형민, "Seed chip을 이용한 임도사면녹화" 5 (5): 10-18, 2007

      20 서형민, "Seed chip을 이용한 암벽사면녹화" 5 (5): 139-148, 2007

      21 Braun-Blanquet, J, "Pflanzensoziologie, Grundzugeder Vegetadion stunde" Wien. 1964

      22 Magee, G. S., "Native plant communities as a model for vegetating detention basins in the Georgia Piedmont M. S" thesis.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1983

      23 Turner, M. G., "Landscape heterogeneity and disturbance" Springer-Verlag 1987

      24 Curtis, J. T.,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32 : 476-496, 195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3-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2 0.458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