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향교석전: 강릉향교․인천향교"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2 안세현, "한말~일제강점기 강릉향교의 변화와 지역사회에서의 역할 -花山學校의 설립을 중심으로-" 한국한문고전학회 38 (38): 355-392, 2019
3 안세현, "한말~일제강점기 강릉지역 유림의 활동 양상과 그 의미 - 지역사회에서 유교문화의 현대적 계승과 과제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9 : 109-140, 2019
4 강대민, "한국의 향교 연구" 경성대 출판부 1992
5 임호민, "지역사 자원의 교육자료 활용방안 탐색" 서경문화사 2009
6 "증보 강릉향교지" 강릉향교 2009
7 임호민, "조선시대 향촌조직 결성의 양상과 추이 고찰 -강릉지방의 사레를 중심으로-" 강원사학회 (27) : 93-121, 2015
8 임호민, "조선시대 사회의 모습" 집문당 2003
9 장정룡, "일제강점기 강릉고적보존회 역할과 고전출판" 강원발전연구원 2006
10 한길로, "일제 말 지방 유림의 동향과 친일시의 국면 - 강릉 유림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60) : 304-338, 2016
1 "향교석전: 강릉향교․인천향교"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2 안세현, "한말~일제강점기 강릉향교의 변화와 지역사회에서의 역할 -花山學校의 설립을 중심으로-" 한국한문고전학회 38 (38): 355-392, 2019
3 안세현, "한말~일제강점기 강릉지역 유림의 활동 양상과 그 의미 - 지역사회에서 유교문화의 현대적 계승과 과제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9 : 109-140, 2019
4 강대민, "한국의 향교 연구" 경성대 출판부 1992
5 임호민, "지역사 자원의 교육자료 활용방안 탐색" 서경문화사 2009
6 "증보 강릉향교지" 강릉향교 2009
7 임호민, "조선시대 향촌조직 결성의 양상과 추이 고찰 -강릉지방의 사레를 중심으로-" 강원사학회 (27) : 93-121, 2015
8 임호민, "조선시대 사회의 모습" 집문당 2003
9 장정룡, "일제강점기 강릉고적보존회 역할과 고전출판" 강원발전연구원 2006
10 한길로, "일제 말 지방 유림의 동향과 친일시의 국면 - 강릉 유림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60) : 304-338, 2016
11 이충형, "오봉서원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영동문화연구소 5 : 1994
12 방동인, "영동지방향토사연구자료총서 2(書院․學校Ⅰ)" 관동대영동문화연구소 1994
13 안세현, "시호 박원동의 생애와 활동 연구: 일제강점기 강릉 유교문화의 정리와 계승" 강원연구원 강원학연구센터 2020
14 차장섭, "선교장과 관동 사대부가의 삶"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9
15 권오영, "근대이행기의 유림" 돌베개 2012
16 "강릉향교칠백년사지" 강릉향교 2013
17 박도식, "강릉의 12향현" 채륜 2018
18 금창헌, "강릉 화산학교의 설립과 운영에 관한 연구" 관동대 영동문화연구소 8 : 2001
19 김풍기, "강릉 지역 詩社 주춘사의 한시집 <住春詩話> 에 대하여" 강원대 강원문화연구소 34 : 2015
20 차장섭, "강릉 선교장의 형성과 발전" 한국학중앙연구원 (39) : 6-33, 2018
21 박민영, "閔龍鎬의 江陵義兵 抗戰에 대한 연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 : 1991
22 朴元東, "詩湖文集" 강원출판사 1993
23 朴元東, "詩湖居士日記(필사본 5책)"
24 "江陵金氏大同譜"
25 朴元東, "江陵鄕賢行錄: 幷江陵鄕賢祠沿革" 江陵鄕賢祠 1931
26 朴元東, "江陵鄕校實記"
27 "江陵朴氏世譜"
28 이청희, "復齋 閔龍鎬의 義兵活動" 관동대 영동문화연구소 6 : 1985
29 崔東吉, "五峰書院古蹟" 三山書齋 1931
30 朴元東, "五峯書院實記(필사본 1책)"
31 임호민, "18세기 강릉지방 사족․관․문중간의 갈등양상" 관동대 인문학연구소 9 : 2005
32 임호민, "18~19C 강릉 鄕儒의 爭端과鄕校의 役割" 한국역사민속학회 (43) : 231-257, 2013
33 이규대, "17세기 초반 江陵지방 栗谷鄕約의 성격" (사)율곡학회 27 : 71-101, 2013
34 이규대, "17세기 江陵地方의 士族과 향약 조직" 관동대 영동문화연구소 3 :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