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이 직원몰입을 매개로 구성원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피드백 추구행동의 조절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261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구성원의 자발적인 행동을 의미하는 친사회적 행동이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과 어떠한 영향 관계를 갖는지 파악하고, 두 변인 사이에서 직원몰입의 매개효과와 피드백 추구행동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조직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친사회적 행동을 유발하기 위한 인적자원관리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은 직원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직원몰입은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친사회적 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가? 넷째, 포용적 리더십과 직원몰입 사이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다섯째, 직원몰입과 친사회적 행동 사이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국내 기업에 재직중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한 총 282부의 응답을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친사회적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포용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직원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포용적 리더십과 친사회적 행동 사이에서 직원몰입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피드백 추구행동은 포용적 리더십과 직원몰입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피드백 추구행동은 직원몰입과 친사회적 행동 사이에서 변인 간 영향을 완화시키는 완화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리더는 최근 관계 리더십으로 주목받고 있는 포용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및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구성원과의 관계는 의사소통에 대한 개방성 및 유용성을 바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리더는 구성원과의 의사소통 방식, 관계의 질을 점검하여 긍정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셋째, 리더는 포용적 행동과 더불어 직원들이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한다. 즉 구성원이 조직 내에서 정서적 경험의 질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 할 필요성이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구성원의 자발적인 행동을 의미하는 친사회적 행동이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과 어떠한 영향 관계를 갖는지 파악하고, 두 변인 사이에서 직원몰입의 매개효과와 피드백 추구행동의...

      본 연구는 구성원의 자발적인 행동을 의미하는 친사회적 행동이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과 어떠한 영향 관계를 갖는지 파악하고, 두 변인 사이에서 직원몰입의 매개효과와 피드백 추구행동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조직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친사회적 행동을 유발하기 위한 인적자원관리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은 직원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직원몰입은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친사회적 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가? 넷째, 포용적 리더십과 직원몰입 사이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다섯째, 직원몰입과 친사회적 행동 사이에서 피드백 추구행동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국내 기업에 재직중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한 총 282부의 응답을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친사회적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포용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직원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포용적 리더십과 친사회적 행동 사이에서 직원몰입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피드백 추구행동은 포용적 리더십과 직원몰입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피드백 추구행동은 직원몰입과 친사회적 행동 사이에서 변인 간 영향을 완화시키는 완화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 리더는 최근 관계 리더십으로 주목받고 있는 포용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및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구성원과의 관계는 의사소통에 대한 개방성 및 유용성을 바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리더는 구성원과의 의사소통 방식, 관계의 질을 점검하여 긍정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셋째, 리더는 포용적 행동과 더불어 직원들이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한다. 즉 구성원이 조직 내에서 정서적 경험의 질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 할 필요성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ro-social Behavior, which means voluntary behavior of members, has an impact on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Engagement and Feedback-seeking Behavior between the two sides.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provide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measures to induce pro-social behaviors that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earch question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is set as follows: First, Does the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effect members' pro-social behavior? Second, Does the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have a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Third, Does employee engagemen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and members' pro-social behavior? Fourth, Do feedback-seeking behaviors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Fifth, Does feedback-seeking behavior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mployee engagement and pro-social behavio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workers working for domestic companies to verify research problems. A total of 282 survey responses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does not directly effect the members’ pro-social behavior. Second, it is confirmed that inclusive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Third, it is confirmed that employee engagement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pro-social behavior. Fourth, feedback-seeking behavior does not appear to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pro-social behavior. Fifth, feedback-seeking behavior has a buffering effect that mitigates between employee engagement and pro-social behavio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In term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t is necessary for leader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clusive leadership,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relational leadership, and to provide various types of leadership education programs and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so that they can put it into action. Second, since the relationship with the members is formed based on openness and usefulness to communication, the leader should make an effort to maintain a positive relationship by checking the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members. Third, leaders must create an environment where employees can engage with inclusive behavior.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in which members can positively improve the quality of emotional experiences within the organiz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ro-social Behavior, which means voluntary behavior of members, has an impact on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Engagement and Feedback-seeking Behavior bet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ro-social Behavior, which means voluntary behavior of members, has an impact on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Engagement and Feedback-seeking Behavior between the two sides.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provide implication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measures to induce pro-social behaviors that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earch question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is set as follows: First, Does the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effect members' pro-social behavior? Second, Does the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have a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Third, Does employee engagemen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and members' pro-social behavior? Fourth, Do feedback-seeking behaviors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Fifth, Does feedback-seeking behavior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mployee engagement and pro-social behavio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workers working for domestic companies to verify research problems. A total of 282 survey responses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does not directly effect the members’ pro-social behavior. Second, it is confirmed that inclusive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Third, it is confirmed that employee engagement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pro-social behavior. Fourth, feedback-seeking behavior does not appear to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employee engagement. pro-social behavior. Fifth, feedback-seeking behavior has a buffering effect that mitigates between employee engagement and pro-social behavio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In term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t is necessary for leader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clusive leadership,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relational leadership, and to provide various types of leadership education programs and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so that they can put it into action. Second, since the relationship with the members is formed based on openness and usefulness to communication, the leader should make an effort to maintain a positive relationship by checking the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quality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members. Third, leaders must create an environment where employees can engage with inclusive behavior.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in which members can positively improve the quality of emotional experiences within the organiz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문제 8
      • C. 용어의 정의 9
      • Ⅱ. 이론적 배경 11
      • Ⅰ. 서 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연구문제 8
      • C. 용어의 정의 9
      • Ⅱ. 이론적 배경 11
      • A. 포용적 리더십 11
      • B. 친사회적 행동 15
      • C. 직원몰입 20
      • D. 피드백 추구행동 25
      • E. 변인 간의 관계 30
      • Ⅲ. 연구 방법 36
      • A. 연구모형 36
      • B. 연구대상 36
      • C. 측정도구 39
      • D. 측정모형 평가 42
      • E. 자료 분석 방법 45
      • Ⅳ. 연구 결과 48
      • A. 연구변인의 기술통계 분석결과 48
      • B. 연구변인 간 영향관계 분석결과 50
      • C. 연구변인 간 경로분석 결과 53
      • Ⅴ. 결론 58
      • A. 요약 58
      • B. 논의 및 결론 59
      • C. 제언 65
      • 참고문헌 67
      • <부 록> 설문문항 84
      • 국문초록 90
      • ABSTRACT 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