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요본 연구는 밀의 생육시기 중 유묘기와 성숙기에 가뭄 스트레스를 부여하고 각 시기에 측정한 엽록소 함량을 비교하여 가뭄 저항성 계통과 생육우수자원을 선발하고 GWAS를통해 가뭄 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19248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4-306(1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적 요본 연구는 밀의 생육시기 중 유묘기와 성숙기에 가뭄 스트레스를 부여하고 각 시기에 측정한 엽록소 함량을 비교하여 가뭄 저항성 계통과 생육우수자원을 선발하고 GWAS를통해 가뭄 스...
적 요본 연구는 밀의 생육시기 중 유묘기와 성숙기에 가뭄 스트레스를 부여하고 각 시기에 측정한 엽록소 함량을 비교하여 가뭄 저항성 계통과 생육우수자원을 선발하고 GWAS를통해 가뭄 스트레스와 연관된 SNP및 유용유전자를 탐색한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핵심집단에서 가뭄 스트레스에 대하여 저항성 계통으로선발된 자원은 시기별로 수집한 엽록소의 함량차이값과비율, DTI를 고려하여 상,하위 5계통에 동시에 속한cc31을 제외한 상위 계통인cc12, cc26, cc102, cc110, cc113, cc118, cc507, cc512, cc576, cc694, cc834, cc845, cc1234, cc1360, cc1792, cc1884, cc1912 총17계통이 선발되었다. 특히 cc694와 cc1884는 엽록소함량차이값과 비율에서 모두 선발된 자원이다.
2. 전장유전체 연관분석(GWAS) 결과 1A, 1B, 5B, 5D, 7D 에서 유의성이 있는 SNP를 발굴하였으며 발굴된 SNP는AX-95204454, AX-95238538, AX-95260370, AX-95139321, AX-94434693였다.
3. 발굴된 SNP를 중심으로 인근의 후보 유전자군을 분석한 결과 TraesCS7D02G188000 (aldehyde oxygenase), TraesCS5B02G505500 (F-box domain)을 발굴하였다.
4. AX-95204454는 SNP 중에서 전체 핵심집단 내 하플로타입 분석과 상하위 5계통에 대한 대조를 통해 유전자형에 따른 표현형의 유의성이 있어 추후 성숙기에서의 엽록소 함량차이(DTI_difference)를 기준으로 가뭄저항성계통 선발 마커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일리지 옥수수 논 재배 시 토양 물리성 및 침수에 의한 생장반응
남부지역에서 저온기에 고구마 정식시기별 생육 및 수량성 평가
‘바로미2’의 수발아 발생이 종자의 발아 및 어린모 생육에 미치는 영향
중부평야지에서 벼 이앙적기 변동에 적합한 육묘방법 재설정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