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묘기와 성숙기의 엽록소 측정을 이용한 밀 핵심집단의 가뭄 스트레스 관련 전장유전체 분석 =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for Drought Tolerance in Wheat Core Collection by Chlorophyll Measurement during Tillering and Ripening St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192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적 요본 연구는 밀의 생육시기 중 유묘기와 성숙기에 가뭄 스트레스를 부여하고 각 시기에 측정한 엽록소 함량을 비교하여 가뭄 저항성 계통과 생육우수자원을 선발하고 GWAS를통해 가뭄 스트레스와 연관된 SNP및 유용유전자를 탐색한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핵심집단에서 가뭄 스트레스에 대하여 저항성 계통으로선발된 자원은 시기별로 수집한 엽록소의 함량차이값과비율, DTI를 고려하여 상,하위 5계통에 동시에 속한cc31을 제외한 상위 계통인cc12, cc26, cc102, cc110, cc113, cc118, cc507, cc512, cc576, cc694, cc834, cc845, cc1234, cc1360, cc1792, cc1884, cc1912 총17계통이 선발되었다. 특히 cc694와 cc1884는 엽록소함량차이값과 비율에서 모두 선발된 자원이다.
      2. 전장유전체 연관분석(GWAS) 결과 1A, 1B, 5B, 5D, 7D 에서 유의성이 있는 SNP를 발굴하였으며 발굴된 SNP는AX-95204454, AX-95238538, AX-95260370, AX-95139321, AX-94434693였다.
      3. 발굴된 SNP를 중심으로 인근의 후보 유전자군을 분석한 결과 TraesCS7D02G188000 (aldehyde oxygenase), TraesCS5B02G505500 (F-box domain)을 발굴하였다.
      4. AX-95204454는 SNP 중에서 전체 핵심집단 내 하플로타입 분석과 상하위 5계통에 대한 대조를 통해 유전자형에 따른 표현형의 유의성이 있어 추후 성숙기에서의 엽록소 함량차이(DTI_difference)를 기준으로 가뭄저항성계통 선발 마커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적 요본 연구는 밀의 생육시기 중 유묘기와 성숙기에 가뭄 스트레스를 부여하고 각 시기에 측정한 엽록소 함량을 비교하여 가뭄 저항성 계통과 생육우수자원을 선발하고 GWAS를통해 가뭄 스...

      적 요본 연구는 밀의 생육시기 중 유묘기와 성숙기에 가뭄 스트레스를 부여하고 각 시기에 측정한 엽록소 함량을 비교하여 가뭄 저항성 계통과 생육우수자원을 선발하고 GWAS를통해 가뭄 스트레스와 연관된 SNP및 유용유전자를 탐색한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핵심집단에서 가뭄 스트레스에 대하여 저항성 계통으로선발된 자원은 시기별로 수집한 엽록소의 함량차이값과비율, DTI를 고려하여 상,하위 5계통에 동시에 속한cc31을 제외한 상위 계통인cc12, cc26, cc102, cc110, cc113, cc118, cc507, cc512, cc576, cc694, cc834, cc845, cc1234, cc1360, cc1792, cc1884, cc1912 총17계통이 선발되었다. 특히 cc694와 cc1884는 엽록소함량차이값과 비율에서 모두 선발된 자원이다.
      2. 전장유전체 연관분석(GWAS) 결과 1A, 1B, 5B, 5D, 7D 에서 유의성이 있는 SNP를 발굴하였으며 발굴된 SNP는AX-95204454, AX-95238538, AX-95260370, AX-95139321, AX-94434693였다.
      3. 발굴된 SNP를 중심으로 인근의 후보 유전자군을 분석한 결과 TraesCS7D02G188000 (aldehyde oxygenase), TraesCS5B02G505500 (F-box domain)을 발굴하였다.
      4. AX-95204454는 SNP 중에서 전체 핵심집단 내 하플로타입 분석과 상하위 5계통에 대한 대조를 통해 유전자형에 따른 표현형의 유의성이 있어 추후 성숙기에서의 엽록소 함량차이(DTI_difference)를 기준으로 가뭄저항성계통 선발 마커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