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필사본 월천집月川集의 특징과번역의 필요성 = Manuscript 『Wolcheonjip』’s feature andthe need for transl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iscusses the need for 『wolcheonjip』 and translation of the manuscripts of 『wolcheonjip』.
      The original script of the translation project by the Regional Foothold Institute is 『Wolcheonjip』, a printed book put in Volume 38 of 《Whole Korean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The errors and omission of the wood engraving were checked in this book. Yet, 『Wolcheonjip』, the manuscript photoprinted by the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has few of these errors and omission, so it has the merits of supplementing the printed book of 『Wolcheonjip』. In addition, in 「Wolcheonseonsaengeonhaengchogi (月川先生言行草記)」, some parts of the letter about Juhwaohguk, which is known to have been sent to Seoae from Wolcheon, were examined, Wolcheon’s reasoning and recognition and its aspects were understood through Wolcheon’s letter requesting Seoae not to become enthusiastic about Buddhism and 「Hobyeonron」 in which he spontaneously advocated Mencius, and the value was also witnessed. Moreover, it was verified that the direction of Wolcheon’s study had shifted to the manuscript of 『Wolcheonjip』. Therefore, all of these must be dealt with together in the translation of the anthology, and should be investigated for the selection of the original script.
      Most of the translation projects carried out by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now target the anthology put in 《Whole Korean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Not all the anthologies exist in the form of a finalized manuscript or a manuscript like 『Wolcheonjip』. A non-existing anthology cannot be forced to be made, so these kinds of collections are inevitable. However, in case when a finalized manuscript or a manuscript remains, for the translation of the anthology, its validity needs to be investigated historically and closely, a relevant original script must be chosen, and translation should begin after it.
      번역하기

      This paper discusses the need for 『wolcheonjip』 and translation of the manuscripts of 『wolcheonjip』. The original script of the translation project by the Regional Foothold Institute is 『Wolcheonjip』, a printed book put in Volume 38 of 《...

      This paper discusses the need for 『wolcheonjip』 and translation of the manuscripts of 『wolcheonjip』.
      The original script of the translation project by the Regional Foothold Institute is 『Wolcheonjip』, a printed book put in Volume 38 of 《Whole Korean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The errors and omission of the wood engraving were checked in this book. Yet, 『Wolcheonjip』, the manuscript photoprinted by the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has few of these errors and omission, so it has the merits of supplementing the printed book of 『Wolcheonjip』. In addition, in 「Wolcheonseonsaengeonhaengchogi (月川先生言行草記)」, some parts of the letter about Juhwaohguk, which is known to have been sent to Seoae from Wolcheon, were examined, Wolcheon’s reasoning and recognition and its aspects were understood through Wolcheon’s letter requesting Seoae not to become enthusiastic about Buddhism and 「Hobyeonron」 in which he spontaneously advocated Mencius, and the value was also witnessed. Moreover, it was verified that the direction of Wolcheon’s study had shifted to the manuscript of 『Wolcheonjip』. Therefore, all of these must be dealt with together in the translation of the anthology, and should be investigated for the selection of the original script.
      Most of the translation projects carried out by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now target the anthology put in 《Whole Korean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Not all the anthologies exist in the form of a finalized manuscript or a manuscript like 『Wolcheonjip』. A non-existing anthology cannot be forced to be made, so these kinds of collections are inevitable. However, in case when a finalized manuscript or a manuscript remains, for the translation of the anthology, its validity needs to be investigated historically and closely, a relevant original script must be chosen, and translation should begin after 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필사본 『월천집』의 특징과 번역의 필요성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한국국학진흥원에서는 2004년에 이 문집에 대한 해제와 표점을 가미하여 새롭게 영인하였다. 그리하여 최근 들어 필사본 『월천집』의 자료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특히 《한국문집총간》 제38집에 실린 간본 『월천집』을 번역함에 있어 내용상의 차이점을 검토한 결과 간본에는 판각의 오류와 내용의 누락, 그리고 간찰에서 편지를 보낸 시점을 확인할 수 있는 간지干支가 빠져 있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필사본 『월천집』에 수록된 「월천선생언행초기月川先生言行草記」에서 월천이 서애에게 보냈다는 주화오국에 관한 편지의 일부분을 살펴볼 수 있었고, 서애가 불교에 경도되지 말 것을 당부하는 월천의 편지와 맹자의 변호를 자처한 「호변론」을 통해서 월천의 또 다른 사유인식에 대해서 이해하였으며 그 가치성 또한 목도하였다. 한편 월천 연구의 방향이 필사본 『월천집』을 중심으로 그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그러나 모든 문집이 『월천집』처럼 필사본의 형태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필사본 형태로 존재하지 않은 문집은 간본을 중심으로 번역을 진행하고 필사본 『월천집』처럼 정고본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문집을 번역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필사본 『월천집』의 특징과 번역의 필요성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한국국학진흥원에서는 2004년에 이 문집에 대한 해제와 표점을 가미하여 새롭게 영인하였다. 그리하여 최근 ...

      본 논문은 필사본 『월천집』의 특징과 번역의 필요성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한국국학진흥원에서는 2004년에 이 문집에 대한 해제와 표점을 가미하여 새롭게 영인하였다. 그리하여 최근 들어 필사본 『월천집』의 자료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특히 《한국문집총간》 제38집에 실린 간본 『월천집』을 번역함에 있어 내용상의 차이점을 검토한 결과 간본에는 판각의 오류와 내용의 누락, 그리고 간찰에서 편지를 보낸 시점을 확인할 수 있는 간지干支가 빠져 있는 등의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필사본 『월천집』에 수록된 「월천선생언행초기月川先生言行草記」에서 월천이 서애에게 보냈다는 주화오국에 관한 편지의 일부분을 살펴볼 수 있었고, 서애가 불교에 경도되지 말 것을 당부하는 월천의 편지와 맹자의 변호를 자처한 「호변론」을 통해서 월천의 또 다른 사유인식에 대해서 이해하였으며 그 가치성 또한 목도하였다. 한편 월천 연구의 방향이 필사본 『월천집』을 중심으로 그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그러나 모든 문집이 『월천집』처럼 필사본의 형태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필사본 형태로 존재하지 않은 문집은 간본을 중심으로 번역을 진행하고 필사본 『월천집』처럼 정고본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문집을 번역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설석규,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필사본 《월천선생문집》 해제" 한국국학진흥원 5 : 2004

      2 윤천근, "조목의 인간과 사상" 안동문화연구회 5 : 1991

      3 윤천근, "이황의 조목, 조목의 이황"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4 : 2004

      4 "월천서당 간행본 「月川先生文集」"

      5 이필룡, "월천문집 해제" 국립중앙도서관 226 : 1978

      6 장호중, "월천 조목의 현실인식과 시세계" 안동대학교 대학원 1993

      7 금장태, "월천 조목의 학문과 사상" 퇴계학연구원 77 : 1993

      8 윤사순, "월천 조목의 주자학적 심학"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4 : 1996

      9 정만조, "월천 조목의 생애와 학문"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4 : 1996

      10 이종호, "월천 조목의 삶과 생각 그리고 문학" 한국국학진흥원 2007

      1 설석규,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필사본 《월천선생문집》 해제" 한국국학진흥원 5 : 2004

      2 윤천근, "조목의 인간과 사상" 안동문화연구회 5 : 1991

      3 윤천근, "이황의 조목, 조목의 이황"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4 : 2004

      4 "월천서당 간행본 「月川先生文集」"

      5 이필룡, "월천문집 해제" 국립중앙도서관 226 : 1978

      6 장호중, "월천 조목의 현실인식과 시세계" 안동대학교 대학원 1993

      7 금장태, "월천 조목의 학문과 사상" 퇴계학연구원 77 : 1993

      8 윤사순, "월천 조목의 주자학적 심학"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4 : 1996

      9 정만조, "월천 조목의 생애와 학문"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4 : 1996

      10 이종호, "월천 조목의 삶과 생각 그리고 문학" 한국국학진흥원 2007

      11 이종호, "월천 조목의 문학세계 한시작품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4 : 1996

      12 정우락, "월천 조목의 국토 기행과 그 시적 형상" 민족문화연구원 (67) : 215-247, 2015

      13 박철상, "월천 조목의 藏書印" 문헌과 해석사 17 : 2001

      14 권오근, "월천 조목선생" 담수회 11 : 1982

      15 정만조, "월천 조목과 예안지역의 퇴계학맥"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8 : 2000

      16 임재해, "설화에 나타난 조월천의 삶과 그 민중적 인식" 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 : 1991

      17 金澤龍, "韓國歷代文集叢書 2270" 경인문화사 1997

      18 "韓國國學振興院 所藏資料 影印叢書"

      19 李肯翊, "燃藜室記述" 민족문화추진회: 민문고 1989

      20 李榘, "標點影印韓國文集叢刊 속32" 民族文化推進會 2007

      21 金應祖, "標點影印韓國文集叢刊 91" 民族文化推進會 1991

      22 柳成龍, "標點影印韓國文集叢刊 52" 民族文化推進會 1991

      23 李顯益, "標點影印 韓國文集叢刊 속60" 韓國古典飜譯院 2008

      24 鄭蘊, "標點影印 韓國文集叢刊 75" 民族文化推進會 1991

      25 趙穆, "標點影印 韓國文集叢刊 38" 民族文化推進會 1991

      26 이상현, "月川 趙穆의 陶山書院 從享論議 17세기 嶺南士族 動向의 一端" 북악사학회 8 : 2001

      27 琴檏, "晩修齋集"

      28 서정문, "《퇴계집》 간행과 月川西厓 是非" 3 :

      29 김형수, "17세기 초 月川學團과 禮安地域社會의 再建" 민족문화연구원 (65) : 289-318,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62 1.32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