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 ‘본정통’의 장소 기억  :  충무로·명동 일대의 사례 = Place Memories of the Downtown ‘Bonjeong-tong’ : the Case of Chungmu-ro·Myeongdong Area in Seoul,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526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강점기에 기원한 일본식 지명이자 상업 중심지로서의 본정통은 오늘날까지 우리나라 도시들에서 번화가를 일컫는 대명사로 통한다. 이 연구는 서울의 충무로와 명동 일대를 사례로 도시 본정통이 함축하고 있는 다양한 장소 기억들을 탐색한 것이다. 연구자는 장소 기억이라는 개념을 지리학의 입장에서 정초한 다음,이 개념을 매개로 본정통이라는 한 장소에 쌓인 기억의 다층성과 경합성에 주목하며 본정통의 장소 기억을 세가지 층위로 재구성할 수 있었다. ‘식민 권력의 상징’ vs. ‘근대의 표상’, ‘금융 자본주의의 심장’ vs. ‘문화·예술인 의 마당’, ‘유행의 공간’ vs. ‘정체성의 장소’가 그것이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도시에서 우리 삶의 흔적이 여기저기에 수평적으로 산재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 안의 한 장소 그 자체가 일종의 팔림세스트라는 점을 강조하였고, 따라서 도시 공간에 대한 연구에서 수평적 접근보다는 수직적 접근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번역하기

      일제강점기에 기원한 일본식 지명이자 상업 중심지로서의 본정통은 오늘날까지 우리나라 도시들에서 번화가를 일컫는 대명사로 통한다. 이 연구는 서울의 충무로와 명동 일대를 사례로 도...

      일제강점기에 기원한 일본식 지명이자 상업 중심지로서의 본정통은 오늘날까지 우리나라 도시들에서 번화가를 일컫는 대명사로 통한다. 이 연구는 서울의 충무로와 명동 일대를 사례로 도시 본정통이 함축하고 있는 다양한 장소 기억들을 탐색한 것이다. 연구자는 장소 기억이라는 개념을 지리학의 입장에서 정초한 다음,이 개념을 매개로 본정통이라는 한 장소에 쌓인 기억의 다층성과 경합성에 주목하며 본정통의 장소 기억을 세가지 층위로 재구성할 수 있었다. ‘식민 권력의 상징’ vs. ‘근대의 표상’, ‘금융 자본주의의 심장’ vs. ‘문화·예술인 의 마당’, ‘유행의 공간’ vs. ‘정체성의 장소’가 그것이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도시에서 우리 삶의 흔적이 여기저기에 수평적으로 산재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 안의 한 장소 그 자체가 일종의 팔림세스트라는 점을 강조하였고, 따라서 도시 공간에 대한 연구에서 수평적 접근보다는 수직적 접근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onjeong-tong(本町通) which was originated from Japanese place name and commercial center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speaks for downtown in the urban Korea of today.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a variety of place memories that have been layered in Bonjeong-tong in the case of Chungmu-ro and Myeongdong area in Seoul, Korea. The author settles the concept of ‘place memory’ from the viewpoint of the discipline of human geography, and reconstructs place memories of Bonjeong-tong by three folds of layers focusing on the multilayeredness and the contestedness of place memories which have been piled up in Bonjeong-tong; ‘the symbol of colonial power’ vs. ‘the emblem of modernization’, ‘the heart of monetary capitalism’ vs. ‘the ground of humanists and artists’, ‘the space of fashion’ vs. ‘the place of identity’. As a result, the author places emphasis on that a place like Bonjeong-tong in itself within a city is a sort of palimpsest, and suggests tha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opt a vertical approach not a horizontal one for the study on urban space in future.
      번역하기

      Bonjeong-tong(本町通) which was originated from Japanese place name and commercial center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speaks for downtown in the urban Korea of today.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a variety of place memories that have been la...

      Bonjeong-tong(本町通) which was originated from Japanese place name and commercial center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speaks for downtown in the urban Korea of today.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a variety of place memories that have been layered in Bonjeong-tong in the case of Chungmu-ro and Myeongdong area in Seoul, Korea. The author settles the concept of ‘place memory’ from the viewpoint of the discipline of human geography, and reconstructs place memories of Bonjeong-tong by three folds of layers focusing on the multilayeredness and the contestedness of place memories which have been piled up in Bonjeong-tong; ‘the symbol of colonial power’ vs. ‘the emblem of modernization’, ‘the heart of monetary capitalism’ vs. ‘the ground of humanists and artists’, ‘the space of fashion’ vs. ‘the place of identity’. As a result, the author places emphasis on that a place like Bonjeong-tong in itself within a city is a sort of palimpsest, and suggests tha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opt a vertical approach not a horizontal one for the study on urban space in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머리말
      • 2. 서울 ‘본정통’의 기원과 역사지리적 개관
      • 3. 본정통의 장소 기억 : 충무로·명동 일대의 사례
      • 요약
      • Abstract
      • 1. 머리말
      • 2. 서울 ‘본정통’의 기원과 역사지리적 개관
      • 3. 본정통의 장소 기억 : 충무로·명동 일대의 사례
      • 4.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