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95년 이후 정신보건정책에서 나타난 ‘정신질환자’의 정의 ― 내포적 의미와 외연적 변화 = Definition of ‘Person with mental illness’ in Mental Health Policy since 1995: Connotative Meaning and Denotative Chan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16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95년 ‘정신보건법’의 제정 이후 정신보건정책에서 ‘정신질환자의 정의가 어떻게 달라져 왔는가’를 고찰한다. 약 25년간의 정신보건정책 역사는 정신보건법의 제정·개정 과정과 정신보건사업의 변화를 토대로 분석된다. 이를 기반으로 정신질환자의 정의변화를 세 시기로 나누어 설명한다. 정신보건법 제정 직후까지 정신질환자는 주로 만성적인 중증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로서 전문기관의 격리 입원이 필요한 자들로 규정되었다.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정신질환자는 중증질환자뿐 아니라 정신질환의 잠재적 가능성이 있는 사람, 그리고 일상적인 정신관리가 필요한 사람을 포괄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이 시기에는 ‘정신질환자’, ‘정신장애자’, ‘기능저하 정신질환자’라는 개념이라는 혼재했다. 이후 정신질환자는 중증질환자만 지칭하는 것으로 축소되었고 정신보건정책은 대상과 방식이 분리되어 ‘정신질환’과 ‘정신건강증진’의 이중적 관리체제로 분화되었다. 지역의 통합적 관리체제 속에서 정신질환자에 대한 감시와 통제는 강화되었고 전 국민 대상의 정신건강증진사업은 확장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외연적 정의변화에도 불구하고 ‘강제입원의 대상자’라는 내포적 정의는 변화하지 않고 지속되었다. 강제입원의 정당성은 정신보건정책의 법제화와 제도화 속에서 권리, 보호, 돌봄의 논리를 통해 유지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995년 ‘정신보건법’의 제정 이후 정신보건정책에서 ‘정신질환자의 정의가 어떻게 달라져 왔는가’를 고찰한다. 약 25년간의 정신보건정책 역사는 정신보건법의 제정·개정 과...

      본 연구는 1995년 ‘정신보건법’의 제정 이후 정신보건정책에서 ‘정신질환자의 정의가 어떻게 달라져 왔는가’를 고찰한다. 약 25년간의 정신보건정책 역사는 정신보건법의 제정·개정 과정과 정신보건사업의 변화를 토대로 분석된다. 이를 기반으로 정신질환자의 정의변화를 세 시기로 나누어 설명한다. 정신보건법 제정 직후까지 정신질환자는 주로 만성적인 중증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로서 전문기관의 격리 입원이 필요한 자들로 규정되었다.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정신질환자는 중증질환자뿐 아니라 정신질환의 잠재적 가능성이 있는 사람, 그리고 일상적인 정신관리가 필요한 사람을 포괄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 이 시기에는 ‘정신질환자’, ‘정신장애자’, ‘기능저하 정신질환자’라는 개념이라는 혼재했다. 이후 정신질환자는 중증질환자만 지칭하는 것으로 축소되었고 정신보건정책은 대상과 방식이 분리되어 ‘정신질환’과 ‘정신건강증진’의 이중적 관리체제로 분화되었다. 지역의 통합적 관리체제 속에서 정신질환자에 대한 감시와 통제는 강화되었고 전 국민 대상의 정신건강증진사업은 확장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외연적 정의변화에도 불구하고 ‘강제입원의 대상자’라는 내포적 정의는 변화하지 않고 지속되었다. 강제입원의 정당성은 정신보건정책의 법제화와 제도화 속에서 권리, 보호, 돌봄의 논리를 통해 유지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the definition of ‘person with mental illness’ in public health since the enactment of the Mental Health Act in 1995. For 25 years, changes on mental health policy have been based on revisions of the Mental Health Act and historical changes in mental health services. This research locates these definitional changes in three periods. Until just after the enactment of the Mental Health Act, mental illness primarily referred to people with chronic severe mental illness that required hospitalization at specialized medical institutions. By the 2000s, however, this definition expanded to include people with severe illness, people susceptible to mental illness, and those in need of daily mental management. Various concepts such as ‘a person with a mental illness’, ‘a person with a mental disability’, and ‘a person with dysfunctional mental illness’ were mixed during this period. Later, the definition of a person with mental illness was narrowed to refer only to those with severe illness. The mental health policy was also differentiated into a dual management system of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promotion’. Through the regionall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surveillance and control of people living with mental illnesses were strengthened, and mental health services for all citizens were expanded. Despite changes in the denotative definition of a person living with mental illness, the connotative definition stipulating ‘subject to compulsory hospitalization’ remained as part of the working definition for a long time. The legitimacy of compulsory hospitalization was founded on a logic of rights, protection, and care and legislated, institutionalized in mental health policy.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the definition of ‘person with mental illness’ in public health since the enactment of the Mental Health Act in 1995. For 25 years, changes on mental health policy have been based on revisions of the Mental Health Ac...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the definition of ‘person with mental illness’ in public health since the enactment of the Mental Health Act in 1995. For 25 years, changes on mental health policy have been based on revisions of the Mental Health Act and historical changes in mental health services. This research locates these definitional changes in three periods. Until just after the enactment of the Mental Health Act, mental illness primarily referred to people with chronic severe mental illness that required hospitalization at specialized medical institutions. By the 2000s, however, this definition expanded to include people with severe illness, people susceptible to mental illness, and those in need of daily mental management. Various concepts such as ‘a person with a mental illness’, ‘a person with a mental disability’, and ‘a person with dysfunctional mental illness’ were mixed during this period. Later, the definition of a person with mental illness was narrowed to refer only to those with severe illness. The mental health policy was also differentiated into a dual management system of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promotion’. Through the regionall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surveillance and control of people living with mental illnesses were strengthened, and mental health services for all citizens were expanded. Despite changes in the denotative definition of a person living with mental illness, the connotative definition stipulating ‘subject to compulsory hospitalization’ remained as part of the working definition for a long time. The legitimacy of compulsory hospitalization was founded on a logic of rights, protection, and care and legislated, institutionalized in mental health polic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보건복지부,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 2016

      2 박태영, "지역사회복지론" 학현사 2008

      3 김보영, "지역사회복지 수요와 공급에 있어서의 민간 사회복지 지위와 역할에 대한 개념적 모색"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8 (18): 37-62, 2016

      4 채현탁, "지방정부 사회복지 분권화의 과제와 방향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복지주체의 활동쟁점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62) : 89-119, 2017

      5 보건복지부, "중증정신질환자 보호·재활 지원을 위한 우선 조치방안"

      6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자, 자격취득 등 권리보호강화"

      7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자 범위 축소, 생애주기별정신건강검진 실시"

      8 신권철, "정신질환자 개념의 규범적 고찰" 법조협회 59 (59): 35-76, 2010

      9 정현주,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증진시설 이용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정신의료기관,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재활시설을 중심으로" 한국보건복지학회 21 (21): 51-86, 2019

      10 하경희, "정신보건제도의 도입과 토착화에 관한 연구: 정신질환자의 탈원화와 지역사회정신보건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30 (30): 197-226, 2019

      1 보건복지부, "행복한 삶, 건강한 사회를 위한 정신건강 종합대책" 2016

      2 박태영, "지역사회복지론" 학현사 2008

      3 김보영, "지역사회복지 수요와 공급에 있어서의 민간 사회복지 지위와 역할에 대한 개념적 모색"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8 (18): 37-62, 2016

      4 채현탁, "지방정부 사회복지 분권화의 과제와 방향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복지주체의 활동쟁점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62) : 89-119, 2017

      5 보건복지부, "중증정신질환자 보호·재활 지원을 위한 우선 조치방안"

      6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자, 자격취득 등 권리보호강화"

      7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자 범위 축소, 생애주기별정신건강검진 실시"

      8 신권철, "정신질환자 개념의 규범적 고찰" 법조협회 59 (59): 35-76, 2010

      9 정현주,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증진시설 이용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정신의료기관,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재활시설을 중심으로" 한국보건복지학회 21 (21): 51-86, 2019

      10 하경희, "정신보건제도의 도입과 토착화에 관한 연구: 정신질환자의 탈원화와 지역사회정신보건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30 (30): 197-226, 2019

      11 서동우, "정신보건의 역사적 변화선상에서 본 우리나라 정신보건법의 문제와 개선안" 7 (7): 75-96, 2006

      12 보건복지부, "정신보건사업안내" 2001

      13 보건복지부, "정신보건사업안내" 2011

      14 보건복지부, "정신보건사업안내" 2003

      15 성희자, "정신보건법에서의 탈원화과정분석" 사회과학연구소 31 (31): 303-325, 2015

      16 김문근, "정신보건법 개정 담론에 근거한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주요 쟁점 분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7 (47): 85-111, 2016

      17 보건복지부, "정신보건 후진성 - 편견이 원인"

      18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사업안내" 2019

      19 보건복지부, "정신건강복지센터 인력 확충하고 24시간 응급개입팀 설치한다!"

      20 신권철, "정신건강복지법의 시행과 입법평가" 13 : 15-58, 2018

      21 권현주, "정신건강복지법의 문제점과 지역사회 탈원화를 위한 개선방안" 사회복지법제학회 11 (11): 53-77, 2020

      22 보건복지부, "정부보건정책, “1995년을 건강증진사업의 원년으로”" 1995

      23 보건복지부, "세입세출결산보고서" 1996

      24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자살예방대책" 2005

      25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예산개요" 2004

      26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백서" 1984

      27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백서" 1995

      28 박형종, "국민건강증진법 선포와 그 의의: 예방과 건강증진 사업의 강화" 43 (43): 4-7, 1996

      29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국민건강증진기금 정책동향" 2017

      30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국민건강증진기금 정책동향" 2015

      31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증진 종합대책" 2002

      32 보건복지부, "관계부처와 함께 정신질환자 관리 체계 강화한다!"

      33 신권철, "강제입원 위헌(헌법불합치)결정의 의미와 향후 과제"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4 (24): 1-45, 2017

      34 WHO, "The WORLD HEALTH REPORT 2OOI Mental Health: New Understanding" 2001

      35 David Pilgrim, "Key Concepts in Mental Health" SAGE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1-50)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11 1.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