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호흡명상을 병행한 공감능력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공감능력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상담성과를 알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990041
춘천 : 강원대학교, 2016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학교상담전공 , 2016. 2
2016
한국어
379.4 판사항(6)
강원특별자치도
The Effects of Empathy Training Program with Mindfulness Breathing Meditation on Empathy ability and Self-Regulation of Adolescents with School Violence Assault
v, 47 L. : 삽도 ; 26 cm
강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 최윤정
참고문헌 : L 36-3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호흡명상을 병행한 공감능력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공감능력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상담성과를 알아...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호흡명상을 병행한 공감능력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공감능력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상담성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 목적에 따라 강원도내 학교에서 공립형 대안교육기관에 의뢰된 학교폭력 가해 남학생 29 중 연구에 참여하고자 하는 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한 집단에 10명씩 무선할당하여 두 집단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1에는 호흡명상을 병행한 공감능력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2에는 공감능력향상 프로그램을각 회기당 60분씩 총 13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는 공감능력척도, 자기조절능력척도, 상담성과 질문지가 사용되었으며 측정시기는 사전검사를 진행하고 1∼4회기 후 1차 사후검사, 5∼8회기 후 2차 사후검사, 9∼12회기 후 3차 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호흡명상을 병행한 공감능력향상 프로그램은 학교폭력 가해학생의 공감능력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호흡명상을 병행한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자기조절능력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지 못했다. 셋째, 호흡명상을 병행한 프로그램과 병행하지 않은 프로그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능력에서만 집단 간 차이가 발생하였다. 넷째, 프로그램 진행 후 참가자의 사전-사후 상담성과를 분석한 결과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점수차이로 상담성과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 대한 제한점과 학교 현장에서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시행할 것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mpathy training program with mindfulness breathing meditation on empathy ability and self-regulation of adolescents with school violence assault, see how the use of breathing meditation made 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mpathy training program with mindfulness breathing meditation on empathy ability and self-regulation of adolescents with school violence assault, see how the use of breathing meditation made differences, and determine counseling performance for the program-participating group.
For this purpose, of 29 male school violence offenders sent to a public alternative education institution from schools in Gangwon-do, 20 boys willing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N=10 for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1 was provided with an empathy enhancing program using breathing meditat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2 was provided with an empathy enhancing program in a total of 13 sessions, with each session lasting 60 minutes. The instruments used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the empathy scale, the self-regulation scale, and the questionnaire regarding counseling performance; pretest was performed, followed by 1st-4th sessions, the first posttest, 5th-8th sessions, the second posttest, 9th-12th sessions, and the third posttest.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with breathing meditation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improving empathy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second, the program with breathing meditation was not significantly effective in improving self-regulation of the participants; third, the use of breathing meditation made inter-group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alone; fourth, the participants clinically showed a significant gap in the scores for counseling performa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indicated and the need to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that could be applied to school practice with ease and convenience was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