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양산의 고대성지와 대증산성 시론 = An essay on the ancient fortress of the Yangsan area and Daejeungsanseong Fort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819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양산지역 고대성지는 중심부의 양산천 사방에 치소성과 관방성이 함께 밀집분포하여 군사상 요충지였음을 시사하고 있다. 신라의 삽량주(뒷날 양주)설치는 이런 군사적 장점을 이용한 결과...

      양산지역 고대성지는 중심부의 양산천 사방에 치소성과 관방성이 함께 밀집분포하여 군사상 요충지였음을 시사하고 있다. 신라의 삽량주(뒷날 양주)설치는 이런 군사적 장점을 이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즉, 순지리토성, 마고산성, 고장성은 관방성이고 북부동산성, 신기리산성, 우불산성은 치소성으로 성격상 약간씩 차이가 있다. 신기리산성의 경우 규모에서는 관방성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일반 군현성(郡縣城)보다는 큰 삽량주 치소성으로 축조한 결과라고 하겠다. 순지리토성이 신라 주도로 축조된 관방성일 경우 동일 5세기대에 양산 중심부에 축조된 북부동산성은 신라의 견제 대상지역이며 그 실체는 문헌에 나타나는 박제상과 고고학적인 성황산일대 고분군을 축조한 삽량성 집단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삽량성 집단의 생활문화 내용이 신라 영향권을 탈피하지 못한 것은 상호 직간접적인 정치관계를 유지한 상태였다는 것을 짐작하게 한다.
      한편 대증산성은 2세기대에 대증지역에 축조한 산성으로 알려져 있다. 대증은 대증현, 동평현으로 발전되고 경덕왕 때 동래군 영현에 편입되었다.
      당시 대증현 지역에서 신라 산성을 찾는다면 부산 서구 암남동 석성봉수대 주변에 분포한 석성을 주목할 수 있다. 자세하지 않지만 천마산(해발 324m) 9부 능선상에 테뫼식으로 축조된 석성은 왜구의 길목인 낙동강 하구와 부산항을 관망하기 매우 용이한 군사상 요충지에 해당한다. 석성의 축조수법과 성내에서 수습된 유물, 인접한 초장동고분군의 유구와 출토유물의 특징에서 신라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파악해도 무리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축조 시기가 문헌상에 나타나는 2세기대보다 다소 늦은 대증현 편제 이후로 추측되어 대증산성보다 대증현성과 유관할 것이 짐작된다. 따라서 사실 확인을 위해 석성에 대한 초축과 수·개축 등 고고학적 검증을 통해서 대증산성, 대증현성, 동평현성 등 그 발전과정과 성격 파악이 꼭 필요하다고 하겠다. 앞으로 이 석성과 함께 양산 물금읍 증산에 대해서도 계속적인 관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ncient fortress of the Yangsan area suggests that Chisoseong (administrative fortress) and Gwanbangseong(defensive fortress) were densely located along the Yangsan-cheon river, suggesting that they were important military position. Silla's instal...

      The ancient fortress of the Yangsan area suggests that Chisoseong (administrative fortress) and Gwanbangseong(defensive fortress) were densely located along the Yangsan-cheon river, suggesting that they were important military position. Silla's installation of Sapryangju (later Yangju)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taking advantage of these military advantages. In other words, Sunjiri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Magosanseong Fortress, and Gojeonseong Fortress are Gwanbangseong, and BukbuDongsanseong Fortress, Singirisanseong Fortress, and Ubulsanseong Fortress are Chisoseong fortress, which are slightly different in their purpose of fortification. In the case of Singiri Fortress, it can be classified as Gwanbangseong fortress in size, but it is the result of the construction of Sapryangju Chiso-Seong Fortress, which is larger than that of general Gunhyeonseong(same as Chiso-seong) Fortress. If we regard Sunjiri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as a government fortress built by Silla, Bukbu Dongsanseong Fortress, built in the center of Yangsan in the 5th century, is a check area of Silla, and its substance can be said to be a Sapryangseong group that built an archaeological Seonghwangsan ancient tombs. However, the fact that the living culture contents of the Sapryangseong group did not escape the influence of Silla suggests that they maintained a direct or indirect political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Meanwhile, Daejeungsanseong Fortress was built in the Daejeung area in the 2nd century. The Daejeung area was developed to Daejeung-Hyeon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and Dongpyeong-hyeon, and was belonged to the jurisdiction of Dongnae-gun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of silla dynasty.
      As for the Silla fortress in Daejeung-Hye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ortresses around the Seok-seong Bongsudae(beacon fire station), located in Amnam-dong, Seo-gu, Busan. Built in a Temoe style on the ninth ridge of Cheonmasan Mountain (Height 324m), this stone fortress is a very important military point that is very easy to see the Nakdonggang river estuary and Busan Port, the road of Japanese pirates.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method, relics unearthed from the fortress site, and the archa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arby Chojang-dong Ancient Tombs, this fortress is believed to have been built during the Silla Dynasty. As the construction period is estimated to be after the organization of Daejeung-Hyeon, which is somewhat later than the 2nd century that appears in the literature, this fortress is believed to be more related to Daejeungseong Fortress than Daejeungsanseong Fortress. In order to verify this fact,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process and history of Daejeungsanseong Fortress, Daejeunghyeonseong Fortress, and Dongpyeonghyeon Fortress through archaeological excavation investigations of Seokseong Fortress. In the future, it is thought that continuous attention will be needed to Jeungsan of Yangsan Mulgeum-eup along with this fortr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고대성지 관계자료
      • Ⅲ. 분포와 성격
      • Ⅳ. 대증산성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고대성지 관계자료
      • Ⅲ. 분포와 성격
      • Ⅳ. 대증산성
      • Ⅴ.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