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지 배추 재배시 혼합유박의 밑거름 적정 시용량 평가 = Evaluation of Preplant Optimum Application Rate of Mixed Expeller Cake in Chinese Cabbage Cultivation at the Fie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03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ixed expeller cake has been one of soil management to improve crop productivity and soil fertility. But, there was a little information on optimum mixed expeller cake application for chinese cabbage. So, in this study, we were evaluated the preplant ...

      Mixed expeller cake has been one of soil management to improve crop productivity and soil fertility. But, there was a little information on optimum mixed expeller cake application for chinese cabbage. So, in this study, we were evaluated the preplant optimum application rate of mixed expeller cake(MEC) in chinese cabbage cultivation at field. Treatments consist of control, inorganic fertilizer(N-P2O5-K2O : 320-78-198 kg ha-1), MEC(50, 100, 150% on preplant application standard 110 kg ha-1 as N, topdressing : 210 kg ha-1 as N). In results, growth characteristic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yield was increased when application rate was increased. And MEC 150% treatment showed similar yield as inorganic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il pH, OM, Av.P2O5, NH4-N and Ex.K. But, soil EC and NO3-N were increased when MEC level increased. As a results, MEC 150% can be proposed as preplant optimum application rate of MEC from this study. But abuse of MEC and long-term using caused about salt accumulation in soi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유기질 비료 중 혼합유박은 작물생산성과 토양의 비옥도를 높일수 있는 농자재중 하나이다. 그러나 배추재배시 혼합유박의 적정시용량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혼...

      유기질 비료 중 혼합유박은 작물생산성과 토양의 비옥도를 높일수 있는 농자재중 하나이다. 그러나 배추재배시 혼합유박의 적정시용량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혼합유박의 밑거름 시용량에 따른배추의 생육, 수량 및 토양특성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혼합유박의 밑거름 적정 시용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시험은 무처리, NPK처리구(N-P2O5-K2O : 320-78-198 kg ha-1), 혼합유박 처리구는 밑거름을 질소기준 210 kg ha-1을 50, 100 및 150% 수준으로 기비하고 추비는 시기에 맞게 시비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배추의 생육은 무처리구를 제외하고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수량의 경우 NPK 처리구 > MEC 150% 처리구 > MEC 100% 처리구> MEC 50% 처리구 > 무처리구 순이었다. 처리구에 따른 질소 이용 효율은 혼합유박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경향이었다. 토양 특성의 경우 pH, OM, Av.P2O5, NH4-N 및 Ex.K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EC 및 NO3-N은혼합유박의 밑거름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약간 증가하는 추세였다. 이를 통해 수량을 위한 혼합유박 밑거름 적정시용량은 밑거름 150% 처리인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창휴, "혼합유박 시용량 및 시용시기가 토양환경과 미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1 (41): 103-111, 2008

      2 홍세진, "질소 시비량이 봄배추의 저장 품질과 깨씨무늬장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35 (35): 727-736, 2017

      3 조성현, "유박의 온도, 수분, 토심 및 토성에 따른 질소의 무기화" 유기성자원학회 15 (15): 149-158, 2007

      4 엄미정,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의 시용수준에 따른 시설수박 생육과 토양화학성의 변화" 한국환경농학회 31 (31): 1-8, 2012

      5 김갑철, "유기농 시설하우스 토양에서 유박 시용이 토양특성 및 적겨자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5 (45): 1022-1026, 2012

      6 김갑철, "유기농 시설하우스 토양에서 유박 시용이 토양특성 및 다채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 33 (33): 149-154, 2014

      7 이기상, "우리나라 비료의 개발과 이용 40년"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195-211, 2009

      8 윤홍배, "비닐멀칭 색상이 토양온도 변화와 가을배추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5 (45): 511-514, 2012

      9 조광래, "벼 재배시 혼합유기질비료 시용이 질소이용율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152-159, 2009

      10 윤홍배, "계분퇴비 연용횟수에 따른 배추의 질소 흡수량 및 토양화학성 변화" 한국환경농학회 28 (28): 9-14, 2009

      1 양창휴, "혼합유박 시용량 및 시용시기가 토양환경과 미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1 (41): 103-111, 2008

      2 홍세진, "질소 시비량이 봄배추의 저장 품질과 깨씨무늬장해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 35 (35): 727-736, 2017

      3 조성현, "유박의 온도, 수분, 토심 및 토성에 따른 질소의 무기화" 유기성자원학회 15 (15): 149-158, 2007

      4 엄미정,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의 시용수준에 따른 시설수박 생육과 토양화학성의 변화" 한국환경농학회 31 (31): 1-8, 2012

      5 김갑철, "유기농 시설하우스 토양에서 유박 시용이 토양특성 및 적겨자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5 (45): 1022-1026, 2012

      6 김갑철, "유기농 시설하우스 토양에서 유박 시용이 토양특성 및 다채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 33 (33): 149-154, 2014

      7 이기상, "우리나라 비료의 개발과 이용 40년"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195-211, 2009

      8 윤홍배, "비닐멀칭 색상이 토양온도 변화와 가을배추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5 (45): 511-514, 2012

      9 조광래, "벼 재배시 혼합유기질비료 시용이 질소이용율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152-159, 2009

      10 윤홍배, "계분퇴비 연용횟수에 따른 배추의 질소 흡수량 및 토양화학성 변화" 한국환경농학회 28 (28): 9-14, 2009

      11 강승원, "菜種油粕 穗肥施用이 벼의 窒素利用效率과 收量에 미치는 影響" 한국토양비료학회 35 (35): 272-279, 2002

      12 Won, T. J., "effects of different oil cakes on nitrogen use efficiency and lettuce yield in plastic film house soils" 445-972, 2009

      13 Schulten, H. R., "The chemistry of soil organic nitrogen : review" 26-225, 1998

      14 Kim, C. H., "Occurrence and ecology of rootstock disease in chinese cabbage" 5 (5): 77-83, 1999

      15 NAIST, "Method of soil and plant analysis" RDA 2000

      16 이상규,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Growth,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and Yield of Kimchi Cabbage Leaves" 한국원예학회 57 (57): 470-477, 2016

      17 RDA, "Fertilizer regulation"

      18 김석철, "Estimation of Optimum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under Fertilizer Recommendation System" 한국토양비료학회 51 (51): 296-305, 2018

      19 Oh, D. G., "Effects of some much materials on chinese cabbage growing in different seasons, Ш, Soil temperature and growth of chinese cabbage in summer" 25 : 263-269, 1984

      20 Kang, Y. K., "Effects of raw covering of non-woven fabric on growth and component of chinese cabbage in spring" 25 : 58-58, 2007

      21 Jin, G. A., "Effects of application rate of mixed expeller cake on soil chemical properties, nitrogen uptake, growth and yield of onion" Korean National Open University 2017

      22 Freyman, S.,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yield, storage loss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winter cabbage" 71 : 943-946, 1991

      23 FAO, "Current world fertilizer trends and outlook to 2016"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6

      24 Lee, I. S., "Comparison of falls of chinese cabbage for kimchi preparation" 26 : 226-230, 1994

      25 Kang, B. G.,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lastic film house soil in chungbuk area" 30 : 265-271,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2차)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폐기물자원화 -> 유기물자원화
      외국어명 : Jornal of Korea Organic Waste Recycling Council -> Jornal of Korea Organic Resource Recycling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2 0.39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