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인회의 니체주의 - 김기림, 이상, 정지용 시인이 보여준 '고통'과 '비극'의 의미 = Nietzscheism of Guinhoe’s Poetry: A Meaning of Pain and Tragedy in Works of Kim, Ki-lim, Lee, Sang, Jeong Ji-y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322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images related to “sorrow,” “pain,” and “tragedy,” centering on the texts of three poets: Kim, Ki-lim, Lee, Sang, Jeong, Ji-yong. Nietzsche found a Dionysian worldview in Greek tragedy, which pain, that is, the acceptance of pain. Tragedy is an artistic device that gives meaning to the pain of a meaningless life and affirms suffering. “Dog” and “Horse” are symbols of pain, “noble man” is imbued with divine healing power and primordial vitality beyond such suffering. The theme of the “tragedy” of artistic pain and death through virtual forms is condensed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butterfly.” The death of a butterfly is reproduced as a theatrical and aesthetic form rather than sorrow or pain. The spirit of tragedy is also shaped through the presence of the Dionysian god. Jeong, Ji-yong and Kim, Ki-lim painted the fallen Dionysian hero(Lee, Sang) in remembrance of the death of Dionysus, who, in dying, forgot the physical pain. Dionysus as the subject of a tragedy creates a new sense of meaning through the Pathos of suffering. Nietzscheanism, which is illustrated by these three poets of Guinhoe, can be seen not only as criticizing all metaphysical notions that constrain man being, but also as aiming toward art physiology, where life becomes art and pain is healed.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s images related to “sorrow,” “pain,” and “tragedy,” centering on the texts of three poets: Kim, Ki-lim, Lee, Sang, Jeong, Ji-yong. Nietzsche found a Dionysian worldview in Greek tragedy, which pain, that is, the acceptan...

      This paper analyzes images related to “sorrow,” “pain,” and “tragedy,” centering on the texts of three poets: Kim, Ki-lim, Lee, Sang, Jeong, Ji-yong. Nietzsche found a Dionysian worldview in Greek tragedy, which pain, that is, the acceptance of pain. Tragedy is an artistic device that gives meaning to the pain of a meaningless life and affirms suffering. “Dog” and “Horse” are symbols of pain, “noble man” is imbued with divine healing power and primordial vitality beyond such suffering. The theme of the “tragedy” of artistic pain and death through virtual forms is condensed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butterfly.” The death of a butterfly is reproduced as a theatrical and aesthetic form rather than sorrow or pain. The spirit of tragedy is also shaped through the presence of the Dionysian god. Jeong, Ji-yong and Kim, Ki-lim painted the fallen Dionysian hero(Lee, Sang) in remembrance of the death of Dionysus, who, in dying, forgot the physical pain. Dionysus as the subject of a tragedy creates a new sense of meaning through the Pathos of suffering. Nietzscheanism, which is illustrated by these three poets of Guinhoe, can be seen not only as criticizing all metaphysical notions that constrain man being, but also as aiming toward art physiology, where life becomes art and pain is heal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구인회의 김기림, 이상, 정지용 등 세 시인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슬픔’, ‘고통’, ‘비극’과 관련된 이미지를 분석한 것이다. 니체는 고통을 의미화 하는 방식, 즉 고통을 수용하며 삶을 긍정하는 디오니소스적 세계관을 그리스 비극에서 찾았다. 비극은 무의미한 삶의 고통에 의미를 부여하고 고통을 긍정하게 하는 예술적 장치이다. ‘개’와 ‘말’은 고통을 상징하는 기호이자 그러한 고통을 넘어서는 신성한 치유력, 원초적 생명력을 내재한 ‘고귀한 인간’의 표상이다. 가상적 형식을 통한 고통의 예술화와 죽음이라는 ‘비극’의 주제는, ‘나비’ 표상에 응축되어 있다. 나비의 죽음은 슬픔이나 고통보다도 연극적이고 미적인 어떤 형식으로서 재현된다. 비극의 정신은 디오니소스적 신의 존재를 통해 형상화되기도 한다. 정지용과 김기림은 이상의 죽음을 추모하며 추락한 디오니소스적 영웅을 그렸고 이상 역시 육체적 고통을 망각한 디오니소스적 존재의 죽음을 그렸다. 디오니소스는 고통의 파토스를 통해 새로운 의미망을 만들어내는 비극의 주체이다. 구인회의 세 시인들이 보여주는 니체주의는 인간을 제약하는 모든 형이상학적 관념을 비판할 뿐만 아니라 삶이 예술이 되고 고통이 치유되는 예술, 주체의 변형과 삶의 조형이 가능해지는 예술생리학을 지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구인회의 김기림, 이상, 정지용 등 세 시인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슬픔’, ‘고통’, ‘비극’과 관련된 이미지를 분석한 것이다. 니체는 고통을 의미화 하는 방식, 즉 고통을 수용...

      본고는 구인회의 김기림, 이상, 정지용 등 세 시인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슬픔’, ‘고통’, ‘비극’과 관련된 이미지를 분석한 것이다. 니체는 고통을 의미화 하는 방식, 즉 고통을 수용하며 삶을 긍정하는 디오니소스적 세계관을 그리스 비극에서 찾았다. 비극은 무의미한 삶의 고통에 의미를 부여하고 고통을 긍정하게 하는 예술적 장치이다. ‘개’와 ‘말’은 고통을 상징하는 기호이자 그러한 고통을 넘어서는 신성한 치유력, 원초적 생명력을 내재한 ‘고귀한 인간’의 표상이다. 가상적 형식을 통한 고통의 예술화와 죽음이라는 ‘비극’의 주제는, ‘나비’ 표상에 응축되어 있다. 나비의 죽음은 슬픔이나 고통보다도 연극적이고 미적인 어떤 형식으로서 재현된다. 비극의 정신은 디오니소스적 신의 존재를 통해 형상화되기도 한다. 정지용과 김기림은 이상의 죽음을 추모하며 추락한 디오니소스적 영웅을 그렸고 이상 역시 육체적 고통을 망각한 디오니소스적 존재의 죽음을 그렸다. 디오니소스는 고통의 파토스를 통해 새로운 의미망을 만들어내는 비극의 주체이다. 구인회의 세 시인들이 보여주는 니체주의는 인간을 제약하는 모든 형이상학적 관념을 비판할 뿐만 아니라 삶이 예술이 되고 고통이 치유되는 예술, 주체의 변형과 삶의 조형이 가능해지는 예술생리학을 지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문학"

      2 구모룡, "한국 근대문학과 미적 근대성의 관련 양상" 국제어문학회 (29) : 119-146, 2003

      3 Deleuze, Gilles,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4 Nietzsches, Friedrich Wilhelm,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책세상 2007

      5 Nietzsches, Friedrich Wilhelm, "즐거운 학문" 책세상 2005

      6 "조선중앙일보"

      7 "조선문학"

      8 소래섭, "정지용의 시 「슬픈 偶像」의 재해석과 그로 인한 질문들" 한국현대문학회 (50) : 233-258, 2016

      9 조영복, "정지용의 <유선애상>에 나타난 꿈과 환상의 도취" 한국현대문학회 (20) : 227-262, 2006

      10 신범순, "정지용시에서‘詩人’의초상과언어의특성" 6 : 131-158, 1998

      1 "현대문학"

      2 구모룡, "한국 근대문학과 미적 근대성의 관련 양상" 국제어문학회 (29) : 119-146, 2003

      3 Deleuze, Gilles,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4 Nietzsches, Friedrich Wilhelm,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책세상 2007

      5 Nietzsches, Friedrich Wilhelm, "즐거운 학문" 책세상 2005

      6 "조선중앙일보"

      7 "조선문학"

      8 소래섭, "정지용의 시 「슬픈 偶像」의 재해석과 그로 인한 질문들" 한국현대문학회 (50) : 233-258, 2016

      9 조영복, "정지용의 <유선애상>에 나타난 꿈과 환상의 도취" 한국현대문학회 (20) : 227-262, 2006

      10 신범순, "정지용시에서‘詩人’의초상과언어의특성" 6 : 131-158, 1998

      11 장영우, "정지용과 ‘구인회’ -『시와 소설』의 의의와 「유선애상」의 재해석" 한국문학연구소 (39) : 139-169, 2010

      12 정지용, "정지용 전집 1~2" 민음사 2003

      13 소래섭, "정지용 시 <유선애상>의 소재와 의미" 한국현대문학회 (20) : 263-294, 2006

      14 "자유시인"

      15 이주향, "자기를 아는 자의 고통에 대한 니체의 해석- 니체는 왜 오이디푸스와 프로메테우스의 고통에 주목했을까?" 한국니체학회 (18) : 185-204, 2010

      16 함돈균, "임화 시의 아이러니 문제와미적 근대성"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험 259-269, 2007

      17 김미영, "이상의 소설에 나타난 죽음과 신, 그리고 니체적 사유"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7) : 77-113, 2017

      18 조은주, "이상시작품론" 역락 2009

      19 김주현, "이상문학전집 1~3" 소명출판 2005

      20 신범순, "이상 문학연구 불과 홍수의달" 지식과교양 2013

      21 조은주, "이상 문학과 창조적 음악 정신" 한국현대문학회 (49) : 113-141, 2016

      22 Nietzsches, Friedrich Wilhelm, "이사람을 보라" 책세상 2002

      23 Nietzsches, Friedrich Wilhelm, "유고(1888년 초~1889년 1월 초" 책세상 2006

      24 정낙림, "예술 생리학과 미래 예술" 한국니체학회 (28) : 187-221, 2015

      25 "신흥"

      26 정지용, "세계문학속의한국문학: 발굴정지용의일본어시와산문" 글누림 5 (5): 2015

      27 Nietzsches, Friedrich Wilhelm, "선악의저편 도덕의계보" 책세상 2009

      28 "삼천리"

      29 Nietzsches, Friedrich Wilhelm, "비극의탄생" 책세상 2007

      30 Nietzsches, Friedrich Wilhelm, "반시대적고찰" 책세상 2005

      31 조은주, "박태원과 이상(李箱)의 문학적 공유점- 거울과 음악, 산책의 모티프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23) : 251-282, 2007

      32 Nietzsches, Friedrich Wilhelm, "바그너의경우 우상의황혼 안티크리스트 이 사람을 보라 디오니소스 송가 니체 대 바그너(1888~1889)" 책세상 2009

      33 "문장"

      34 Calinescu, Matei, "모더니티의다섯얼굴" 시각과 언어 1998

      35 "매일신보"

      36 양대종, "마음의 고통에 대한 윤리적 성찰" 한국니체학회 (25) : 69-99, 2014

      37 Deleuze, Gilles, "들뢰즈의니체" 철학과현실사 2007

      38 "동아일보"

      39 "대한일보"

      40 이상엽, "니체의 ‘예술가-형이상학’의 의미와 문제" 한국니체학회 (25) : 223-258, 2014

      41 양해림, "니체의 [비극의 탄생]에 대한 들뢰즈의 해석" 한국니체학회 (30) : 37-65, 2016

      42 정낙림, "니체와 현대예술" 역락 2012

      43 이상엽, "니체와 ‘탈역사’" 한국니체학회 (10) : 231-257, 2006

      44 김정현, "니체사상의 한국적 수용 -192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니체학회 (12) : 33-68, 2007

      45 김동규, "니체 철학에서의 고통과 비극 - 문화철학의 관점에서" 중앙철학연구소 26 : 139-168, 2009

      46 "농민"

      47 방민호, "김유정, 이상, 크로포트킨" 한국현대문학회 (44) : 281-318, 2014

      48 김한성, "김기림, T. S. 엘리엇, 니체 - 김기림의 「아프리카 광상곡」과 엘리엇의 『황무지』에 나타난 니체의 영원 회귀 모티프 비교" 한국현대문학회 (46) : 121-154, 2015

      49 김기림, "김기림 전집 1~6" 심설당 1998

      50 김윤식, "근대시와인식" 시와시학사 1991

      51 김유중, "그리운그 이름, 이상" 지식산업사 2004

      52 김민정, "구인회의 존립양상과 미적 이데올로기의 상관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53 현순영, "구인회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54 공병혜, "고통의 치유로서 예술과 자기 돌봄" 한국의철학회 21 : 3-32, 2016

      55 "개벽"

      56 김민정, "“식민지 근대”의 문학사적수용과1930년대문학의 재인식 “카프”, “구인회”, “단층” 간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언어학회 47 : 437-460, 2007

      57 구자황, "‘구인회’와 주변단체" 상허학회 3 : 129-148, 1996

      58 박헌호, "‘구인회’를 어떻게볼 것인가" 상허학회 3 : 13-46, 1996

      59 신범순, "1930년대 시에서 니체주의적 사상 탐색의 한 장면(1) - 구인회의 ‘별무리의 사상’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2 (72): 11-58, 2015

      60 김정현, "1930년대 니체사상의 한국적 수용- 김형준의 니체해석을 중심으로 -" 한국니체학회 (14) : 245-279, 2008

      61 이상재, "1930년대 구인회 작가의 내면의식과 표현방식 연구 - 「서글픈 이야기」, 「슬픈 이야기」, 「슬푼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7 : 203-228, 2012

      62 조은주, "1920년대 문학에 나타난 허무주의와 '폐허(廢墟)'의 수사학" 한국현대문학회 (25) : 7-40,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