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상호관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8월 25일부터 9월 1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대구광역시의 달서구와 중구의 요양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112709
경산 :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학위논문(석사) --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 노인의료복지학과 , 2013. 2
2013
한국어
경상북도
65 ; 26cm
지도교수:신승렬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상호관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8월 25일부터 9월 1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대구광역시의 달서구와 중구의 요양병...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상호관계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8월 25일부터 9월 1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대구광역시의 달서구와 중구의 요양병원을 간호사와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234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for window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요인의 집단간 사후검증을 위해서 Scheffe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와 요양보호사간의 관계인식 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존중, 공감적이해, 일치성, 존중의 무조건성, 개방성 중 일치성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간호사의 관계인식과 요양보호사의 관계인식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간호사의 존중, 공감적 이해, 일치성, 개방성, 무조건성과 요양보호사의 존중, 공감적 이해, 일치성, 개방성, 무조건성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관계인식은 간호사의 관계인식이 높으면 요양보호사의 관계인식도 높아지고, 요양보호사의 관계인식이 높아지면 간호사의 관계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사와 요양보호사간의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잘 나타내 주고 있으며, 간호사든 요양보호사든 서로에 대한 관계인식이 높아질수록 서로에 대한 관계인식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간호사가 객관적으로 생각하는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관계의식 정도는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간호사가 생각하는 간호사의 존중, 공감적 이해, 일치성, 무조건성, 개방성은 요양보호사의 존중, 요양보호사의 공감적 이해, 요양보호사의 일치성, 요양보호사의 무조건성, 요양보호사의 개방성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가 객관적으로 생각하는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관계의식 정도는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요양보호사가 생각하는 요양보호사의 존중, 공감적 이해, 일치성, 무조건성, 개방성은 간호사의 존중, 요양보호사의 공감적 이해, 요양보호사의 일치성, 요양보호사의 무조건성, 요양보호사의 개방성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과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요양병원의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관계인식을 높이고 직무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개입방안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살펴보고자 한다.
개입방안은 첫째, 본 연구에서 관계인식 정도 중 개방성에서 요양보호사와 간호사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사의 개방성이 낮은데, 이는 직위 상 모든 것을 요양보호사에게 표출할 수 없는 부분도 클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노인들의 요양서비스에 있어서는 정보의 교류, 요양보호사에 대한 솔직한 마음을 전달하는 것은 필수 일 것이다. 이에 기관 보수교육 시 간호사와 요양보호사가 함께 참석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간호사의 업무와 요양보호사의 업무가 중첩되는 경우가 많다. 병원 자체적으로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업무분담을 명확하게 하여 상호간의 업무를 떠넘기지 않게 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에 대한 신뢰와 이해관계를 높이기 위해 단순한 보수교육이 아닌, 기관차원의 단합대회나 직원들의 소통의 장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닌다.
첫째, 조사대상을 대구의 일부 요양병원으로 한정 하였으므로 이를 일반 요양병원으로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오차발생 가능성을 들 수 있다. 간호사와 요양보호사의 관계 인식에 대한 정서적 민감성으로 인해 개인의 은폐성이 강하고 답변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실적인 의견을 얻는 데는 제한점이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간호조무사를 하나의 직군으로 분류하지 못하고 일부 간호조무사를 간호사로 포함하였는데 이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임금, 근무환경의 차이를 간과한 한계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연구의 한계에서 밝힌바와 같이 연구대상의 직군을 간호사, 간호조무사 그리고 요양보호사로 할 필요성이 있다.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관계에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mutual relationship of nurses and care helpers of Geriatric Hospital.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rom August 25th, 2012 through September 16th, 2012, and collected 234 copies of questionnaires from the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mutual relationship of nurses and care helpers of Geriatric Hospital.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rom August 25th, 2012 through September 16th, 2012, and collected 234 copies of questionnaires from the nurses and care helpers of hospitals for the elderly in Dalseo-gu and Jung-gu of Daeg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conducted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by utilizing the SPSS 19.0 for windows statistics program on the collected data, and analyzed through the method of Scheffe for the post hoc test between groups of factor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in degree of recognition of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care helpe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conformity among respect, sympathetic understanding, conformity, unconditionality and openness of respect.
Secon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recognition of relationship of nurses and that of care helper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all variables of respect, sympathetic understanding, conformity, openness, and unconditionality of nurses and those of care helpers.
That is, it was found when the recognition of relationship of nurses gets higher, the recognition of relationship of care helpers also gets higher, and vice versa. This shows the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care helpers well, and it can be known that both nurses and care helpers have a higher degree of recognition of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when the recognition of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gets increased.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relationship of nurses and care helpers thought by nurses objectively, it was found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spect, sympathetic understanding, conformity, unconditionality, and openness of nurses thought by nurses and all of the respect of care helpers, sympathetic understanding of care helpers, conformity of care helpers, unconditionality of care helpers, and openness of care helpers.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relationship of nurses and care helpers thought by care helpers objectively, it was found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spect, sympathetic understanding, conformity, unconditionality, and openness of care helpers thought by care helpers and all of the respect of nurses, sympathetic understanding of care helpers, conformity of care helpers, unconditionality of care helpers, and openness of care helpers.
It is intended to arrange a plan to increase the recognition of relationship of nurses and care helpers of hospitals for the elderly and to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intervention plans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 intervention plans, first, it was foun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are helpers and nurses in openness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relationship in this study, and the openness of nurses is lower. This seems to be greatly due to their not being able to express everything to care helpers because of their position. However, it must be essential for them to exchange information and to convey frank thoughts to care helpers in conducting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Hence, a program in which nurses and care helpers attend together at the supplementary education at institutions should be developed.
Second, in many cases, the work of nurses and that of care helpers were overlapped. The hospitals should clearly divide the work of nurses and that of care helpers so that they will not shift their work onto each other.
Finally, in order to increase the trust and interest on nurses and care helpers, it is needed to arrange not a simple supplementary education but a rally to strengthen the unity at institutional level and the forum of communication between employe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as this study limited the subject of study to some hospitals for the elderly in Daegu, there i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is to general hospitals for the elderly.
Second, an error can occur. As the respondents tend to hide and avoid responses because of the emotional sensitivity on the recognition of relationship of nurses and care helpers, there is a limitation in obtaining realistic opinions.
Third, this study couldn't classify nurse's aides as one job group and included some nurse's aides as nurses, and this has the limitation to overlook the difference in wages and working environment between nurses and nurse's aides.
The future studies need to classify the job groups of subject of study into nurses, nurse's aides, and care helpers as clarified in the limitations of study. It seems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of nurses and nurse's aid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