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육교사의 교육신념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 : 직무환경 매개효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Teachers' Educational belief on Care-giving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 : Mediating role of Job 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403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육신념, 직무환경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교육신념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환경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 B, C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3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총 293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보육교사들의 영·유아권리존중보육과 직무환경은 좋은 편이었으며 교육신념은 보통 수준이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공과 경력 그리고 최종학력, 기관유형에 따라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차이가 있었다. 전공은 아동학 전공자가 보육학 전공자 보다, 경력에서는 10년 이상인 보육교사들이 5-7년 경력의 보육교사보다 영·유아권리존중보육이 높았다. 최종학력에서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한 보육교사가 보육교사양성교육원을 졸업한 보육교사보다 높았다. 특히, 국공립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이 민간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보다 영·유아권리존중보육과 직무환경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권리존중보육, 교육신념, 직무환경 간에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기관유형과 최종학력은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신념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직무환경에는 기관유형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신념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환경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교육신념의 하위요소인 행동주의가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환경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반면, 상호작용주의가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환경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안정된 급여, 대체인력 보강, 근무시간 유연성 확보 등 복지수준 향상을 위한 제도적·정책적 관리와 지원 그리고 기관 차원의 긍정적 환경조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차원의 노력, 더불어 개별적 보수교육 메뉴얼 개발·지원을 제언하였다. 특히,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난 직무환경 제고를 위한 기관운영 구조의 변화와 소통개선을 위한 노력, 보육기관 평가항목 조정 등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육신념, 직무환경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교육신념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환경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육신념, 직무환경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교육신념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환경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 B, C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3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총 293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보육교사들의 영·유아권리존중보육과 직무환경은 좋은 편이었으며 교육신념은 보통 수준이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공과 경력 그리고 최종학력, 기관유형에 따라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차이가 있었다. 전공은 아동학 전공자가 보육학 전공자 보다, 경력에서는 10년 이상인 보육교사들이 5-7년 경력의 보육교사보다 영·유아권리존중보육이 높았다. 최종학력에서는 4년제 대학을 졸업한 보육교사가 보육교사양성교육원을 졸업한 보육교사보다 높았다. 특히, 국공립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이 민간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보다 영·유아권리존중보육과 직무환경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권리존중보육, 교육신념, 직무환경 간에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기관유형과 최종학력은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신념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직무환경에는 기관유형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신념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환경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교육신념의 하위요소인 행동주의가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환경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반면, 상호작용주의가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환경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안정된 급여, 대체인력 보강, 근무시간 유연성 확보 등 복지수준 향상을 위한 제도적·정책적 관리와 지원 그리고 기관 차원의 긍정적 환경조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차원의 노력, 더불어 개별적 보수교육 메뉴얼 개발·지원을 제언하였다. 특히,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난 직무환경 제고를 위한 기관운영 구조의 변화와 소통개선을 위한 노력, 보육기관 평가항목 조정 등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diated effects of the job environment in the influence of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on care-giving for infant and children`s rights.
      A survey was conducted on infant and childcare teachers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A, B and C cities. And a total of 303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and 293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ant and childcare teachers' respect for infant and children`s rights and job environment were good, and their educational beliefs were moderat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spect for infant and children`s rights depending on the major and career of the teacher, final education, and institutional type.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higher respect for infant and children`s rights than those majoring in childcare.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had higher rights-respect than those with 5-7 years of experience. In terms of final education, teachers who graduated from four-year universities had higher rights-respecting childcare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the childcare teacher training agency. In particular, teachers working at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showed higher results in infant and children`s rights and job environment than teachers working at private daycare centers.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ights-respecting child care, educational belief and work environment.
      Fourth, the type of institution and final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ights-respecting childcare. On the other hand, th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type of agency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to job environment.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ed effects of the job environment in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belief on the respect for right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the job environment were identified in the influence of activism, a sub-factor of the educational belief, on the respect for infant and infant rights. On the other hand, the job environment had a full matchmaking effect on the effect of interactionism on infant and infant rights-respecting child care.
      The sugg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required institutional and policy management and support to improve the welfare level, including stable wages for childcare teachers, reinforcement of substitute workers, and flexibility in working hours. In addition, various levels of efforts were proposed to enhance the institutional level's positive environment creatio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remuneration education manuals was proposed. In particular, it proposed changes in the structure of institutional operation to enhance the working environment, efforts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adjustment of assessment items for childcare institu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diated effects of the job environment in the influence of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on care-giving for infant and children`s rights. A survey was conducted on infant and childcare teachers at daycar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diated effects of the job environment in the influence of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on care-giving for infant and children`s rights.
      A survey was conducted on infant and childcare teachers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A, B and C cities. And a total of 303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and 293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ant and childcare teachers' respect for infant and children`s rights and job environment were good, and their educational beliefs were moderat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spect for infant and children`s rights depending on the major and career of the teacher, final education, and institutional type.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d higher respect for infant and children`s rights than those majoring in childcare.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had higher rights-respect than those with 5-7 years of experience. In terms of final education, teachers who graduated from four-year universities had higher rights-respecting childcare than those who graduated from the childcare teacher training agency. In particular, teachers working at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showed higher results in infant and children`s rights and job environment than teachers working at private daycare centers.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rights-respecting child care, educational belief and work environment.
      Fourth, the type of institution and final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ights-respecting childcare. On the other hand, the impact on educational belief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type of agency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to job environment.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ed effects of the job environment in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belief on the respect for right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the job environment were identified in the influence of activism, a sub-factor of the educational belief, on the respect for infant and infant rights. On the other hand, the job environment had a full matchmaking effect on the effect of interactionism on infant and infant rights-respecting child care.
      The sugg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t required institutional and policy management and support to improve the welfare level, including stable wages for childcare teachers, reinforcement of substitute workers, and flexibility in working hours. In addition, various levels of efforts were proposed to enhance the institutional level's positive environment creation.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remuneration education manuals was proposed. In particular, it proposed changes in the structure of institutional operation to enhance the working environment, efforts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adjustment of assessment items for childcare institu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문제제기 1
      • 2. 연구목적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7
      • Ⅰ. 서 론 1
      • 1. 문제제기 1
      • 2. 연구목적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7
      • 1)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의 개념과 중요성 7
      • 2)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선행연구 11
      • 2. 교육신념 13
      • 1) 교육신념의 개념과 중요성 13
      • 2) 교육신념의 유형 16
      • 3) 교육신념의 선행연구 21
      • 3. 직무환경 23
      • 1) 직무환경의 개념과 요소 23
      • 2) 보육교사 직무환경 선행연구 26
      • Ⅲ. 연구방법 30
      • 1.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30
      •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2
      • 3. 연구도구 32
      • 1) 영·유아권리존중 보육 32
      • 2) 교육신념 33
      • 3) 직무환경 34
      • 4. 자료분석 35
      • Ⅳ. 연구결과 36
      •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6
      •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6
      • 2) 영·유아권리존중보육, 교육신념, 직무환경의 기술통계 38
      •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각 주요 변수에 관한 차이 검정 39
      • 1) 영·유아권리존중보육과의 관계 39
      • 2) 교육신념과의 관계 42
      • 3) 직무환경과의 관계 43
      • 3. 영·유아권리존중보육, 교육신념, 직무환경의 상관관계 44
      • 1) 변수 간 상관관계분석 44
      • 4.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이 영·유아권리존중보육, 교육신념, 직무환경에 미치는 영향 45
      • 1)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 45
      • 2)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이 교육신념에 미치는 영향 46
      • 3)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이 직무환경에 미치는 영향 47
      • 5. 보육교사의 교육신념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환경의 매개효과 검증 48
      • Ⅴ. 결론 52
      • 참고문헌 62
      • 부 록 74
      • ABSTRACT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