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급격한 통신기술의 발전은 우리 삶의 다른 모든 분야와 마찬가지로 의료 환경에도 많은 변화와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컴퓨터 기술이 의료산업을 급속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138041
2008
Korean
학술저널
19-26(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급격한 통신기술의 발전은 우리 삶의 다른 모든 분야와 마찬가지로 의료 환경에도 많은 변화와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컴퓨터 기술이 의료산업을 급속도...
오늘날 급격한 통신기술의 발전은 우리 삶의 다른 모든 분야와 마찬가지로 의료 환경에도 많은 변화와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컴퓨터 기술이 의료산업을 급속도로 변화시켜 나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변화가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을 보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근 미래의 수술실에서 마취과 간호사의 시각으로 마취 과정에 관한 새로운 인터랙션 컨셉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5년의 기술적 사회적 시각이 반영되었으며, 근 미래의 수술실에서 새로운 기술이 어떻게 환자 만족을 높이고 간호사의 업무 효율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의료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연구 결과인 “KEY” 는 다양한 직관적인 인터랙션방식을 통하여 마취과 간호사의 업무에 새로운 비전을 가져왔으며, 이것으로 인해 간호사는 수술과 관련된 기기들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 모든 시간동안 환자에게 주의를 기울일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안정성, 비용 등의 문제로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 실제적 측면에 있어서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보다 높은 수준의 프로토타입 제작을 통한 논리적 사용자 테스트와 사용자 평가가 요구되며 이를 바탕으로 컨셉의 세밀한 보완 연구가 뒤따라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medical environment today, new technology has compelled new work paradigm, as it has been other areas of our liv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see the changes that have been taken place, even though new computer technology has changed the ...
In the medical environment today, new technology has compelled new work paradigm, as it has been other areas of our liv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see the changes that have been taken place, even though new computer technology has changed the medical industry so rapidly. In this study, new concept of human computer interaction focusing on tangible interaction for anaesthetic procedure in an operating theatre has been explored with a 5 years technological and social perspective. This project is not intended to redesign the equipment itself but to focus on enhanced human computer interaction concepts. The exper iment shows that how new technology affects anaesthetic nurses’ work in an operating theatre in the near future to improve quality of the medical service by helping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enhance patient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EY brings new visions to the anaesthetic nurses via various types of interaction. Thanks to the KEY, the nurse is really free from the machines so that he can keep attention to patient most of the time during the whole operation.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is still preliminary, and further elaboration is strongly needed. It might be certain that additional further studies, such as high-fidelity prototyping and logistical user testing, should be followed not only to refine and communicate the ideas to audiences, but as a means of stimulating and generating further idea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Blaine, T., "The Jam-O-Drum Interactive Music System: A Study in Interaction Design" 165-173, 2000
2 Weinberg, G., "The Embroidered Musical Ball: A Squeezable Instrument for Expressive Performance" 283-284, 2000
3 Weiser. M., "The Computer for the 21st Century" 66-75, 1991
4 Jun Rekimoto, "Pick-and-Drop: A Direct Manipulation Technique for Multiple Computer Environments" 31-39, 1997
5 Kuniavsky, M., "Observing The User Ex perience –A Practitioner’s Guide to User Research" Mor anKaufmann Publishers, Elsevier Science 201-204, 2003
1 Blaine, T., "The Jam-O-Drum Interactive Music System: A Study in Interaction Design" 165-173, 2000
2 Weinberg, G., "The Embroidered Musical Ball: A Squeezable Instrument for Expressive Performance" 283-284, 2000
3 Weiser. M., "The Computer for the 21st Century" 66-75, 1991
4 Jun Rekimoto, "Pick-and-Drop: A Direct Manipulation Technique for Multiple Computer Environments" 31-39, 1997
5 Kuniavsky, M., "Observing The User Ex perience –A Practitioner’s Guide to User Research" Mor anKaufmann Publishers, Elsevier Science 201-204, 2003
돌 형태의 휴대용 생체신호 측정 인터페이스의 경험적인 평가 및 분석
모바일 장치를 위한 동작 추적형 이미지 브라우징 시스템
어린이 도서관 CONTEXT 분석 및 사용자 행태정보 모델링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05 | 0.05 | 0.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6 | 0.15 | 0.411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