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는 이동성과 접근성의 기능에 따라서 고 속도로, 간선도로, 집산도로, 국지도로 등으로 구분되어 진다. 고속도로와 간선도로는 이동성 기능이 주 기능이고, 국지도로는 주 기능이 접 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081818
2003
Korean
학술저널
1-5(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도로는 이동성과 접근성의 기능에 따라서 고 속도로, 간선도로, 집산도로, 국지도로 등으로 구분되어 진다. 고속도로와 간선도로는 이동성 기능이 주 기능이고, 국지도로는 주 기능이 접 근...
도로는 이동성과 접근성의 기능에 따라서 고 속도로, 간선도로, 집산도로, 국지도로 등으로 구분되어 진다. 고속도로와 간선도로는 이동성 기능이 주 기능이고, 국지도로는 주 기능이 접 근성이며, 집산도로는 간선도로와 국지도로의 중간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처럼 도로는 그 기능에 따라 각각의 역할이 나뉘어진다. 실제 도로상에서는 그 기능이 정확히 구분되어지지는 않지만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도로의 기능 을 생각한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최적경로를 탐색하는 경우에는 이런 도로의 위계를 고 려하지 않고, 각 링크의 통행비용만을 이용하여 최적경로를 탐색하여 교통정보를 제 공하고 있다. 이런 최적경로 탐색 기법은 운전자가 이동할 거리가 짧거나, 시간이 적 게 걸리는 경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거리가 점점 멀어지거나 시간이 많 이 걸리는 경우에 사람들은 위계가 높은 도로를 선호를 하며, 위계가 높은 도로를 이용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위계를 고려하여 최적경로를 탐색 기법을 적용하려고 한다. 도로의 위계를 고려함으로써 보다 더 최적경로정보 제공에 현실적인 접근을 시도하려고 한다.
교통분석의 집합화 수준이 교통정책 효과지표(MOE) 계산 결과에 주는 영향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