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 교수에 대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일반교사의 인식비교 = Comparison of Special Educators' Perception with General Educators' Perception on Instruction of Social Skill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421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일반교사의 인식을 비교하고, 현재 사회적 기술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지 실태를 밝히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은 군집표집된 전국 20개 학교에 소속된 특수교사 91명과 통합학급 일반교사 120명으로 모두 211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기적으로 시간을 별도로 배정하여 사회적 기술을 교수하고 있는 교사는 11명(5.2%)에 불과했으며, 특수교사의 사회적 기술 교수 빈도가 일반교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사회적 기술을 교수하기 위한 자료로는 초중등 교과서, 인터넷, 및 대학교재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전략에 있어서는 특수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또래교수, 시범, 역할놀이, 행동적 시연, 언어적 시연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 결핍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각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미래를 계획하는 능력' 과 '대화상대자를 향한 얼굴표정', 및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의 역할'에 있어서는 특수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을 위해 필요한 지원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각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특수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지역사회의 참여'의 필요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사회적 기술의 각 하위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각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개인적으로 주어진 과제를 완성하기'와 '상대방에게 접촉을 먼저 시도하기' 의 중요성에 있어 서는 특수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사회적 기술교수의 중요성과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일반교사의 인식을 비교하고, 현재 사회적 기술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지 실태를 밝히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일반교사의 인식을 비교하고, 현재 사회적 기술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지 실태를 밝히는 것에 있다. 연구대상은 군집표집된 전국 20개 학교에 소속된 특수교사 91명과 통합학급 일반교사 120명으로 모두 211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기적으로 시간을 별도로 배정하여 사회적 기술을 교수하고 있는 교사는 11명(5.2%)에 불과했으며, 특수교사의 사회적 기술 교수 빈도가 일반교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사회적 기술을 교수하기 위한 자료로는 초중등 교과서, 인터넷, 및 대학교재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전략에 있어서는 특수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또래교수, 시범, 역할놀이, 행동적 시연, 언어적 시연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 결핍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각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미래를 계획하는 능력' 과 '대화상대자를 향한 얼굴표정', 및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의 역할'에 있어서는 특수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을 위해 필요한 지원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각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특수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지역사회의 참여'의 필요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사회적 기술의 각 하위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각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개인적으로 주어진 과제를 완성하기'와 '상대방에게 접촉을 먼저 시도하기' 의 중요성에 있어 서는 특수교사가 일반교사에 비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사회적 기술교수의 중요성과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n instruction of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e hundred twenty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91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teachi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28.4%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were not teaching social skill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The most frequently use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eaching social skills were textbooks and internet. The most frequently used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direct instruction, cooperative learning, and peer tutor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taught social stills more often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Second, both groups realized the seriousness of lack of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seriousness of 'lack of ability to plan,' 'lack of smile,' and 'lack of listening skil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Third, both groups reported that the most important support for teaching social skills is support from famil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y also reported the need of support of instructional materials, systematic curriculum, and in-service trai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of local community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Lastly, both groups reported that the important components of social skills curriculum should include 'following direction,' 'expressing sorry,' 'controlling his own feeling' and so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completion of task' and 'interaction initi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n instruction of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e hundred twenty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91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teaching student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n instruction of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e hundred twenty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91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teachi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28.4%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y were not teaching social skill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The most frequently use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eaching social skills were textbooks and internet. The most frequently used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direct instruction, cooperative learning, and peer tutor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taught social stills more often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Second, both groups realized the seriousness of lack of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seriousness of 'lack of ability to plan,' 'lack of smile,' and 'lack of listening skil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Third, both groups reported that the most important support for teaching social skills is support from famil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y also reported the need of support of instructional materials, systematic curriculum, and in-service trai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of local community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Lastly, both groups reported that the important components of social skills curriculum should include 'following direction,' 'expressing sorry,' 'controlling his own feeling' and so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completion of task' and 'interaction initi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