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대 진번의 변천 연구 = A study on the evolution of ancient Jinb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84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진번은 고조선과 흥망을 함께한 정치체로 고조선 다음으로 한국 고대에 등장한 국가였다. 진번 주민들은 韓 사회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史記』에 의하면 진번은 ...

      진번은 고조선과 흥망을 함께한 정치체로 고조선 다음으로 한국 고대에 등장한 국가였다. 진번 주민들은 韓 사회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史記』에 의하면 진번은 기원전 4~3세기 고조선과 함께 燕나라와 전쟁을 했으며 위만의 초기 거주지와도 관련된다. 고조선과 燕나라의 전쟁 기사에서 진번의 존재가 특별히 강조된 것은 당시 전쟁에서 진번의 위상이 그만큼 컸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진번은 당시 조선 주변의 유력한 정치체로 燕나라 및 주변 예맥계 집단과 활발히 교류했던 것으로 보인다. 진번의 위치에 대한 상이한 기록들은 진번이 이동했다는 관점에서 이해한다면 합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진번은 본래 요동군 번한현과 관련되어 요동 북부에 위치했으나 燕나라의 공격을 받아 황해도 지역으로 이동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위만은 요동의 옛 진번지역을 기반으로 성장하여 고조선의 준왕을 몰아냈으며 漢나라의 지원을 받은 뒤에 황해도 지역의 진번을 복속시켰다. 이후 진번은 위만조선에 복속되었다가 漢나라에 멸망하게 된다. 漢나라는 진번 지역에 진번군을 설치하는데 진번군은 기원전 108년 설치되어 기원전 82년에 폐지되었다. 『茂陵書』의 진번군에 15현이 있었다는 기록은 받아들이기 어려우며 한군현의 남쪽 경계는 황해도 일대로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inbeon is a polity that shared its rise and fall with Old Joseon, and was a state that emerged following Old Joseon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It seems that after the fall of Jinbeon, its inhabitants moved southwards, and influenced the society...

      Jinbeon is a polity that shared its rise and fall with Old Joseon, and was a state that emerged following Old Joseon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It seems that after the fall of Jinbeon, its inhabitants moved southwards, and influenced the society of Han(韓) as well. According to Shiji(史記), Jinbeon(眞蕃), together with Old Joseon(古朝鮮), waged war against Yan Kingdom(燕國) in the 4th-3rd century BC, and also has connection with Wiman’s initial habitation. The special emphasis on the existence of Jinbeon laid by the article on the war between Yan Kingdom and Old Joseon suggests such a great status of Jinbeon in the war. It appears that Jinbeon, which was an influential polity around Old Joseon at that time, actively interacted with Yan Kingdom and surrounding groups of Yemaek(濊貊) extraction as well as Old Joseon. Records of different descriptions about the location of Jinbeon may be reasonably understood from the fact that Jinbeon was moved. Jinbeon was originally related to Fanhan County(番汗縣) in Liaodong Commandery(遼東郡), and was located in the west of Quian Shan Mountains(千山山脈); however, it seems that it was moved to the region of Hwanghaedo due to the attack of Yan Kingdom. Wiman Joseon grew with the old Jinbeon region as its stronghold, and ousted the King Jun of Old Joseon, and subjugated Jinbeon in the region of Hwanghae-do after obtaining support from the Han(漢) dynasty. Jinbeon, which was subjugated by Wiman Joseon, was later conquered by the Han Dynasty. The Han Dynasty established Jinbeon Commandery in the region of Jinbeon; the Jinbeon Commandery was established in 108 BC and was abolished in 82 BC.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the Han Dynasty established a commandery or a county even in the region of Jinbeon amidst unstable circumstances during the early period of its establishing commanderies and coun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사적 검토 Ⅲ. 진번국의 변천 Ⅳ. 진번군의 설치와 폐지 Ⅴ. 결론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연구사적 검토 Ⅲ. 진번국의 변천 Ⅳ. 진번군의 설치와 폐지 Ⅴ.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동, "李丙燾 선생의 韓國 고대 역사지리 연구와 그 學術史的 위치" 진단학회 (116) : 299-318, 2012

      2 苗威, "樂浪研究" 高等敎育出版社 2016

      3 "金史"

      4 김상민, "한반도 서북부지역 철기문화의 전개과정을 통해 본 위만조선과 마한" 한국학연구소 50 : 363-409, 2018

      5 서영수, "한국사 시민강좌 2" 1988

      6 윤내현, "한국고대사신론" 일지사 1986

      7 문안식, "한국 상고사 序章의 새로운 이해- 숙신에서 고조선으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2) : 5-42, 2012

      8 송호정, "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 푸른역사 2003

      9 송호정, "청동기시대 대동강 유역 팽이형토기문화와 고조선" 동양학연구원 (55) : 141-168, 2014

      10 도유호, "진번과 옥저성의 위치" 4 : 1962

      1 이기동, "李丙燾 선생의 韓國 고대 역사지리 연구와 그 學術史的 위치" 진단학회 (116) : 299-318, 2012

      2 苗威, "樂浪研究" 高等敎育出版社 2016

      3 "金史"

      4 김상민, "한반도 서북부지역 철기문화의 전개과정을 통해 본 위만조선과 마한" 한국학연구소 50 : 363-409, 2018

      5 서영수, "한국사 시민강좌 2" 1988

      6 윤내현, "한국고대사신론" 일지사 1986

      7 문안식, "한국 상고사 序章의 새로운 이해- 숙신에서 고조선으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2) : 5-42, 2012

      8 송호정, "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 푸른역사 2003

      9 송호정, "청동기시대 대동강 유역 팽이형토기문화와 고조선" 동양학연구원 (55) : 141-168, 2014

      10 도유호, "진번과 옥저성의 위치" 4 : 1962

      11 전대준, "조선단대사(고조선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0

      12 오영찬, "조선 후기 고대사 연구와 漢四郡" 호서사학회 (64) : 1-36, 2012

      13 복기대, "임둔 태수장 봉니를 통해 본 한사군의 위치" 61 : 2001

      14 연민수, "일본 역사교과서의 古代史 서술과 對韓認識 -2012년도 고등학교 일본사․세계사 검정본을 중심으로-" 일본학연구소 35 : 155-191, 2012

      15 박준형, "위만조선의 영역과 인구" 백산학회 (99) : 109-143, 2014

      16 김남중, "위만조선의 영역과 왕검성" 22 : 2001

      17 김남중, "위만조선의 성립과 발전 과정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4

      18 김한규, "요동사" 문학과지성사 2004

      19 서영수, "요동군과 현도군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20 조원진, "예맥・조선과 서주・춘추 제와의 교류"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3) : 13-68, 2019

      21 김남중, "안악군 당장경 유적과 단군 전승" 동북아역사재단 (65) : 159-199, 2019

      22 송호정, "실학자들의 역사지리관과 고조선 한사군 연구" 한국고대사학회 (62) : 27-59, 2011

      23 라명관, "신계군 정봉리 돌곽무덤" 6 : 1983

      24 윤용구, "새로 발견된 樂浪木簡-樂浪郡 初元四年 縣別戶口簿-" 한국고대사학회 (46) : 241-264, 2007

      25 천관우, "삼한의 성립과정-삼한고 제1부" 26 : 1974

      26 이현혜, "삼한사회형성과정연구" 일조각 1984

      27 강인숙, "비파형단검문화에 관한 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7

      28 오대양, "북한지역 고인돌유적의 특징과 성격" 한국고대학회 (40) : 69-106, 2014

      29 이양수, "변진한(弁辰韓) 지역에 영향을 준 고조선계의 문화 – 청동기시대부터 기원전 194년까지 –" 동북아역사재단 (55) : 117-152, 2017

      30 권오중, "백제의 성장과 낙랑‧대방" 한성백제박물관 2016

      31 "백제의 성장과 낙랑 대방" 한성백제박물관 2016

      32 손영종, "락랑군 남부지역(후의 대방군지역)의 위치 -<락랑군 초원4년 현별 호구다소□□> 통계자료를 중심으로-" 2 : 2006

      33 이청규, "동북아시아 고고학 개설Ⅰ(선‧원사시대 편)" 동북아역사재단 2020

      34 傅斯年, "동북사강" 주류성 2017

      35 서영수, "대외관계사에서 본 낙랑군" 31 : 1998

      36 오영찬, "낙랑군의 토착세력 재편과 지배구조 -기원전 1세기대 나무곽무덤의 분석을 중심으로 -" 35 : 1996

      37 오영찬, "낙랑군 연구" 사계절 2006

      38 홍주희, "낙랑고고학개론" 진인진 2014

      39 국립중앙박물관, "낙랑" 솔출판사 2001

      40 윤선태, "낙락군 호구부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0

      41 박선미, "기원전 3~2세기 요동지역의 고조선문화와 명도전유적" 14 : 2000

      42 박준형, "기원전 3~2세기 고조선의 중심지와 서계의 변화" 한국사학회 (108) : 1-37, 2012

      43 하문식, "고조선의 무덤연구 -중국 동북지역 고인돌과 동굴무덤을 중심으로-" 6 : 2005

      44 하문식, "고조선의 무덤 연구*북한지역 고인돌을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회 12 : 137-176, 2005

      45 윤내현, "고조선연구" 일지사 1994

      46 리지린, "고조선연구" 과학원출판사 1963

      47 박준형, "고조선사의 전개" 서경문화사 2014

      48 박선희, "고조선문명의 복식사" 지식산업사 2018

      49 김규정, "고조선과 익산" 익산시‧한국고대사학회 2015

      50 조원진, "고조선과 秦나라의 대외관계 연구" 한국사학회 (129) : 197-236, 2018

      51 조원진, "고조선과 燕나라의 전쟁과 요동" 한국고대학회 (62) : 35-75, 2020

      52 박대재, "고조선 이동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북아역사재단 (55) : 15-60, 2017

      53 유엠부찐, "고조선 : 역사‧고고학적 개요" 소나무 1990

      54 황기덕, "고고학자료집 4" 1974

      55 황기덕, "고고학자료집 3" 1963

      56 박선미, "고고학 자료로 본 위만조선의 문화 성격 – 평양 일대의 고분을 중심으로 –" 동양학연구원 (53) : 247-276, 2013

      57 이후석, "고고자료를 통해 본 만번한 - 전국시대 고조선과 연의 경계 변화" 동북아역사재단 (57) : 116-169, 2017

      58 백련행, "고고민속 1" 1966

      59 서길덕, "경기지역 동검 문화의 전개 양상" 한국고대학회 (35) : 5-45, 2011

      60 윤병모, "건창 동대장자유적과 고조선" 4 : 2021

      61 오영찬, "강좌한국고대사 10" 2003

      62 경기문화재단 경기문화연구원, "가평 대성리유적 : 京春線 複線電鐵 事業區間(제4工區)內 發掘調査報告書" 2009

      63 한림대학교 박물관, "가평 달전리유적" 한림대학교 박물관 2007

      64 이종수, "黑龍江省 東部지역 先史文化와 肅愼" 동양고전학회 (57) : 301-330, 2014

      65 "鹽鐵論"

      66 楊軍, "高句麗民族與國家的形成和演變"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6

      67 金映遂, "高句麗國都考" 전북대학교 2 : 1958

      68 김정배, "韓國民族文化의 起源" 高麗大學校出版部 1973

      69 이병도,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

      70 王綿厚, "遼寧省博物館學術論文集(1999-2008) 第1冊" 2009

      71 전진국, "辰國・辰王 기록과 ‘辰’의 명칭"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7) : 137-178, 2017

      72 辛德勇, "談歷史上首次出土的簡牘文獻-《茂陵書》" 4 : 2012

      73 "說文解字"

      74 周振鶴, "西漢政區地理" 人民出版社 1987

      75 苗威, "衛氏朝鮮史"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9

      76 "管子"

      77 許憲范, "第一次朝鮮學國際學術會義論文集" 1989

      78 李健才, "真番郡考評述" 4 : 1993

      79 趙紅梅, "真番郡考疑" 6 : 2004

      80 張博泉, "真番郡考" 4 : 1985

      81 김창석, "眞番의 변천과 百濟 건국집단의 出自" 한국고대사학회 (99) : 275-306, 2020

      82 今西龍, "眞番郡考" 1 (1): 1916

      83 池内宏, "眞番郡の位置について" 57 (57): 1948

      84 稻葉岩吉, "眞番郡の位置" 24 (24): 1914

      85 白鳥庫吉, "白鳥庫吉全集3 : 朝鮮史硏究" 岩波書店 1970

      86 崔艶茹, "營口市文物志" 遼寧民族出版社 1996

      87 孫進已, "漢真番郡考" 3 : 1984

      88 "漢書"

      89 許憲范, "漢四郡의 位置考" 42 : 1993

      90 張碧波, "漢四郡考釋" 1 : 1998

      91 趙紅梅, "漢四郡硏究" 香港亞洲出版社 2008

      92 白鳥庫吉, "漢の朝鮮四郡疆域考" 2 : 1912

      93 池内宏, "滿鮮史硏究 上世編" 吉川弘文館 1951

      94 池内宏, "滿鮮史硏究 上世編" 吉川弘文館 1951

      95 白鳥庫吉, "滿洲歷史地理 第1卷" 南滿洲鐵道株式會 1913

      96 稻葉岩吉, "滿洲國史通論" 한국학술정보 2014

      97 孫進己, "東北歷史地理 1" 黑龍江人民出版社 1989

      98 신채호, "朝鮮史硏究草" 朝鮮圖書株式會社 1929

      99 那珂通世, "朝鮮古史考 : 朝鮮樂浪玄菟帶方考" 5 (5): 1894

      100 今西龍, "朝鮮古史の硏究" 近澤書店 1937

      101 今西龍, "朝鮮古史の硏究" 近澤書店 1937

      102 신채호, "朝鮮上古史" 종로서원 1948

      103 楊守敬, "晦明軒稿" 商務印書館 1973

      104 배현준, "春秋戰國시기 燕文化의 중국동북지역 확산 및 토착집단과의 관계-고고학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87) : 119-161, 2017

      105 "後漢書"

      106 이양수, "弁辰韓 地域에 影響을 준 衛滿朝鮮의 文化 - 紀元前 194年부터 紀元前 108년까지 -" 한국학연구소 50 : 329-362, 2018

      107 윤용구, "平壤出土 「樂浪郡初元四年縣別戸」 研究" 3 : 2009

      108 靑山公亮, "帶方郡攷" 48 : 1968

      109 小田省吾, "帶方郡及其の遺蹟" 朝鮮總督府 1935

      110 今西龍, "大同江南の古蹟と樂浪王氏との關係" 2 (2): 1912

      111 鄒衡, "夏商周考古學論文集" 文物出版社 1980

      112 "史記"

      113 서영수, "古朝鮮의 對外關係와 疆域의 變動" 29 : 1999

      114 苗威, "古朝鮮硏究" 香港亞洲出版社 2006

      115 천관우, "古朝鮮史‧三韓史硏究" 일조각 1989

      116 程妮娜, "古代中國東北民族地區建置史" 中華書局 2011

      117 조진선, "北韓地域 細形銅劍文化의 發展과 性格" 한국상고사학회 47 (47): 59-87, 2005

      118 "前漢紀"

      119 馬偉, "前漢真番郡考釋" 3 : 2017

      120 池內宏, "公孫氏の帶方郡設置と曺魏の樂浪‧帶方二郡" 2 (2): 1929

      121 姜維公, "中國東北民族史 上卷" 吉林文史出版社 2014

      122 李德山, "中國東北古民族發展史"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3

      123 박대재, "三韓의 기원에 대한 사료적 검토" 31 : 2005

      124 "三國志"

      125 오현수, "『사기』 「조선열전」 기재 ‘秦故空地上下鄣’에 대한 검토 -秦故空地上下鄣의 공간적 범위와 기능-" 고려사학회 (70) : 45-71, 2018

      126 이준성, "『만주역사지리』의 한사군 연구와 ‘만선사’의 성격" 인문학연구원 (54) : 25-54, 2014

      127 김철민, "『我邦疆域考』 역주・비평 (4) -臨屯考・眞番考-" 고려사학회 (81) : 241-266, 2020

      128 윤용구, "『史記』·『漢書』 注文의 ‘古朝鮮’ 관련 기사" 한국고대사학회 (85) : 153-191, 2017

      129 위가야, "「武帝始建의 4郡」(白鳥庫吉․箭內亘)譯註" 만주학회 (12) : 285-348, 2011

      130 손영종, "《한4군》문제와 락랑 문화의 조선적성격" 사회과학출판사 2010

      131 김창석, "4세기 이전 한반도 중부지역의 정치체와 정세 변동 -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 중부고고학회 13 (13): 31-58, 2014

      132 金毓黻, "(김육불의) 東北通史" 동북아역사재단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43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