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시대의 교육행정과 과학교육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scientific education of The Joseon dynasty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69144

      • 저자
      • 발행사항

        익산 :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 공통과학교육전공 , 2015. 8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p110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정동운

      • 소장기관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학의 사상을 국가의 이념으로 하여 학교 교육을 중시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교육기관인 서당(書堂), 서원(書院), 향교(響校), 사부학당(四部學堂, 四學), 성균관(成均館)...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학의 사상을 국가의 이념으로 하여 학교 교육을 중시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교육기관인 서당(書堂), 서원(書院), 향교(響校), 사부학당(四部學堂, 四學), 성균관(成均館)을 대상하여 개별 교육기관의 연구와 더불어 서로 어떻게 관통하고 있는가를 고찰 하였으며, 조선시대의 과학교육의 시사점을 규명하여 당시의 총체적으로 교육행정과 과학교육의 성격, 교육과정 등을 이해하는데 유익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또한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교육과정을 전통에 비추어 정립하는 것에 시사하는 바가 크게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주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어 주로 문헌연구로 이루어 졌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의 교육을 담당한 최고 교육행정 기관은 예조였으며, 예조에서는 성균관(成均館), 사부(四部)학당 등 직할 학교를 유지 운영하는 일을 관여하였다. 지방에서는 도 관찰사 밑에 육방(六房)의 하나인 예방(禮房)이 있어 교육에 관한 일을 담당하였다. 교육기관은 서당(書堂)·서원(書院)·향교(鄕校)·사학(四學)·성균관(成均館)으로 대표될 수 있다.
      이상의 각급 교육기관에서 고찰된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의 실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의 교육목표 차원에서는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을 담당하였음이 밝혀졌다.
      둘째,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차원에서 크게 두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문자교육과 그 의미를 확장시켜 문장을 서술 할 수 있게 하여 교육하였다. 다른 하나는 학생들의 인성함양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셋째,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은 관학(官學)과 사학(私學)의 차별성을 인정하고 상호 보완을 강조하였다.
      조선시대 과학교육이 현대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홍대용이 일생동안 실천한 ‘의문을 갖고 의문에 대해 끊임없이 연구하는’ 학문적인 자세는 과학교육에서 가장 기본이 되어야할 공부 방법으로 삼아도 좋을 것이다.
      둘째, 과학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인 요인으로 우리의 사회·문화적인 요소를 생각할 수 있다.
      셋째, 오개념이 확고한 학생일수록 새로운 개념을 받아들이기 어렵고, 설령 새로운 개념은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 문제에 적용하면 많은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런 오개념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과학사를 수업에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과학이라는 학문이 우리 현대인 생활의 많은 부분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어느 정도 과학교육에 시사하는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most iconic educational institutes and their ideolog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regime period, namely Seodang, Seowon, Hyanggyo, Sabu and HYPERLINK "javascript:endicAutoLink('seonggyungwan');" Seongg...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most iconic educational institutes and their ideolog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regime period, namely Seodang, Seowon, Hyanggyo, Sabu and HYPERLINK "javascript:endicAutoLink('seonggyungwan');" Seonggyungwan, and how these departments were related collaboratively.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and will be presented in regard with the implications the science education during this period and it is judged to deliver a better pictur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nd curriculum flows. In addition, looking at the perspective of our modern education schemes and curriculums, this research study will present the differences in the old days and in the present and the implications between them.
      It was deemed feasible that literature researches should be applied and therefore, the research study is primarily comprised of literature researches. The results produced are as follows.
      The most superior education administration agency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Yaejo, the Board of the Ceremonies. This Board was in charge of operating and maintaining its subsidiary schools, such as Seonggyungwan and Sabu departments. In the other districts, there were federal governors and Yaebang, one of the Six Ministries of Joseon, under them and were responsible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s. The educational institutes are mainly represented by Seodang, Seowon, Hyanggyo, Sahak and Seonggyungwan.
      The respective level of educational institutes during the Joseon Dynasty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found out that these educational institutes set its fundamental aim on producing intelligent human resources with proper education standards. Secondly, the education standards as well as the contents that the educational institutes delivered can be summed up into two comprehensive aspects. One aspect tells about the literacy education and in-depth study approach was applied. The other talks about developing and cultivating et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Thirdly, these educational institutes stressed on accep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schools and their mutual supplementations.
      The implication the science education in the Joseon Dynasty contributes to the contemporary science education field can be written as follows. Firstly, the positive attitude of ‘having inquisitions and researching into unknowns’ set by Daeyong Hong, one of many scholars during this period, seems very much worth practising in the educational fields. Secondly, the contemporary societal and cultural factors can be thought as the agents influencing the scope of the educational fields. Thirdly, the stronger a student’s level of misconceptions towards certain things, the harder he or she finds difficult to accept new concepts and ideas. Although that student may already be aware of some new conceptions, there are bound to be quite a number of errors occurring when solving actual problems. One solution to tackle this problem could be introducing the history of science into the curriculum guideline.
      Lastly, thinking of the fact that science as one of many educational subjects brings much impacts onto every aspect of our modern lifestyle, it seems that the science education translates to a myriad of implications we should make ourselves aware o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에 필요성 1
      • Ⅱ. 이론적 배경 5
      • 1. 조선시대의 과학기술 5
      • Ⅰ. 서 론 1
      • 1. 연구에 필요성 1
      • Ⅱ. 이론적 배경 5
      • 1. 조선시대의 과학기술 5
      • 1) 조선전기 5
      • 2) 임진왜란 전후 8
      • 3) 조선후기 9
      • 2. 조선시대의 교육의 특성 11
      • 1) 조선시대 시대별 교육의 특성 11
      • 3. 조선시대의 왕세자 교육 15
      • 1) 교육목표 15
      • 2) 학습방법 17
      • 3) 단계별 과정 22
      • 4) 왕세자 통과의례 26
      • Ⅲ. 조선시대 관학(官學) 및 교육행정 31
      • 1. 향교 31
      • 1) 향교의 제도와 성격 31
      • 2) 교육과정 36
      • 2. 사학(四學) 42
      • 1) 사학(四學)의 제도와 성격 42
      • 2) 교육과정 46
      • 3. 성균관 58
      • 1) 성균관의 제도와 성격 58
      • 2) 교육과정 61
      • Ⅳ. 조선시대 사학(私學) 및 교육행정 66
      • 1. 서당 66
      • 1) 서당의 제도와 성격 66
      • 2) 교육과정 69
      • 2. 서원 74
      • 1) 서원의 제도와 성격 74
      • 2) 교육과정 78
      • Ⅴ. 홍대용의 조선시대 과학교육과 현대 과학교육 82
      • 1. 자연과학의 본질과 과학교육 82
      • 2.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 84
      • 3. 실용·실증적 과학교육 87
      • 4. 과학사와 과학교육 91
      • Ⅵ. 요약 및 결론 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