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뇨생식기 위축 증상을 동반한 폐경 여성에서 에스트로겐 질정 투여 후 국소 증상, 질 내 산도 및 질 성숙 지표의 변화 = Changes in Atrophic Symptoms, the Vaginal Maturation Index, and Vaginal pH in Postmenopausal Women Treated with Vaginal Estrogen Table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828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비뇨생식기 위축 증상을 호소하는 폐경 여성에게 에스트로겐 국소 요법은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효과를 조기에 판정할 수 있는 방법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연구목적: 비뇨생식기 위축 증상을 호소하는 폐경 여성에게 에스트로겐 국소 요법은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효과를 조기에 판정할 수 있는 방법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폐경 여성에서 에스트로겐 질 정 투여 전후 위축 증상, 질 성숙 지표, 질 내 산도 (pH)를 측정하여 가장 먼저 좋아지는 지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7년 11월 1일부터 2009년 4월 30일까지 상계백병원 폐경기 클리닉에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1주 치료군과 2주 치료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처음 방문 시 질 내 산도 (pH), 질 성숙 지표 (vaginal maturation index, VMI) 검사, 가장 불편한 증상을 측정하였고 주 3회 에스트리올 질 정 (500μg) 투여 후 질 내 산도, 질 성숙 지표, 위축 증상 호전 유무를 측정하는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각 치료 군의 치료 전후 위축 증상 호전 유무, 질 내 산도(pH), 질 성숙 지표를 비교 평가하였고 각 군 간에도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1주 치료군은 40명, 2주 치료군은 27명이 실험을 완료하였다. 각 군 환자들의 투여 전후 질 내 산도, 질 성숙 지표는 Paired T-test, 국소 폐경 증상 호전유무는 McNemar test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두 치료군 간의 질 내 산도, 질 성숙 지표는 Independent T-test, 위축 증상 호전 빈도는 Chi-square test를 사용하여 비교하였고 maturation value (MV)와 질 내 산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1주 치료군과 2주 치료군 모두에서 치료 전후 평균 질 성숙 지표의 세포분율에 유의한 변화가 있었고, 평균MV는 1주 치료군에서는 치료 전 23.1 ± 21.6 (SD)에서 치료 후 38.2 ± 23.9 (SD), 2주 치료군에서는 치료 전 23.6 ± 26.1 (SD)에서 치료 후 46.1 ± 15.0 (SD)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각각 P=0.000, P=0.000). 두 군 간 MV를 치료전과 후에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933, P=0.931). 1주 치료 군의 평균 질 내 산도는 치료 전 6.2 ± 0.5 (SD)에서 치료 후 5.0 ± 1.0 (SD)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고, 2주 치료 군의 평균 질 내 산도도 치료 전 6.2 ± 0.6 (SD)에서 치료 후 4.8 ± 0.8 (SD)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각각 P=0.002, P=0.000). 두 군 간 질 내 산도 (pH)를 치료 전과 후에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각각 P=0.756, P=0.261). 가장 불편해 하는 증상 (most bothersome symptom)은 두 군 모두에서 유의한 증상 개선을 보였다 (1주 치료군: P=0.000, 2주: P=0.000). 두 군간 위축 증상의 치료 후 개선 빈도의 차이는 없었다 (P=0.777). MV와 질 내 산도의 상관관계는 치료 전 상관계수 r = -0.518, 1주 치료 후 상관계수 r= -0.736, 2주 치료 후 상관계수 r= -0.481로 뚜렷한 음적 선형관계를 보였다. (각각 P=0.000, P=0.000, P=0.011). 결론: 비뇨생식기 위축 증상을 호소하는 폐경 여성에게 주 3회 에스트리올 질 정을 투여한 후 위축 증상, 질 내 산도, 질 성숙지표의 유의한 변화가 1주부터 관찰되며, 이들 세 가지 지표는 어느 한 지표의 선행함이 없이 동시에 호전된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atrophic symptoms, the vaginal maturation index (VMI), and vaginal pH in postmenopausal women after use of estriol vaginal tablets for the treatment of vaginal atrophy. Methods: In a randomized prospecti...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atrophic symptoms, the vaginal maturation index (VMI), and vaginal pH in postmenopausal women after use of estriol vaginal tablets for the treatment of vaginal atrophy. Methods: In a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67 postmenopausal women were treated with 500μg estriol tablets 3 times a week for 1 week in the 1-week treatment group (n=40) and for 2 weeks in the 2-week treatment group (n=27). The primary endpoints were changes in the VMI, vaginal pH, and improvement in participant-reported most bothersome symptom (MBS; vaginal dryness, irritation/itching, or dyspareunia). We compared three endpoints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each group and between the two treatment group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ginal pH and maturation value (MV) was assessed. Resul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V, decrease in pH, and improvement in the MBS occurred for women treated with estriol vaginal tablets in the 1- (P=0.000, P=0.002, and P=0.000, respectively) and 2-week treatment groups (P=0.000, P=0.000, and P=0.000,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1- and 2-week treatment groups with respect to improvement in the VMI, vaginal pH, or MB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ginal pH and MV showed a negative linear correlation at 0, 1, and 2 weeks (P=0.000, P=0.000, and P=0.011, respectively). Conclusion: Treatment with 500μg estriol vaginal tablets thrice-weekly for 1 week was effective in improving. It is thought that the three primary endpoints (VMI, vaginal pH, and MBS) improved at the same time during treatment. (J Korean Soc Menopause 2010;16:162-16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