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화에 있어서 형상이 표현하는 것은 대상을 있는 모습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닌 주관에 의하여 재구성한다는 의미가 있다. 이것은 내용과 표현방법에 대한 문제로서 중시하는 바에 따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883659
대전 :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3
2003
한국어
654.5 판사항(4)
759.11 판사항(19)
대전
63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43-4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회화에 있어서 형상이 표현하는 것은 대상을 있는 모습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닌 주관에 의하여 재구성한다는 의미가 있다. 이것은 내용과 표현방법에 대한 문제로서 중시하는 바에 따라 ...
회화에 있어서 형상이 표현하는 것은 대상을 있는 모습 그대로 재현하는 것이 아닌 주관에 의하여 재구성한다는 의미가 있다. 이것은 내용과 표현방법에 대한 문제로서 중시하는 바에 따라 그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서술적 내용이 강조될 경우 조형의식이 미약해지는 반면 표현 방법인 형식이 강조될 경우에 내용의 의미가 약해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인은 작업을 하기에 앞서 이러한 형식에 관하여 생각하게 되었고 그 결과 회화의 다양한 표현방법 중 인물의 사실적인 묘사와 화면의 추상 표현적인 방법 즉, 추상성과 구상성의 이중적 결합이라는 방법의 형식을 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이론적인 면에서 한국의 근대화단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인물화에서 새로운 독창성의 실험의식과 다양한 표현 방법을 알고자 하였다. 다양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도 인물화의 전반적인 역사적 성찰을 통하여 인물화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비교함으로써 그 특징을 알아보고 오늘날 현대의 인물화가 이루어낸 새로운 인물표현 방법과 더불어 전통인물화 양식에서 벗어난 다양하고도 다각적인 현대적 조형 방법을 수용하여 새로운 인물화로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전통시대와 뚜렷하게 대별되어 나타나는 한국 근대화단의 한 특징으로서 인물화를 통해 표현되고 있는 시대적 위치를 알고자 했다.
본 연구는 공간 예술 속의 한 분야로 중요한 미적 표현의 대상과 주제가 되어 왔던 인물을 중심으로 전통적 방법과 한국적 미감을 통한 현대적 인물화의 조형성에 접목시켜 시대상황에 의해 변화된 새로운 관점으로서의 현대 인물표현에 관하여 나름대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편 본인의 작업에는 주로 인물을 다루고 있는데 이는 예술을 통한 자기표현의 대상이 자연이나 사물이 아닌 인물일 경우 작가의 내면세계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며 또한 현대사회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내용적 갈등의 현상들이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만큼 인간을 통한 표현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본인은 이와 같은 인물표현의 방법에서 요구되는 표현상의 기교와 객관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 인물표현의 몇 가지 조형요소를 화면에 도입함으로써 현대적 감각에 맞는 인물표현을 시도하였으며 또한 인물들의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묘사를 통하여 우리가 일상에서 체험하게 되는 인간내면의 정서를 현대적 감정에 맞게 구성하고자 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