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신감정이 의뢰된 殺人被疑者의 MMPI = MMPI of the Suspected Murder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954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83년 3월부터 1984년 12월 사이에 경북의대 신경정신과에 살인피의자로 정신감정이 의뢰되었던 50명의 피감정자에 대한 MMPI 반응을 검토하였다. 검사의 실...

      본 연구는 1983년 3월부터 1984년 12월 사이에 경북의대 신경정신과에 살인피의자로 정신감정이 의뢰되었던 50명의 피감정자에 대한 MMPI 반응을 검토하였다. 검사의 실시는 교도관의 입회하에 개별적으로 실시하였고, 이 피감정자의 MMPI를 선행된 정신분열증 및 역할위조집단의 MMPI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피감정자를 최종 임상진단에 따라 정신병집단과 비정신병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프로파일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신감정이 의뢰된 살인피의자의 MMPI 프로파일은 신경증척도와 정신병척도 모두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고, 이 프로파일은 선행된 연구들의 정신분열증의 프로파일보다 높고 역할위조집단의 프로파일 보다는 낮았다.
      평균 F척도의 소점은 24.8로서 임상척도와 타당성을 인정하기 어렵다.
      정신감정이 의뢰된 살인피의자를 최종 임상진단에 따라 정신병집단과 비정신병집단으로 분류했을 때, 두 집단의 MMPI 프로파일은 형태 및 수준이 유사했다. 즉 두 집단이 모두 신경증척도와 정신병척도가 높았고 선행된 정신분열증의 프로파일보다 높았다.
      그러므로 살인피의자로 정신감정이 의뢰된 경우에 있어서, MMPI는 정서장애내에서 뿐만 아니라 정서장애와 정상간에 어떤 진단적 변별력을 부여하기 어렵다.
      따라서 심리검사에 대한 적절한 동기가 결여되어 있을 경우에는 MMPI와 같이 주관적 자기보고에 의존하는 검사는 그 타당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uthors studied MMPI resposes of 50 suspected murderers who had been referred to the psychiatrists from the court of Taegu area for the period of March 1983 to December 1984, to determine criminal responsibility. The MMPI was administered individu...

      The authors studied MMPI resposes of 50 suspected murderers who had been referred to the psychiatrists from the court of Taegu area for the period of March 1983 to December 1984, to determine criminal responsibility. The MMPI was administered individually in the presence of a watchman.
      The MMPI profile of the suspected murderers was compared with that of induced patients’ rolefaking group of previous study and that of the schizophrenic group of another study. Secondly, the suspected murdere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psychotic and nonpsychotic) and MMPI profile of of both groups were compa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MPI profile of the suspected murderers showed extremely elevated pattern in terms of neurotic triad as well as in psychotic tetrad and was higher in its scores than the profile of schizophrenic group, but was lower than that of role faking group.
      The mean F scale score of MMPI of the suspected murderers was extremely high (raw, 24.8)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lack of clinical validity.
      In the comparison of psychotic and nonpsychotic group of the suspected murderers, there was no different patterns and the patterns of both groups were more elevated in terms of neurotic triad and psychotic tetrad than those of schizophrenic comparison group.
      From the above results, the authors think the MMPI of suspected murderers was not effectively instrumental in determining mental illness from normal group. In conclusion, the lack of genuine motivation in psychological testing such as MMPI which heavily depends on subjective and selfreporting procedure results in lack of clinical validi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