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nalyzes three kinds of “Silla Hamwolsan Girimsa Sajuk 新 羅含月山祗林寺事蹟” of the Gyeongju Girimsa temple and various kinds of temple materials. In addition, the study presents basic data for reviewing the history of Girims...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ree kinds of “Silla Hamwolsan Girimsa Sajuk 新 羅含月山祗林寺事蹟” of the Gyeongju Girimsa temple and various kinds of temple materials. In addition, the study presents basic data for reviewing the history of Girims...
This study analyzes three kinds of “Silla Hamwolsan Girimsa Sajuk 新 羅含月山祗林寺事蹟” of the Gyeongju Girimsa temple and various kinds of temple materials. In addition, the study presents basic data for reviewing the history of Girimsa Templ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is article reviewed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history of the temple.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the building of the temple were reviewed. The Girimsa temple was the main temple located on the traffic road from the Gyeongju to the East Sea. The Girimsa temple of Mount Hamwo l would have been used as a major base for the defense of Gyeongju. The history of the Girimsa temple review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temple which was developed after the foundation of Temple. In the 18th century, it was a large-scale Buddhist temple with Daejukgwangjeon (大寂光殿), Yaksajeon (藥師殿), Obaeknahanjeon (五百羅漢殿), etc. The founding of Girimsa Temple analyzed with the background of the era centered on the related foundation records and narrative. This includes the Girimsa Reconstruction records (祇林寺重創記) written by Hyechong (惠聰) in 1705. The Limjungsa (林淨寺) was built by Gwangyu (光有). Wonhyo (元曉) changed the name of the temple to the Girimsa. The massive reconstruction of Girimsa Temple was accomplished in the 11th year of Seonjo(宣祖) (1578) of the Joseon Dynasty lasted through the 17th, 18th century, and part of the 19th century. Girimsa’s book of Buddhism publications reviewed the bibliographies and brief contents of the 『Geumgangbanya-baramilgyeong(金剛般若波羅蜜經)』, 『Buljojongpajido(佛祖 宗派之圖)』, 『Ojongwonryudo(五宗源流圖)』, etc.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祗林寺의 역사와 위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림사의 3본 사적과 사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祇林寺의 사명 등 역사의 전반과 불서간행을 검토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 하면 다음과 ...
본고는 祗林寺의 역사와 위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림사의 3본 사적과 사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祇林寺의 사명 등 역사의 전반과 불서간행을 검토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기림사의 현황과 사적에 해서 지역적 위치, 전각과 그 규모를 검토하였다. 기림사는 경주에서 동해로 나아가는 주요 교통로에 위치한 주요 사찰이었다. 경주 지역은 동해에 인접한 곳으로 기림사가 위치한 함월산은 이 시기 경주 방어의 주요 거점으로 활용되었 을 법하다. 기림사의 창건 이후 중창 등으로 전개된 전각의 구성과 내용을 검토하였다. 18세기에 는 적광전, 약사전, 오백나한전, 정광여래사리각, 무량수전, 진남루, 명부전, 종각, 寮 舍 113칸, 雪岑影幀閣, 龕室 등이 있는 규모 사찰이었다. 기림사의 창건은 1705년의 혜총이 쓴 「祇林寺重創記」에 梵摩羅國 光有가 林淨寺를 창건하고 신라 선덕여왕 원효가 전각을 중창하여 사명을 祗林寺로 개칭하였다는 간략 한 기록이 전한다. 이러한 기림사의 창건과 관련된 시창 기록과 연기 설화를 중심으로 시 배경과 함께 살펴보았다. 조선전기에 이루어진 기림사의 규모 중창은 선조 11년(1578)에 이루어졌다. 山人덕 竺禪이 중창하였다. 조선후기 祇林寺의 중창과 발전에 해서는 17세기의 중창, 18세기 1785년을 전후한 시기의 중창, 19세기의 1839년 이후 재건으로 구분하여 살펴 보았다. 기림사의 불서 간행은 『祗林寺事蹟』 과 함께 『金剛般若波羅蜜經』, 『佛祖宗派 之圖』, 『權實敎菩薩留惑度生之義』, 『天台四敎行位』, 『五宗源流圖』의 서지사항과 내 용을 살펴보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호동, "한국 고·중세 불교와 유교의 역할" 경인문화사 2007
2 박인석, "조선 후기 인담(印湛)의 『권실교보살유혹도생지의(權實敎菩薩留惑度生之義)』 연구" 한국사상사학회 (46) : 223-246, 2014
3 진홍섭, "묵재한화" 대원사 2011
4 南權熙, "高麗時代記錄文化硏究" 청주고인쇄박물관 2002
5 "高麗史"
6 허흥식, "高麗佛敎史硏究" 一潮閣 1986
7 "韓國金石全文 中世下" 아세아문화사 1984
8 "霽亭集"
9 朴方龍, "都市와 美術" 한국미술사교육연구회 1999
10 權相老, "退耕堂全書 권2" 梨花文化出版社 1998
1 김호동, "한국 고·중세 불교와 유교의 역할" 경인문화사 2007
2 박인석, "조선 후기 인담(印湛)의 『권실교보살유혹도생지의(權實敎菩薩留惑度生之義)』 연구" 한국사상사학회 (46) : 223-246, 2014
3 진홍섭, "묵재한화" 대원사 2011
4 南權熙, "高麗時代記錄文化硏究" 청주고인쇄박물관 2002
5 "高麗史"
6 허흥식, "高麗佛敎史硏究" 一潮閣 1986
7 "韓國金石全文 中世下" 아세아문화사 1984
8 "霽亭集"
9 朴方龍, "都市와 美術" 한국미술사교육연구회 1999
10 權相老, "退耕堂全書 권2" 梨花文化出版社 1998
11 權相老, "祗林寺의 光有聖人" 中央佛敎專門學校校友會 (8) : 1937
12 한상길, "祇林寺의 歷史와 思想" 동국대학교박물관 15 : 1998
13 홍윤식, "祇林寺의 伽藍構造와 그 意味" 동국대학교 박물관 15 : 1998
14 文化財管理局, "祇林寺毗盧遮那佛服藏典籍調査報告書" 문화재관리국 1988
15 "祇林寺本末寺法" 祇林寺 1912
16 慶州市, "祇林寺 大寂光殿 解體實測調査報告書" 경주시 1997
17 "海東地圖"
18 문명대, "毘盧遮那三身佛圖像의 形式과 祇林寺 三身佛像 및 佛畵의 연구" 동국대학교박물관 15 : 1998
19 "朝鮮王朝實錄"
20 奎章閣, "新羅含月山祇林寺事蹟"
21 주보돈, "新羅 지방통치체제의 정비과정과 촌락" 신서원 1998
22 남권희, "慶州에서 刊行된 書籍 硏究" 신라문화연구소 19 : 2001
23 "慶州先生案·府尹先生案"
24 "佛國寺誌(外)" 아세아문화사 1983
25 三品彰英, "三國遺事考證 上" 槁書房 1973
26 "三國遺事"
27 "三國史記"
송기숙의 『오월의 미소』에 드러난 국가폭력과 치유의 형상화 양상 고찰
순천지역 교육선교와 매산학교 - 선교부와 지역교회의 교제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9 | 0.42 | 0.641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