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한샘, "초등학생 글쓰기 어휘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2010
2 윤재민, "초등학교 한자교육을 위한 초급 한자 선정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3) : 2007
3 김성중,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필요한 적정 한자 수 및 한자 선정에 대한 검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18, 2016
4 민현식,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어 및 한자 분석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2004
5 교육부,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 표기 방안 연구"
6 김한샘, "초등학교 교과서 어휘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2009
7 김광해, "등급별 교육용 어휘" 박이정 2003
8 김성중, "新 ‘實事求是’의 측면에서 본 漢字敎育" 한국어문회 (224) : 2016
9 한은수, "初等學校 漢字 敎科書의 實態를 통해 본 漢字 敎育의 問題點"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11-157, 2014
10 한은수, "初等學校 敎育用 漢字 語彙 選定 方案과 例"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85, 2012
1 김한샘, "초등학생 글쓰기 어휘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2010
2 윤재민, "초등학교 한자교육을 위한 초급 한자 선정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3) : 2007
3 김성중, "초등학교 한자교육에 필요한 적정 한자 수 및 한자 선정에 대한 검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18, 2016
4 민현식,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어 및 한자 분석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2004
5 교육부,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 표기 방안 연구"
6 김한샘, "초등학교 교과서 어휘 조사 연구" 국립국어원 2009
7 김광해, "등급별 교육용 어휘" 박이정 2003
8 김성중, "新 ‘實事求是’의 측면에서 본 漢字敎育" 한국어문회 (224) : 2016
9 한은수, "初等學校 漢字 敎科書의 實態를 통해 본 漢字 敎育의 問題點"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11-157, 2014
10 한은수, "初等學校 敎育用 漢字 語彙 選定 方案과 例"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7-85,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