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滿洲音樂硏究1  :  만주국의 음악정책 전개 = Manchurian Music Study 1 : Development of Manchurian music polic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m music of Manchuria - a state existed in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for a period from 1932 to 1948. Especially examined were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 of the Governing Principle of Art and literature, published by Manchurian Government in 1941, and the development of Manchurian music policy, centering on the organization of a music band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and the commemorative musical program of the 10th anniversary of national foundation of Manchuria. In the 2 part, the development of anti-Japanese music was examined centering on Korean musicians' activities in Manchuria who were resting on the basis of Manchurian music policy. This study was to establish national identity of Korea. It is because Korean musicians, who took part in musical activities in Manchuria based on Japanese policy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had consistent influence upon domestic music bands. They had influence upon Japanese foundation of Manchurian Government and emigration policy, and industrial sites of South China, Central China, and North China, through their exchange activities with others in Manchuria. However, most importantly, they had influence upon the policy-making of Japanese national music through their consolatory performances for the Guangdong Army and created anti-Japanese music in that region.
      As to preceding studies on this theme, there is none in Korea, but there are some in Japan and China, such as Iwano Yuichi’s The Symphony Orchestra of the Royal Paradise: The Unknown History of Music in Mmchuria(滿洲-知られざる音楽史, 王道楽士の交響楽) published recently, However, they are all insufficient. A representative pre-War study on the modem Manchurian music is Tanabe Hisao’s The Greater East Asia Music, which is based on the cultural establishment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and is carried out as a part of the Greater East Asia Music studies. In addition to that, there is also Tsunashiro Eizō’s Music in Manchuria.
      This study consists of two chapters by and large. The first chapter deals with the background, content, and characteristic of the Governing Principle of Art and literature - a base of Manchurian music policy.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Manchurian modem music and the organization of Manchurian music bands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e second chapter consists of the HsinKing(Traditional Chinese 長春) Music Society and its HsinKing Orchestra, the organization of Manchurian Composer Association and its members' compositional activities, the composition of commemorative song for the 10th anniversary of Manchurian national foundation and the institution of the Manchurian national anthem, and the publication of commemorative songs for the 10th anniversary of Manchurian national foundation. In the appendix, there is the Governing Principle of Art and literature in Japanese and Korean.
      Based on the Governing Principle of Art and Literature, published in March 1941, Manchurian Government organized a music band and carried out a practical cultural and artistic policy to establish 'the Five Race-Cooperative Royal Heaven' as the symbol of national foundation. This Principle was enacted by the Public Relation Office of the Ministry of Manchurian Government Administration-a governmental agency similar to Japanese Intelligence Bureau-with the support of the Manchurian State Council, the Manchurian Cooperative Association, and the Gwandong Army, and made the Japanese establishment of the Japan-Manchuria-oriented Greater East Asia Co- Prosperity Sphere possible.
      Based on the Principle, 'Manchurian Troupe Association' was organized in July 1941, and it was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Manchurian Literary Men’s Association', 'Manchurian Artists Association', and 'Manchurian Cultural and Artistic League' - a liaison entity of other cultural and artistic entities. The 'Manchurian Cultural and Artistic League' could develop the music of the new Manchurian state that aiming to construct an intensive military state in Manchuria. And with the arrangement of musical terminology, starting of 'the Musician Training School' of 'the HsinKing(新京) Music Institute', enactment of Manchurian national anthem, and the commemorative events of the 10th anniversary of Manchurian national foundation, Japanese and Korean musicians constructed Japanese Orientalism-based New Asian System, centering on 'the Manchurian Composer Association' of 'the Manchurian Music Band Association'. It was the realization of 'the Governing Principle of Art and Literatur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Concord of Five Nnations' musicians, especially Korean musicians, such as Kim Dong-jin(金東振), were carried out their musical activities in Manchuria. Their purpose was to realize both the Manchurian cultural and artistic policy and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policy, by means of reshuffling the music of five races - Korea, Japan, China, Mongolia Russia - centering on Japanese music. It was an attempt to construct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japanese-Manchurian national music on the basis of completing the Manchurian Royal Heaven music.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m music of Manchuria - a state existed in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for a period from 1932 to 1948. Especially examined were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 of the Governing Principle of Art and litera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m music of Manchuria - a state existed in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for a period from 1932 to 1948. Especially examined were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 of the Governing Principle of Art and literature, published by Manchurian Government in 1941, and the development of Manchurian music policy, centering on the organization of a music band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and the commemorative musical program of the 10th anniversary of national foundation of Manchuria. In the 2 part, the development of anti-Japanese music was examined centering on Korean musicians' activities in Manchuria who were resting on the basis of Manchurian music policy. This study was to establish national identity of Korea. It is because Korean musicians, who took part in musical activities in Manchuria based on Japanese policy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had consistent influence upon domestic music bands. They had influence upon Japanese foundation of Manchurian Government and emigration policy, and industrial sites of South China, Central China, and North China, through their exchange activities with others in Manchuria. However, most importantly, they had influence upon the policy-making of Japanese national music through their consolatory performances for the Guangdong Army and created anti-Japanese music in that region.
      As to preceding studies on this theme, there is none in Korea, but there are some in Japan and China, such as Iwano Yuichi’s The Symphony Orchestra of the Royal Paradise: The Unknown History of Music in Mmchuria(滿洲-知られざる音楽史, 王道楽士の交響楽) published recently, However, they are all insufficient. A representative pre-War study on the modem Manchurian music is Tanabe Hisao’s The Greater East Asia Music, which is based on the cultural establishment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and is carried out as a part of the Greater East Asia Music studies. In addition to that, there is also Tsunashiro Eizō’s Music in Manchuria.
      This study consists of two chapters by and large. The first chapter deals with the background, content, and characteristic of the Governing Principle of Art and literature - a base of Manchurian music policy.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Manchurian modem music and the organization of Manchurian music bands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e second chapter consists of the HsinKing(Traditional Chinese 長春) Music Society and its HsinKing Orchestra, the organization of Manchurian Composer Association and its members' compositional activities, the composition of commemorative song for the 10th anniversary of Manchurian national foundation and the institution of the Manchurian national anthem, and the publication of commemorative songs for the 10th anniversary of Manchurian national foundation. In the appendix, there is the Governing Principle of Art and literature in Japanese and Korean.
      Based on the Governing Principle of Art and Literature, published in March 1941, Manchurian Government organized a music band and carried out a practical cultural and artistic policy to establish 'the Five Race-Cooperative Royal Heaven' as the symbol of national foundation. This Principle was enacted by the Public Relation Office of the Ministry of Manchurian Government Administration-a governmental agency similar to Japanese Intelligence Bureau-with the support of the Manchurian State Council, the Manchurian Cooperative Association, and the Gwandong Army, and made the Japanese establishment of the Japan-Manchuria-oriented Greater East Asia Co- Prosperity Sphere possible.
      Based on the Principle, 'Manchurian Troupe Association' was organized in July 1941, and it was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Manchurian Literary Men’s Association', 'Manchurian Artists Association', and 'Manchurian Cultural and Artistic League' - a liaison entity of other cultural and artistic entities. The 'Manchurian Cultural and Artistic League' could develop the music of the new Manchurian state that aiming to construct an intensive military state in Manchuria. And with the arrangement of musical terminology, starting of 'the Musician Training School' of 'the HsinKing(新京) Music Institute', enactment of Manchurian national anthem, and the commemorative events of the 10th anniversary of Manchurian national foundation, Japanese and Korean musicians constructed Japanese Orientalism-based New Asian System, centering on 'the Manchurian Composer Association' of 'the Manchurian Music Band Association'. It was the realization of 'the Governing Principle of Art and Literatur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Concord of Five Nnations' musicians, especially Korean musicians, such as Kim Dong-jin(金東振), were carried out their musical activities in Manchuria. Their purpose was to realize both the Manchurian cultural and artistic policy and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policy, by means of reshuffling the music of five races - Korea, Japan, China, Mongolia Russia - centering on Japanese music. It was an attempt to construct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japanese-Manchurian national music on the basis of completing the Manchurian Royal Heaven mus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32∼1945년간 존재한 중국 동북지역의 만주국(滿洲國)의 음악정책을 연구한 만주음악연구이다. 특히, 만주국이 1941년에 발표한 '예문지도요강'(藝文指導要鋼) 내용과 성격, 그리고 그 요강에 따른 악단조직과 만주국 건국10주년 경축음악 전개 등의 만주국 음악정책을 중심으로 전개양상을 다룬다. 이 글 1에 이어서 2에서는 만주국 음악정책에 따라 조선출신 음악가들의 활동을 비롯하여 독립운동현장의 항일(抗日)음악전개상황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들은 조선출신 음악인들이 시기 일본의 소위 대동아공영권(大東亞 共榮圈) 수립에 따른 만주국의 음악정책에 따라 활동하며 국내 악단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쳐왔고, 또 만주국과 교류하며 일제의 만주국 건설과 그 개발에 따른 이민정책은 물론 남ㆍ중ㆍ북지(南ㆍ中ㆍ北支)의 생산현장과 관동군 위문공연을 비롯한 일본국민음악을 수립하려는 정책에 이바지할 뿐만 아니라, 더욱이 이 지역은 조선인들의 항일음악을 창출한 지역이어서 앞으로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 만주음악을 연구하려고 한다.
      지금까지 본 주제로 접근한 국내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일본의 경우 최근에 발표된 이와노 유우이찌(岩野裕一)의 『만주-알려지지 않은 음악사, 왕도락토의 교향악』(滿洲-知られざる音楽史, 王道楽士の交響楽) 등을 비롯하여 중국측 연구가 있어도 모두 본격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전전(戰前)의 대표적인 근대만주음악연구는 전전(戰前)의 대표적인 음악논저는 타나베 히사오(田邊尙雄)가 대동아공영권의 문화건설에 입각한 대동아음악연구의 일환으로 연구한 『대동아 음악』(大東亞の音楽)이 있다. 그리고, 쯔나시로 에이조오(網代栄三)가 만주국 당시 만주음악과 관련한 논저로서 『만주에 있어서 음악』(滿洲ニ於ケル音楽)이 있다.
      본 논문은 크게 두 개의 장으로 접근하였다. 하나의 장은 만주국 음악정책의 근간인 '예문지도요강'의 발표배경과 내용 및 성격이다. 또 하나의 장은 그 요강에 따라 만주국이 악단을 조직하고 전개하는 양상을 다룬다. 두 번째의 장에서는 신경음악협회와 그 산하의 신경교향악단, 그리고 만주작곡가협회의 조직구성으로서 소속회원들의 작품발표와 만주국이 10주년을 기념하는 경축가 제정 및 국가제정 끝으로 만주국이 10주년을 경축하는 작품발표회 등으로 이루어졌다. 부록으로 '예문지도요강' 일어 전문과 번역문을 게재하였다.
      만주국은 1941년 3월에 발표한 '예문지도요강'(藝文指導要綱)에 따라 악단을 정비하고 새로운 체제로서 '5족협화의 왕도낙토'를 건국상징으로 삼으려는 실제적인 문화예술정책을 전개한다. 이 요강은 일본의 정보국과 같은 만주국 총무청(總務廳) 홍보소가 만주국의 행정기구로서 국무원과 만주협화회 그리고 관동군의 지원하에 이루어져서 일만(日滿)의 '대동아 문화공영권'을 구축할 수 있었던 요강이었다.
      이 요강에 따라, 1941년 7월부터 '만주극단협회' 결성을 필두로 '만주문예가협회', '만주악단협회’, '만주미술가협회' 그리고 이러한 예문단체의 연락 사무기관으로서 통합적인 '만주예문연맹'(滿洲藝文聯盟)이 차례대로 결성되었으며, 만주예문연맹이 만주국과 함께 고도국방국가 구축이라는 신체제 음악을 전개할 수 있었다. 또, 음악용어통일과 신경음악원(新京音樂院)의 '악원양성소'(樂員養成所) 발족, 만주국가 재정, 만주국 건국10주년 기념행사 주관 등이 이루어지면서 만주악단협회 소속의 '만주작곡가협회'가 중심이 되어 일본과 조선의 음악인들이 만주내외에서 일본적 오리엔탈리즘에 의한 아시아 신체제를 통일적으로 구축하고 있었으니 모두 '예문지도요강'의 실현이었다. 이 실현에 따라 5족협화의 음악인들, 특히 김동진을 비롯한 조선음악인들이 활동하였다. 그 실현은 목적하는 바는 다름아닌 조선ㆍ일본ㆍ중국ㆍ몽골ㆍ러시아 등 5족의 체제를 두고 일본음악중심으로 개편함으로써 일본국민음악을 수립하려는 만주국의 문화예술정책의 실현이자 일본의 대동아공영권의 실현장이었다. 모두가 만주국의 왕도국가음악의 완성하여 궁극적으로 일만 국민음악(日滿 國民音樂) 수립함으로서 대동아음악공영권을 구축하려했다.
      번역하기

      이 글은 1932∼1945년간 존재한 중국 동북지역의 만주국(滿洲國)의 음악정책을 연구한 만주음악연구이다. 특히, 만주국이 1941년에 발표한 '예문지도요강'(藝文指導要鋼) 내용과 성격, 그리고 ...

      이 글은 1932∼1945년간 존재한 중국 동북지역의 만주국(滿洲國)의 음악정책을 연구한 만주음악연구이다. 특히, 만주국이 1941년에 발표한 '예문지도요강'(藝文指導要鋼) 내용과 성격, 그리고 그 요강에 따른 악단조직과 만주국 건국10주년 경축음악 전개 등의 만주국 음악정책을 중심으로 전개양상을 다룬다. 이 글 1에 이어서 2에서는 만주국 음악정책에 따라 조선출신 음악가들의 활동을 비롯하여 독립운동현장의 항일(抗日)음악전개상황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들은 조선출신 음악인들이 시기 일본의 소위 대동아공영권(大東亞 共榮圈) 수립에 따른 만주국의 음악정책에 따라 활동하며 국내 악단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쳐왔고, 또 만주국과 교류하며 일제의 만주국 건설과 그 개발에 따른 이민정책은 물론 남ㆍ중ㆍ북지(南ㆍ中ㆍ北支)의 생산현장과 관동군 위문공연을 비롯한 일본국민음악을 수립하려는 정책에 이바지할 뿐만 아니라, 더욱이 이 지역은 조선인들의 항일음악을 창출한 지역이어서 앞으로 민족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 만주음악을 연구하려고 한다.
      지금까지 본 주제로 접근한 국내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일본의 경우 최근에 발표된 이와노 유우이찌(岩野裕一)의 『만주-알려지지 않은 음악사, 왕도락토의 교향악』(滿洲-知られざる音楽史, 王道楽士の交響楽) 등을 비롯하여 중국측 연구가 있어도 모두 본격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전전(戰前)의 대표적인 근대만주음악연구는 전전(戰前)의 대표적인 음악논저는 타나베 히사오(田邊尙雄)가 대동아공영권의 문화건설에 입각한 대동아음악연구의 일환으로 연구한 『대동아 음악』(大東亞の音楽)이 있다. 그리고, 쯔나시로 에이조오(網代栄三)가 만주국 당시 만주음악과 관련한 논저로서 『만주에 있어서 음악』(滿洲ニ於ケル音楽)이 있다.
      본 논문은 크게 두 개의 장으로 접근하였다. 하나의 장은 만주국 음악정책의 근간인 '예문지도요강'의 발표배경과 내용 및 성격이다. 또 하나의 장은 그 요강에 따라 만주국이 악단을 조직하고 전개하는 양상을 다룬다. 두 번째의 장에서는 신경음악협회와 그 산하의 신경교향악단, 그리고 만주작곡가협회의 조직구성으로서 소속회원들의 작품발표와 만주국이 10주년을 기념하는 경축가 제정 및 국가제정 끝으로 만주국이 10주년을 경축하는 작품발표회 등으로 이루어졌다. 부록으로 '예문지도요강' 일어 전문과 번역문을 게재하였다.
      만주국은 1941년 3월에 발표한 '예문지도요강'(藝文指導要綱)에 따라 악단을 정비하고 새로운 체제로서 '5족협화의 왕도낙토'를 건국상징으로 삼으려는 실제적인 문화예술정책을 전개한다. 이 요강은 일본의 정보국과 같은 만주국 총무청(總務廳) 홍보소가 만주국의 행정기구로서 국무원과 만주협화회 그리고 관동군의 지원하에 이루어져서 일만(日滿)의 '대동아 문화공영권'을 구축할 수 있었던 요강이었다.
      이 요강에 따라, 1941년 7월부터 '만주극단협회' 결성을 필두로 '만주문예가협회', '만주악단협회’, '만주미술가협회' 그리고 이러한 예문단체의 연락 사무기관으로서 통합적인 '만주예문연맹'(滿洲藝文聯盟)이 차례대로 결성되었으며, 만주예문연맹이 만주국과 함께 고도국방국가 구축이라는 신체제 음악을 전개할 수 있었다. 또, 음악용어통일과 신경음악원(新京音樂院)의 '악원양성소'(樂員養成所) 발족, 만주국가 재정, 만주국 건국10주년 기념행사 주관 등이 이루어지면서 만주악단협회 소속의 '만주작곡가협회'가 중심이 되어 일본과 조선의 음악인들이 만주내외에서 일본적 오리엔탈리즘에 의한 아시아 신체제를 통일적으로 구축하고 있었으니 모두 '예문지도요강'의 실현이었다. 이 실현에 따라 5족협화의 음악인들, 특히 김동진을 비롯한 조선음악인들이 활동하였다. 그 실현은 목적하는 바는 다름아닌 조선ㆍ일본ㆍ중국ㆍ몽골ㆍ러시아 등 5족의 체제를 두고 일본음악중심으로 개편함으로써 일본국민음악을 수립하려는 만주국의 문화예술정책의 실현이자 일본의 대동아공영권의 실현장이었다. 모두가 만주국의 왕도국가음악의 완성하여 궁극적으로 일만 국민음악(日滿 國民音樂) 수립함으로서 대동아음악공영권을 구축하려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면서
      • 2. 만주국의 음악정책
      • 2-1.'예문지도요강' 발표의 배경
      • 2-2.'예문지도요강'의 내용과 성격
      • 3. 만주국 악단 조직과 전개
      • 1. 들어가면서
      • 2. 만주국의 음악정책
      • 2-1.'예문지도요강' 발표의 배경
      • 2-2.'예문지도요강'의 내용과 성격
      • 3. 만주국 악단 조직과 전개
      • 3-1. 신경음악협회-신경교향악단
      • 3-2. 만주작곡가협회
      • 3-3. 작품발표
      • 4. 맺으면서
      • 부록 : 「藝文指導要綱」의 원문과 번역문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