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희상, "현대 문화지리의 이해" 푸른길 2013
2 김지혜, "한국의 양식 산업 속 적조와 인간의 관계: 작은 것들의 카리스마, 적조" 한국공간환경학회 28 (28): 101-149, 2018
3 박미선, "한국 주거불안계급의 특징과 양상 : 1인 청년가구를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7 (27): 110-140, 2017
4 최은영,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및 주거빈곤 가구 실태 분석" 한국도시연구소 2017
5 김서연, "청년층 주거문제의 현황과 과제" 102 : 9-19, 2013
6 김선기, "청년 연구과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연구동향의 메타분석을 바탕으로" 고함 20 청년연구소 2016
7 정민우, "청년 세대의 주거와 이동, 정체화의 불/연속성 : 고시원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8 이태진, "청년 빈곤 해소를 위한 맞춤형 주거지원 정책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9 권현정, "청년 1인 가구의 주거복지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10 Cresswell, T, "지리사상사" 시그마프레스 2015
1 이희상, "현대 문화지리의 이해" 푸른길 2013
2 김지혜, "한국의 양식 산업 속 적조와 인간의 관계: 작은 것들의 카리스마, 적조" 한국공간환경학회 28 (28): 101-149, 2018
3 박미선, "한국 주거불안계급의 특징과 양상 : 1인 청년가구를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7 (27): 110-140, 2017
4 최은영,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 및 주거빈곤 가구 실태 분석" 한국도시연구소 2017
5 김서연, "청년층 주거문제의 현황과 과제" 102 : 9-19, 2013
6 김선기, "청년 연구과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연구동향의 메타분석을 바탕으로" 고함 20 청년연구소 2016
7 정민우, "청년 세대의 주거와 이동, 정체화의 불/연속성 : 고시원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8 이태진, "청년 빈곤 해소를 위한 맞춤형 주거지원 정책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9 권현정, "청년 1인 가구의 주거복지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10 Cresswell, T, "지리사상사" 시그마프레스 2015
11 음성원, "주거에 대한 상상력, 전환이 시작된다, 서울의 미래 2: 도전받는 공간" 서울연구원 2017
12 McDowell, L., "젠더, 정체성, 장소: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이해" 한울 2010
13 Cresswell, T., "장소: 짧은 지리학 개론 시리즈" 시그마프레스 2012
14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15 이용균, "이주의 관계적 사고와 이주자 공간의 위상 읽기: 관계, 위상 및 아상블라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 20 (20): 113-128, 2017
16 장민지, "유동하는 세계에서 거주하는 삶: 20, 30대여성청년 이주민들의 ‘집’의 의미와 장소화 과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17 Tomlinson, G., "세계화와 문화" 나남출판 2004
18 최은영, "서울시 청년가구의 주거실태와 정책 연구" 민주정책연구원 2014
19 Valentins, G., "사회지리학" 논형 2009
20 김환석, "사회과학의 ‘물질적 전환(material turn)’을 위하여" 비판사회학회 (112) : 208-231, 2016
21 구승우, "도시 속의 청년 ‘난민’: 청년들의 ‘방’ 거주경험에 대한 문화적 분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22 권혁삼, "대학협력형 공공임대주택 공급방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8
23 이한솔, "대학생의 주거권을 말한다 - 민달팽이유니온" 102 : 49-61, 2013
24 김동근, "단기 주거에서의 장소애착에 대한 연구 - 대학교 기숙사생 및 자취생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79-90, 2011
25 이용균, "글로벌이주: 이동, 관계, 주변화" 전남대학교출판부 2017
26 이영민, "글로벌 시대의 트랜스이주와 장소의 재구성: 문화지리적 연구 관점과 방법의 재정립"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5 (25): 47-62, 2013
27 박경환, "글로벌 시대 인문지리학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의 적용 가능성" 한국도시지리학회 17 (17): 57-78, 2014
28 Klinenberg, E., "고잉 솔로: 싱글턴이 온다" 더퀘스트 2013
29 진미윤, "고시원의 공급ㆍ운영관리 실태와 향후 정책 방향" 한국주택학회 26 (26): 5-35, 2018
30 권정현, "고시원 이용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소비자원 2013
31 Gilroy, P., "The Black Atlantic" Verso 1993
32 Wilkinson, E., "Single people’s geographies of home:intimacy and friendship beyond ‘ the family’" 46 : 2452-2468, 2014
33 Armbuster, H., "New Approaches to Migration? Transnational Communities and the Transformation of Home" Routledge 2002
34 최명애, "More-than-human Geographies of Nature: Toward a Careful Political Ecology" 대한지리학회 51 (51): 613-632, 2016
35 Miller, D., "Material Culture and Mass Consumption" Blackwell 1987
36 Jamieson, L., "LivingAlone: Globalization, Identity and Belonging" Palgrave Macmillan 2013
37 Levin, I., "Living apart together: A new family form" 52 (52): 223-240, 2004
38 Dayaratne, R., "Housing and homemaking in low-income urban settlements: Sri Lanka and Colombia" 23 (23): 53-70, 2008
39 Hand, M., "Home extensions in the United Kingdom: space, time, and practice" 25 : 668-681, 2007
40 Daniels, I. M., "Home Possessions: Material Culture behind Closed Doors" Berg 201-229, 2001
41 Blunt, A., "Home" Routledge 2006
42 Rose, G., "Feminism and Geography: The Limits of Geographical Knowledge" Polity Press 1993
43 Jones, G., "Experimenting with households and inventing ‘home’" 52 (52): 183-194, 2000
44 Fortier, A-M., "Cultural Geography: A Critical Dictionary of Key Conepts" I.B. Tauris 333-342, 2005
45 Brah, A., "Cartographies of Diaspora: Contesting Identities" Routledge 1996
46 Massey, D., "A place called home" 17 : 3-15, 1992
47 박미선, "1인 청년가구를 위한 주거복지 정책 방향" 국토연구원 2017
48 박미선, "1인 청년가구 주거여건 개선을 위한 정책 지원 방안" 1-8,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