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결혼기피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주택문제’가 해결될 경우, 즉 결혼 전 주택을 소유했을 때 결혼확률과 결혼시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원고정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80223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3-128(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결혼기피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주택문제’가 해결될 경우, 즉 결혼 전 주택을 소유했을 때 결혼확률과 결혼시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원고정효...
본 연구는 결혼기피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주택문제’가 해결될 경우, 즉 결혼 전 주택을 소유했을 때 결혼확률과 결혼시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원고정효과를 통제한 선형확률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결혼 전 주택소유는 결혼확률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이는 성별과 수도권 거주 여부에 따라 이질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또한 결혼 전 주택소유가 결혼시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전반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결혼확률과 마찬가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이질성 분석결과, 여성의 경우에서만 결혼 전 주택소유가 결혼시기를 일부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결혼 전 미혼 청장년들이 경제적 부담 측면에서 무리하게 주택을 소유하지 않도록 정부차원에서 환경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gle individuals consider housing problems as the primary determinant in their decision to marry in South Korea. If they own a house, are they less likely to avoid marriage and more inclined to marry sooner? To identify this, we investigate the impa...
Single individuals consider housing problems as the primary determinant in their decision to marry in South Korea. If they own a house, are they less likely to avoid marriage and more inclined to marry sooner? To identify this,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pre-marital homeownership on the transition to marriage and its timing. To do so, we exploit a linear probability model with two-way fixed effects. We find no significant evidence of pre-marital homeownership on the transition to marriage, consistent acros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imilarly, we also find that there is no evidence of the effects of pre-marital homeownership on marriage timing. However, the evidence of gender heterogeneity reveals that the pre-marital homeownership has marriage-delaying effects for wome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of government intervention to discourage owning a house before marri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