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원봉사여행의 심리적 치유 효과 -심층면접법을 사용하여- = The Impact of Voluntourism on Voluntourist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Application of In-depth Intervie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46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관광경험을 통한 여행참여자의 심리적 치유효과를 탐색적 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자원봉사관광의 심리적 치유효과와 관련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자원봉사여행참여자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심리가 변화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4명의 자원봉사여행자들이 인터뷰에 참여하였고 인터뷰 자료의 내용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총 8개의 범주를 포함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여행 이전 여행을 결정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 요인으로 그 원인에 따라 직장/학업 관련, 대인관계 관련, 체력(건강) 관련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여행과정 중에 겪는 여러 가지 경험으로는 내외적인 갈등과 이의 해소과정, 난관의 극복과 감사 지각, 그리고 감정의 공유로 구분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여행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로는 소통을 통한 감정의 교류, 그리고 측은지심으로 인한 삶의 태도 변화로 본 논문의 주제인 심리적 치유와 연관된 내용을 중심으로 범주가 선택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논문의 목적인 여행 참여 전에 가지고 있던 여러 가지 스트레스 요인과 부정적인 감정들, 또한 여행과정 가운데 경험하는 갈등과 부정적 정서가 여행 중 습득하게 되는 사회적, 정서적 능력의 고양을 통해 해결되는 과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참여자의 심리적 변화를 야기하는 자원봉사관광의 구체적인 경험은 무엇인지 또 이것이 어떤 심리적 변화의 결과를 가져올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원봉사관광의 연구에도 기여하는 바가 크며 이를 통해 자원봉사여행의 참여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관광경험을 통한 여행참여자의 심리적 치유효과를 탐색적 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자원봉사관광의 심리적 치유효과와 관련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관광경험을 통한 여행참여자의 심리적 치유효과를 탐색적 연구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자원봉사관광의 심리적 치유효과와 관련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자원봉사여행참여자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심리가 변화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4명의 자원봉사여행자들이 인터뷰에 참여하였고 인터뷰 자료의 내용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총 8개의 범주를 포함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여행 이전 여행을 결정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 요인으로 그 원인에 따라 직장/학업 관련, 대인관계 관련, 체력(건강) 관련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여행과정 중에 겪는 여러 가지 경험으로는 내외적인 갈등과 이의 해소과정, 난관의 극복과 감사 지각, 그리고 감정의 공유로 구분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여행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로는 소통을 통한 감정의 교류, 그리고 측은지심으로 인한 삶의 태도 변화로 본 논문의 주제인 심리적 치유와 연관된 내용을 중심으로 범주가 선택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논문의 목적인 여행 참여 전에 가지고 있던 여러 가지 스트레스 요인과 부정적인 감정들, 또한 여행과정 가운데 경험하는 갈등과 부정적 정서가 여행 중 습득하게 되는 사회적, 정서적 능력의 고양을 통해 해결되는 과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참여자의 심리적 변화를 야기하는 자원봉사관광의 구체적인 경험은 무엇인지 또 이것이 어떤 심리적 변화의 결과를 가져올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원봉사관광의 연구에도 기여하는 바가 크며 이를 통해 자원봉사여행의 참여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voluntourism experiences on voluntourists’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24 voluntourists who visited other countries were recruited for pre- or post-interviews or both interview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voluntourism experiences provided voluntourists with healing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rough self-reflection from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team members and locals. It is found that voluntourism led to the improvement of a psychological well-being in travelers. It is suggested tha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voluntourism on its travelers’ psychological well-being will lead organizations to offer support and services for the trips in terms of managemen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velers and local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voluntourism experiences on voluntourists’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24 voluntourists who visited other countries were recruited for pre- or post-interviews or both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voluntourism experiences on voluntourists’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24 voluntourists who visited other countries were recruited for pre- or post-interviews or both interview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voluntourism experiences provided voluntourists with healing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rough self-reflection from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team members and locals. It is found that voluntourism led to the improvement of a psychological well-being in travelers. It is suggested tha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voluntourism on its travelers’ psychological well-being will lead organizations to offer support and services for the trips in terms of managemen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velers and loca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봉, "여행경험과 심리치유 간의 관계" 한국관광산업학회 38 (38): 77-97, 2013

      2 이철희, "여가학의 질적연구방법론" Rainbow Books 2013

      3 고동우, "여가치료의 관점으로 본 관광 체험의 심리적 효과" 한국호텔관광학회 10 (10): 1-20, 2008

      4 류시영, "생태체험의 심리적 치유 효과 - 2012 그린캠프 참가자를 대상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157-176, 2012

      5 고동우, "관광자 정체성의 개념과 심리적 구조 차원" 한국관광학회 37 (37): 253-275, 2013

      6 Tourism Research & Marketing, "Volunteer tourism: A global analysis. A report by tourism research and marketing" Association for tourism and Leisure Education 2008

      7 Wearing, S., "Volunteer tourism : Experiences that make a difference" CABI 2001

      8 Tomazos, K., "Volunteer tourism : At the crossroads of commercialisation and service?" 15 (15): 405-423, 2012

      9 Wearing, S. L., "Volunteer tourism : A review" 38 : 120-130, 2013

      10 Sin, H. L., "Volunteer tourism : "Involve me and I will learn"?" 36 (36): 480-501, 2009

      1 이상봉, "여행경험과 심리치유 간의 관계" 한국관광산업학회 38 (38): 77-97, 2013

      2 이철희, "여가학의 질적연구방법론" Rainbow Books 2013

      3 고동우, "여가치료의 관점으로 본 관광 체험의 심리적 효과" 한국호텔관광학회 10 (10): 1-20, 2008

      4 류시영, "생태체험의 심리적 치유 효과 - 2012 그린캠프 참가자를 대상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157-176, 2012

      5 고동우, "관광자 정체성의 개념과 심리적 구조 차원" 한국관광학회 37 (37): 253-275, 2013

      6 Tourism Research & Marketing, "Volunteer tourism: A global analysis. A report by tourism research and marketing" Association for tourism and Leisure Education 2008

      7 Wearing, S., "Volunteer tourism : Experiences that make a difference" CABI 2001

      8 Tomazos, K., "Volunteer tourism : At the crossroads of commercialisation and service?" 15 (15): 405-423, 2012

      9 Wearing, S. L., "Volunteer tourism : A review" 38 : 120-130, 2013

      10 Sin, H. L., "Volunteer tourism : "Involve me and I will learn"?" 36 (36): 480-501, 2009

      11 Wearing, S., "The tourist as a metaphor of the social world" CABI Publishing 237-262, 2002

      12 Alexander, Z., "The effects of voluntourism(volunteer tourism) on the volunteer (the self)" 5 (5): 9-, 2009

      13 McGehee, N., "Social change, discourse, and volunteer tourism" 32 (32): 760-779, 2005

      14 Bailey, A., "Predictors of interpersonal growth in volunteer tourism : A Latent Curve approach" 30 (30): 352-368, 2010

      15 Broad, S., "Living the Thai life—a case study of volunteer tourism at the Gibbon Rehabilitation Project, Thailand" 28 (28): 63-72, 2003

      16 Alexander, Z., "International volunteer tourism experience in South Africa : An investigation into the impact on the tourist" 21 (21): 779-799, 2012

      17 Tiyce, M., "Healing through travel:Two women’s experiences of loss and adaptation" 1-13, 2008

      18 Stepchenkova, S., "Facilitating content analysis in tourism research" 47 (47): 454-469, 2009

      19 Lepp, A., "Discovering self and discovering others through the Taita Discovery Centre volunteer tourism programme, Kenya"

      20 Coghlan, A., "Applying a transformative learning framework to volunteer tourism" 19 (19): 713-728, 2011

      21 McGehee, N., "Alternative tourism as impetus for consciousness-raising" 6 : 239-251, 2002

      22 McGehee, N., "Alternative tourism and social movements" 29 : 124-143,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5 1.95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82 2.049 0.9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