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구글맵 API를 이용한 딥러닝 기반의 드론 자동 착륙 기법 설계 = Design of Deep Learning-Based Automatic Drone Landing Technique Using Google Maps AP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27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RPAS(Remote Piloted Aircraft System), by remote control and autonomous navigation, has been increasing in interest and utilization in various industries and public organizations along with delivery drones, fire drones, ambulances, agricultural drones, and others. The problems of the stability of unmanned drones, which can be self-controlled, are also the biggest challenge to be solved along the development of the drone industry. drones should be able to fly in the specified path the autonomous flight control system sets, and perform automatically an accurate landing at the destination. This study proposes a technique to check arrival by landing point images and control landing at the correct point, compensating for errors in location data of the drone sensors and GPS. Receiving from the Google Map API and learning from the destination video, taking images of the landing point with a drone equipped with a NAVIO2 and Raspberry Pi, camera, sending them to the server, adjusting the location of the drone in line with threshold, Drones can automatically land at the landing point.
      번역하기

      Recently, the RPAS(Remote Piloted Aircraft System), by remote control and autonomous navigation, has been increasing in interest and utilization in various industries and public organizations along with delivery drones, fire drones, ambulances, agricu...

      Recently, the RPAS(Remote Piloted Aircraft System), by remote control and autonomous navigation, has been increasing in interest and utilization in various industries and public organizations along with delivery drones, fire drones, ambulances, agricultural drones, and others. The problems of the stability of unmanned drones, which can be self-controlled, are also the biggest challenge to be solved along the development of the drone industry. drones should be able to fly in the specified path the autonomous flight control system sets, and perform automatically an accurate landing at the destination. This study proposes a technique to check arrival by landing point images and control landing at the correct point, compensating for errors in location data of the drone sensors and GPS. Receiving from the Google Map API and learning from the destination video, taking images of the landing point with a drone equipped with a NAVIO2 and Raspberry Pi, camera, sending them to the server, adjusting the location of the drone in line with threshold, Drones can automatically land at the landing poi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원격조종과 자율조종이 가능한 무인항공기(RPAS: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가 택배 드론, 소방드론, 구급 드론, 농업용 드론, 예술 드론, 드론 택시 등 각 산업 분야와 공공기관에서의 관심과 활용이 높아지고 있다. 자율조종이 가능한 무인드론의 안정성 문제는 앞으로 드론 산업의 발달과 함께 진화하면서 해결해야 할 가장 큰 과제이기도 하다. 드론은 자율비행제어 시스템이 지정한 경로로 비행하고 목적지에 정확하게 자동 착륙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드론의 센서와 GPS의 위치 정보의 오류를 보완하는 방법으로서 착륙지점 영상을 통해 드론의 도착 여부를 확인하고 정확한 위치에서의 착륙을 제어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서버에서 도착지 영상을 구글맵 API로부터 수신받아 딥러닝으로 학습하고, 드론에 NAVIO2와 라즈베리파이, 카메라를 장착하여 착륙지점의 이미지를 촬영한 다음 이미지를 서버에 전송한다. Deep Learning으로 학습된 결과와 비교하여 임계치에 맞게 드론의 위치를 조정한 후 착륙지점에 자동으로 착륙할 수 있다.
      번역하기

      최근 원격조종과 자율조종이 가능한 무인항공기(RPAS: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가 택배 드론, 소방드론, 구급 드론, 농업용 드론, 예술 드론, 드론 택시 등 각 산업 분야와 공공기관에서의 관심...

      최근 원격조종과 자율조종이 가능한 무인항공기(RPAS:Remotely Piloted Aircraft System)가 택배 드론, 소방드론, 구급 드론, 농업용 드론, 예술 드론, 드론 택시 등 각 산업 분야와 공공기관에서의 관심과 활용이 높아지고 있다. 자율조종이 가능한 무인드론의 안정성 문제는 앞으로 드론 산업의 발달과 함께 진화하면서 해결해야 할 가장 큰 과제이기도 하다. 드론은 자율비행제어 시스템이 지정한 경로로 비행하고 목적지에 정확하게 자동 착륙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드론의 센서와 GPS의 위치 정보의 오류를 보완하는 방법으로서 착륙지점 영상을 통해 드론의 도착 여부를 확인하고 정확한 위치에서의 착륙을 제어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서버에서 도착지 영상을 구글맵 API로부터 수신받아 딥러닝으로 학습하고, 드론에 NAVIO2와 라즈베리파이, 카메라를 장착하여 착륙지점의 이미지를 촬영한 다음 이미지를 서버에 전송한다. Deep Learning으로 학습된 결과와 비교하여 임계치에 맞게 드론의 위치를 조정한 후 착륙지점에 자동으로 착륙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형진, "사용자 인증을 위한 딥러닝 기반 얼굴인식 기술 동향" 대한산업경영학회 17 (17): 23-29, 2019

      2 "OpenCV Library Package-”IntRoLab"

      3 "KNN Euclidean Distance"

      4 Y. K. Ju, "Image Processing Based Drone Landing Technique Considering GPS error and wind Direction" 8 (8): 245-254, 2019

      5 D.G Lowe, "Distinctive image features from scale-invariant keypoints" 60 (60): 91-110, 2004

      6 J. M. Jeong,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mage Sensor Based Landing Site Recognition Algorithm for Autonomous Land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547-1550, 2015

      7 N. Jayanthi, "Comparison of image matching techniques" 7 (7): 396-401, 2016

      8 "Comparison of Features Using SIFT Technicians"

      9 이정필, "Cam-Shift 알고리즘을 이용한 경비드론 융합서비스 기법" 한국융합학회 7 (7): 29-34, 2016

      10 Y. Feng, "Autonomous landing of a UAV on a moving platform using model predictive control" 2 (2): 34-, 2018

      1 문형진, "사용자 인증을 위한 딥러닝 기반 얼굴인식 기술 동향" 대한산업경영학회 17 (17): 23-29, 2019

      2 "OpenCV Library Package-”IntRoLab"

      3 "KNN Euclidean Distance"

      4 Y. K. Ju, "Image Processing Based Drone Landing Technique Considering GPS error and wind Direction" 8 (8): 245-254, 2019

      5 D.G Lowe, "Distinctive image features from scale-invariant keypoints" 60 (60): 91-110, 2004

      6 J. M. Jeong,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mage Sensor Based Landing Site Recognition Algorithm for Autonomous Land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547-1550, 2015

      7 N. Jayanthi, "Comparison of image matching techniques" 7 (7): 396-401, 2016

      8 "Comparison of Features Using SIFT Technicians"

      9 이정필, "Cam-Shift 알고리즘을 이용한 경비드론 융합서비스 기법" 한국융합학회 7 (7): 29-34, 2016

      10 Y. Feng, "Autonomous landing of a UAV on a moving platform using model predictive control" 2 (2): 34-, 2018

      11 H. N. Kim, "Automatic take-off and landing method and device of drones, KR. Patent No. 10-17495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7-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Daehan Association Of Industrial Management -> Dae Han Society of Industrial Management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