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프로그램 변화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Program Changes of Domestic highway rest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28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concept of domestic highway rest areas has been changed as a place for various purposes during travel in selective transit spaces for physiological solutions. In this change of life, the spatial design change of the rest area of ​​the future will continue to b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pace program through research on the physical & value change of the space program in current rest area by focusing on the connection with social change. (Method) First, a framework for research analysis is prepared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definition and role of rest areas and existing spatial programs. Second, this study suggests an analysis of the important recognition spaces of rest areas by age group through a survey of male and female rest stop users in their 20s and 70s. Third, based on the planes of the rest area spaces established at each time period from 1970 to 10 yea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the occupancy ratio of the area by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total analysis space are analyzed. Fourth, we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t spatial awareness of the customer space and the changes in the space program of rest areas by time and interval through graphs for each result. Fifth,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is study proves the connection between changes in the rest area program and the lifestyle of the gues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past generation of main users as the 60s and 70s are increasing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pace for business and relief from physiological needs. Otherwise, the importance of cultural experience space and service space for user toward the future generation of 20~30 generations was found to be greatly recognized. As to analysis results of spatial program changes in rest area, in the past, dining spaces, business spaces such as convenient shops, and space for relieving physiological needs were focused on, but the current rest area was gradually expanding to provide user service spaces such as relaxation experiences and spaces to resolve cultural experience needs.(Conclusions) Two results of graphing the changes in the space program of rest areas by age and the proportion of the important recognition spaces of rest areas by age group are similar formally, so this is the result that the change of the rest area program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of lifestyle by age group. With upcoming the commercialization of future autonomous vehicl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a variety of new concept space programs by preemptively predicting the users lifestyle of rest area.
      번역하기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concept of domestic highway rest areas has been changed as a place for various purposes during travel in selective transit spaces for physiological solutions. In this change of life, the spatial design change of ...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concept of domestic highway rest areas has been changed as a place for various purposes during travel in selective transit spaces for physiological solutions. In this change of life, the spatial design change of the rest area of ​​the future will continue to b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pace program through research on the physical & value change of the space program in current rest area by focusing on the connection with social change. (Method) First, a framework for research analysis is prepared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definition and role of rest areas and existing spatial programs. Second, this study suggests an analysis of the important recognition spaces of rest areas by age group through a survey of male and female rest stop users in their 20s and 70s. Third, based on the planes of the rest area spaces established at each time period from 1970 to 10 yea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the occupancy ratio of the area by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total analysis space are analyzed. Fourth, we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t spatial awareness of the customer space and the changes in the space program of rest areas by time and interval through graphs for each result. Fifth,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is study proves the connection between changes in the rest area program and the lifestyle of the gues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past generation of main users as the 60s and 70s are increasing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pace for business and relief from physiological needs. Otherwise, the importance of cultural experience space and service space for user toward the future generation of 20~30 generations was found to be greatly recognized. As to analysis results of spatial program changes in rest area, in the past, dining spaces, business spaces such as convenient shops, and space for relieving physiological needs were focused on, but the current rest area was gradually expanding to provide user service spaces such as relaxation experiences and spaces to resolve cultural experience needs.(Conclusions) Two results of graphing the changes in the space program of rest areas by age and the proportion of the important recognition spaces of rest areas by age group are similar formally, so this is the result that the change of the rest area program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of lifestyle by age group. With upcoming the commercialization of future autonomous vehicl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a variety of new concept space programs by preemptively predicting the users lifestyle of rest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의 개념은 생리적 해결을 위한 선택적 경유 공간에서 여행 중 다양한 목적의 장소로서 변화되어가고 있다. 그 배경으로는 운영사의 경쟁에 의한 자체적 시설투자 뿐 아니라 이용객의 생활수준 향상에서 오는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급변하는 기술의 발전 등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삶의 변화 속에서 미래의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디자인 변화는 지속적으로 요구되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변화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현재 휴게소의 물리적 변화와 공간프로그램은 어떠한 가치로 변화되어 왔는가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래의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속도로 휴게소의 정의 및 역할, 기존의 공간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 분석의 틀을 마련한다. 둘째, 20대부터 70대까지 남, 여의 휴게소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령대별 휴게소의 중요 인식공간에 대한 분석을 제시한다. 셋째, 1970년부터 10년 단위로 각 시기에 개설된 휴게소 공간의 평면을 기반 하여 공간의 특성 및 전체 분석 공간 대비 특성별 면적의 점유비율을 분석한다. 넷째, 고객층의 중요 공간 인식도와 시대별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 변화와의 관계성을 각 결과별 그래프를 통해 비교분석 한다. 다섯째,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의 변화와 이용객의 라이프 스타일과의 연관성을 증명하고, 미래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 변화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결과) 라이프 스타일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과거의 주 이용객 세대인 60~70대로 갈수록 생리적 욕구 해소를 위한 공간과 영업적 공간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는 반면 미래의 주 이용객 세대인20~30대로 갈수록 문화 체험적 공간과 이용자 서비스 공간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간 프로그램 변화의 분석 결과 과거 식사 공간, 매점 등의 영업 공간, 생리적 욕구 해소를 위한 공간 위주에서 현재의 휴게소 공간은 휴식 체험 등 이용자 서비스 공간, 문화 체험욕구 해소를 위한 공간 등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시대별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프로그램의 변화 형태와 연령대별 고속도로 휴게소 중요 인식 공간의 비율 형태를 그래프 화하여 비교한 결과 두 그래프의 형태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의 변화가 연령대별 대별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다가올 미래의 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는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객의 라이프 스타일의 선제적 예측으로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개념의 공간 프로그램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의 개념은 생리적 해결을 위한 선택적 경유 공간에서 여행 중 다양한 목적의 장소로서 변화되어가고 있다. 그 배경으로는 운영사의 경쟁에 의...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국내 고속도로 휴게소의 개념은 생리적 해결을 위한 선택적 경유 공간에서 여행 중 다양한 목적의 장소로서 변화되어가고 있다. 그 배경으로는 운영사의 경쟁에 의한 자체적 시설투자 뿐 아니라 이용객의 생활수준 향상에서 오는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급변하는 기술의 발전 등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삶의 변화 속에서 미래의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디자인 변화는 지속적으로 요구되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변화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현재 휴게소의 물리적 변화와 공간프로그램은 어떠한 가치로 변화되어 왔는가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래의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속도로 휴게소의 정의 및 역할, 기존의 공간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 분석의 틀을 마련한다. 둘째, 20대부터 70대까지 남, 여의 휴게소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령대별 휴게소의 중요 인식공간에 대한 분석을 제시한다. 셋째, 1970년부터 10년 단위로 각 시기에 개설된 휴게소 공간의 평면을 기반 하여 공간의 특성 및 전체 분석 공간 대비 특성별 면적의 점유비율을 분석한다. 넷째, 고객층의 중요 공간 인식도와 시대별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 변화와의 관계성을 각 결과별 그래프를 통해 비교분석 한다. 다섯째,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의 변화와 이용객의 라이프 스타일과의 연관성을 증명하고, 미래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 변화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결과) 라이프 스타일 분석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과거의 주 이용객 세대인 60~70대로 갈수록 생리적 욕구 해소를 위한 공간과 영업적 공간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는 반면 미래의 주 이용객 세대인20~30대로 갈수록 문화 체험적 공간과 이용자 서비스 공간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간 프로그램 변화의 분석 결과 과거 식사 공간, 매점 등의 영업 공간, 생리적 욕구 해소를 위한 공간 위주에서 현재의 휴게소 공간은 휴식 체험 등 이용자 서비스 공간, 문화 체험욕구 해소를 위한 공간 등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시대별 고속도로 휴게소의 공간 프로그램의 변화 형태와 연령대별 고속도로 휴게소 중요 인식 공간의 비율 형태를 그래프 화하여 비교한 결과 두 그래프의 형태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고속도로 휴게소 공간 프로그램의 변화가 연령대별 대별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다가올 미래의 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는 고속도로 휴게소 이용객의 라이프 스타일의 선제적 예측으로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개념의 공간 프로그램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rule commentary about structure of road facility standard"

      2 Cho, Kwangmin, "research on the impact of lifestyle change on the planning of hotel common spaces"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9

      3 Hwang, Daesung, "Rest Area Construction Planning" Sejinbook 2002

      4 Choi, Taewon, "Lifestyle business comes" Hansmedia 2018

      5 EY, Advisory, "In 2020, AI came to me" Maekyung Publisher 2016

      6 Bae, Jungyeob, "Express Way service area real story" Woohyunmedia 2017

      7 Lee, Hwanpill, "Development a Strategy for Expressway Service Area Based on Case-Study of Japanese Policy"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2015

      8 Kwon, unyoung, "A study on the business hotel design to reflect modern lifestyle"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6

      9 Kim, KIyoung, "A Study on the Vitalization Plan of Restaurant Menu at Resting Places on the Expressway" Gyungki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1

      10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Reasonable Resting Facilities and Scale Estimation" 2014

      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rule commentary about structure of road facility standard"

      2 Cho, Kwangmin, "research on the impact of lifestyle change on the planning of hotel common spaces"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9

      3 Hwang, Daesung, "Rest Area Construction Planning" Sejinbook 2002

      4 Choi, Taewon, "Lifestyle business comes" Hansmedia 2018

      5 EY, Advisory, "In 2020, AI came to me" Maekyung Publisher 2016

      6 Bae, Jungyeob, "Express Way service area real story" Woohyunmedia 2017

      7 Lee, Hwanpill, "Development a Strategy for Expressway Service Area Based on Case-Study of Japanese Policy"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2015

      8 Kwon, unyoung, "A study on the business hotel design to reflect modern lifestyle"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6

      9 Kim, KIyoung, "A Study on the Vitalization Plan of Restaurant Menu at Resting Places on the Expressway" Gyungki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1

      10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Reasonable Resting Facilities and Scale Estimation" 2014

      11 Lim, seungwoo,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way Complex Rest Facilities" Ga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7

      12 Kim, Yanghee, "A Study on Housing Needs According to Type of Lifestyle"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6

      13 Hwang, Kyuwon, "A Study on Dining Space Styling According to Consumers’Life Style" Kyon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8

      14 Lee, Eonbae, "50 years of pride To the world To the future 50 years of history in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Gyeongki-do: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2019

      15 Bong, Youngchae, "2050 Future Highway Prospect and Technological Prediction"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69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