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유도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관계 =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Interaction of Coach and Athlete, Self-Regulation and Educational Achievement of University Judo Athle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318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 경상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

      본 연구는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 경상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서 유도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집락무선표집(cluster random sampling)의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집 된 280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했거나 조사내용 일부가 누락된 19명의 자료를 제외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261명이다.
      부호화된 자료는 Windows용 SPSS/PC 18.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기법은 신뢰도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이상에서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차이는 성별, 체급, 운동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차이는 대화, 믿음에서 여자 집단이 남자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체급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차이는 노하우에서 경량급과 중량급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운동경력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차이는 기술지도에서 7-9년, 10년 이상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성별, 학년, 운동경력, 전국대회 입상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통제적 동기에서 남자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통제적 동기에서 1학년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운동경력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자율적 동기에서 4번 이상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전국대회 입상경력에 따른 자기조절동기의 차이는 자율적 동기에서 2-3번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교육성취의 차이는 학년, 운동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교육성취의 차이는 정의발달, 인지발달에서 1학년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운동경력에 따른 교육성취의 차이는 심동발달, 인지발달에서 7-9년 집단이 교육성취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대화, 믿음, 노하우는 자기조절 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격려는 자율적 동기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교육성취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육성취의 정의발달에서는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대화, 믿음, 격려가 정적인 영향을 심동발달에서는 대화, 믿음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발달에서는 대화, 믿음, 노하우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유도선수들의 자기조절동기와 교육성취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육성취의 정의발달에서 자기조절동기의 통제적 동기가 정적인 영향을 자율적 동기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동발달에서는 통제적 동기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발달에서는 통제적 동기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독립변인인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이 매개변인인 자기조절동기와 종속변인인 교육성취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은 자신을 조절하는 동기를 높일 수 있으며, 더불어 교육성취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치-선수 간 상보적인 활동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보다 상생의 입장에서 지속적인 의사소통과 개인적 차원의 통제를 통해 긍정적인 운동경험을 영위하고 개선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ir self-regulated motivation and education achievement. To achieve this goal, a sample group was selected from a...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ir self-regulated motivation and education achievement. To achieve this goal, a sample group was selected from a pop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ctive as judo athletes in universities in Gyeongsang and Gyeonggi area by employing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After excluding the data of 19 students among the sample of 280 respondents, who are believed to have answered rather unfaithfully or omitted some key answers, the data of 261 respondents was used in the actual analysis.
      The coded data was processed for compu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by employing SPSSWIN 18.0 Version for Window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employed for this study include: verification of confidenc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ir self-regulated motivation and education achievement by employing the said research method and process, are as shown below:
      First, There were some partial differences found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self-regulated motivation and education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factors. To have a close look, the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sex, weight class and their career as an athlet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depending on their sex was greater among female group than in a male group in terms of their conversation and trust. Th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depending on their weight class was greater among the light weight and heavy weight group in terms of their knowhow. Th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hletes and their coaches depending on their career as an athlete was greater among the group with 7-9 year career and another group with 10+ year career in terms of their technical training.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sex, school year, career as an athlete and prize-winning in national competitions.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depending on sex was greater among male group in terms of their control motivati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depending on school year was greater among the first year students in terms of their control motivati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depending on the career as an athlete was greater among a group with more than 4 experiences in terms of their autonomous motivati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 of prize-winning in national competitions was greater among a group with 2 to 3 winnings in terms of their autonomous motivation.
      Finally, the educational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differed depending on their school year and career as an athlete. The educational achievement was greater among the first year students in terms of their affective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 educational achievement depending on their career as an athlete was greater among the group with 7-9 year career in terms of their psychomotor and cognitive development.
      Second,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shows that the conversation, trust and knowhow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whereas encouragemen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Third,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 education achievement shows that the conversation, trust and encourage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ffective development whereas conversation and trus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sychomotor development. And the conversation, trust and knowhow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ognitive development.
      Fourth,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 education achievement shows that the control motivation among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affective development whereas the autonomous motiva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it. And the control motiv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in terms of their psychomotor development. Finally, the control motiv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ognitive development.
      Fifth, a look 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and the education achievement and education achievement show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self-control, a mediating variable, and the educational achievement, a dependent variable.
      The study show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versity judo athletes and their coaches can improve their self-regulated motivation as well as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 a finding that shows how important the complementary activities between athletes and their coaches are. And they would be able to enjoy positive athletic experiences and improve upon them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individual control from a more complementary perspecti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3
      • 3. 변인 및 가설 4
      • 1) 연구모형 4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3
      • 3. 변인 및 가설 4
      • 1) 연구모형 4
      • 2) 연구가설 5
      • 4. 연구의 제한점 6
      • 5. 용어의 정의 7
      • 1) 상호작용 7
      • 2) 자기조절동기 7
      • 3) 교육성취 7
      • Ⅱ. 이론적 배경 8
      • 1. 상호작용 8
      • 2. 자기조절동기 11
      • 3. 교육성취 13
      • Ⅲ. 연구방법 15
      • 1. 연구대상 15
      • 2. 조사도구 17
      • 1) 상호작용 17
      • 2) 조절동기 18
      • 3) 교육성취 18
      • 3.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 19
      • 1) 설문지의 타당도 19
      • 2) 설문지의 신뢰도 22
      • 4.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방법 23
      • Ⅳ. 결과 25
      • 1.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차이 25
      • 1)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의 차이 25
      • 2)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조절동기의 차이 28
      • 3)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교육성취의 차이 31
      • 2.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기조절동기의 관계 33
      • 1)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통제적동기의 관계 33
      • 2)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자율적동기의 관계 34
      • 3.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교육성취의 관계 35
      • 1)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정의발달의 관계 35
      • 2)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심동발달의 관계 36
      • 3)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과 인지발달의 관계 37
      • 4. 대학유도선수들의 자기조절동기와 교육성취의 관계 38
      • 1) 대학유도선수들의 자기조절동기와 정의발달의 관계 38
      • 2) 대학유도선수들의 자기조절동기와 심동발달의 관계 39
      • 3) 대학유도선수들의 자기조절동기와 인지발달의 관계 40
      • 5. 대학유도선수들의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자기조절동기 및 교육성취의 인과적 관계 41
      • Ⅴ. 논의 43
      • Ⅵ. 결론 및 제언 49
      • 1. 결론 49
      • 2. 제언 52
      • 참고문헌 53
      • ABSTRACT 59
      • 부 록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