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성곤, "하이브리드 시대의 문학" 서울대출판문화원 32-, 2009
2 오윤호, "외국인 이주자의 형상화와 우리 안의 타자담론" 현대문학이론학회 (40) : 241-262, 2010
3 강영안,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1999
4 엄미옥, "상상된 공감, 소통의 시학 -『나마스테』에 나타난 법과 인권의 문제를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4) : 183-210, 2010
5 엄태연, "베르그손의"물질과 기억"에서 이미지와 물질의 관계-신체 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6 주재형, "베르그손의 순수 기억의 존재 양태에 대하여" 한국철학회 (129) : 151-176, 2016
7 박진, "박범신 장편소설 『나마스테』에 나타난 이주노동자의 재현 이미지와 국민국가의 문제" 현대문학이론학회 (40) : 223-239, 2010
8 황수영, "물질과 기억, 시간의 지층을 탐험하는 이미지와 기억의 미학" 그린비 2006
9 임태우, "들뢰즈의 리좀 모델 분석 : 영화 <엘리펀트>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4 (14): 66-75, 2014
10 홍원경, "『나마스테』에 나타난 외국인 노동자의 재현 양상" 중앙대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53-177, 2009
1 김성곤, "하이브리드 시대의 문학" 서울대출판문화원 32-, 2009
2 오윤호, "외국인 이주자의 형상화와 우리 안의 타자담론" 현대문학이론학회 (40) : 241-262, 2010
3 강영안,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1999
4 엄미옥, "상상된 공감, 소통의 시학 -『나마스테』에 나타난 법과 인권의 문제를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4) : 183-210, 2010
5 엄태연, "베르그손의"물질과 기억"에서 이미지와 물질의 관계-신체 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6 주재형, "베르그손의 순수 기억의 존재 양태에 대하여" 한국철학회 (129) : 151-176, 2016
7 박진, "박범신 장편소설 『나마스테』에 나타난 이주노동자의 재현 이미지와 국민국가의 문제" 현대문학이론학회 (40) : 223-239, 2010
8 황수영, "물질과 기억, 시간의 지층을 탐험하는 이미지와 기억의 미학" 그린비 2006
9 임태우, "들뢰즈의 리좀 모델 분석 : 영화 <엘리펀트>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4 (14): 66-75, 2014
10 홍원경, "『나마스테』에 나타난 외국인 노동자의 재현 양상" 중앙대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53-177,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