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를 통하여 적대성과 강박증상의 관계를 알아보고, 특히 외현적 적대성과 내현적 적대성이 강박증상에 대해 차별적인 영향을 갖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아울러 적대성이 강박증상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094604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68-378(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를 통하여 적대성과 강박증상의 관계를 알아보고, 특히 외현적 적대성과 내현적 적대성이 강박증상에 대해 차별적인 영향을 갖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아울러 적대성이 강박증상에 ...
본 연구를 통하여 적대성과 강박증상의 관계를 알아보고, 특히 외현적 적대성과 내현적 적대성이 강박증상에 대해 차별적인 영향을 갖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아울러 적대성이 강박증상에 대해 끼치는 영향에 있어서 충동성이 조절효과를 갖는지도 검증하고자 했다. 150명의 온라인 학생을 대상으로 Buss Durkee Hostility 척도, 강박증상 척도 개정판, 바렛 충동성 척도를 실시하여 적대성, 강박증상, 충동성을 각각 측정하였다. 150명의 온라인 대학생의 자료를 수집하여 이 자료에 대해 상관과 조절다중회귀 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현적 적대성과 강박행동간의 상관이 유의미하였고 강박사고는 외현적 적대성 및 내현적 적대성과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회귀분석을 한 결과 내현적 적대성이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내현적 적대성이 강박증상에 영향을 끼치는 관계에 있어서 충동성이 조절 변수로서 기여하는 역할을 확인한 분석 결과, 충동성은 내현적 적대성이 강박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만 조절역할을 하였고 외현적 적대성의 영향에서는 유의미한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stility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to clarify the differential role of overt hostility and covert hostility on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impulsivity ha...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stility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to clarify the differential role of overt hostility and covert hostility on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impulsivity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stility measures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The Buss Durkee Hostility Inventory (BDHI), Revised Obsessive Compulsive Inventory (OCI-R), and Barratt Impulsivity Scale (BIS) were used to measure hostility,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and impulsivity, respectively. Data were collected from 150 online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zed using the correlation and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model. The result showed that overt host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bsessive thoughts; covert host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bsessive thoughts and compulsive behavior. In addition, the regression results, which set the hostility variables as the predicting variable, revealed covert hostility to increase obsessive thinking and compulsive behavior, whereas overt hostilit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both variables. Impulsivity was found to function as a moderator in the prediction of covert hostility on obsessive thought. With the resul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
The Effects of Health Conservation Program in Community-dwelling Vulnerable Diabetic Elderly
10주간 유산소와 저항성 운동의 다른 수행 순서에 따른 20대 남성의 신체조성, 신체기능과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