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이버농업기술교육 참가자의 특성과 교육효과 = Participant Characteristic and Educational Effects for Cyber Agricultural Technology Training Co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810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was main objectives to find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ndeducational effects of cyber agricultural technology courses in RDA.
      For the research, it was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s and internetbased survey methods. In internet based survey, two staged stratifiedsampling method was adopted from cyber training members databasein RDA along with some key word as open course or certificate course,and enrollment years. Instrument was composed through literaturereviews about cyber education effects and educational effect factor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items were added in survey documents.
      It was sent to sampled persons by e-mail and 316 data was returnedvia google survey systems. Through the data cleaning, 303 data wereanalysed by chi-square, t-test and F-test. It’s significance level was .05.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ed;First, the respondent was composed of mainly man(77.9%), and monthlyincome group was mainly 2,000,000 or 3,000,000 won(24%), bachelordegree(48%), fifty or forty age group was shared to 75%, and their jobwas changed after learning(12.2%). So major respondents’ job was notchanged. Their major was not mainly agriculture. Learners’ learning stylewere composed of two or more types as concrete-sequential, mixing, abstractrandom,so e-learning course should be developed for the students’ type. Second, it was attended at 3.2 days a week, 53.53 minutes aclass, totally 172.63 minutes a week. They were very eager or generallyeager to study, and attended two or more subjects. The cyber educationmotives was for farming knowledge, personal competency development,job performance enlarging. They selected subjects along with theirinterest. A subject person couldn’t choose more subjects for little time,others, non interesting subject, but more subject persons were for jobperformance benefits and previous subjects effectiveness. Most learnerwas finished their subject, but a fourth was not finished for busy(26.7%). And their entrying behavior was not enough to learn e-courseand computer or internet using ability was middle level as software using.
      And they thought RDA cyber course was comfort in non time orspace limit, knowledge acquisition, and personal competency development.
      Cyber learning group was composed of open course only (12.5%), certificateonly(25.7%), both(36.3%).
      Third,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arning learnerswere good, and educational service offering for doing job in learningapplication category was good, but effect of cyber education was notgood, especially, agricultural income increasing was not good because majorlearner group was not farmer, so they couldn’t apply their knowledgeto farming. And content structure and design, content comprehension,content amount were good. The more learning subject group respondedto good in effects, and both open course and certificate course groupsatisfied more than open course only group.
      Based on the results, recommendation was offered as cyber coursespecialization before main course in RDA training system, support staffand faculty enlargement, building blended learning system with localRDA office, introducing cyber tutor system.
      번역하기

      It was main objectives to find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ndeducational effects of cyber agricultural technology courses in RDA. For the research, it was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s and internetbased survey methods. In internet based survey, tw...

      It was main objectives to find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ndeducational effects of cyber agricultural technology courses in RDA.
      For the research, it was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s and internetbased survey methods. In internet based survey, two staged stratifiedsampling method was adopted from cyber training members databasein RDA along with some key word as open course or certificate course,and enrollment years. Instrument was composed through literaturereviews about cyber education effects and educational effect factor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items were added in survey documents.
      It was sent to sampled persons by e-mail and 316 data was returnedvia google survey systems. Through the data cleaning, 303 data wereanalysed by chi-square, t-test and F-test. It’s significance level was .05.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ed;First, the respondent was composed of mainly man(77.9%), and monthlyincome group was mainly 2,000,000 or 3,000,000 won(24%), bachelordegree(48%), fifty or forty age group was shared to 75%, and their jobwas changed after learning(12.2%). So major respondents’ job was notchanged. Their major was not mainly agriculture. Learners’ learning stylewere composed of two or more types as concrete-sequential, mixing, abstractrandom,so e-learning course should be developed for the students’ type. Second, it was attended at 3.2 days a week, 53.53 minutes aclass, totally 172.63 minutes a week. They were very eager or generallyeager to study, and attended two or more subjects. The cyber educationmotives was for farming knowledge, personal competency development,job performance enlarging. They selected subjects along with theirinterest. A subject person couldn’t choose more subjects for little time,others, non interesting subject, but more subject persons were for jobperformance benefits and previous subjects effectiveness. Most learnerwas finished their subject, but a fourth was not finished for busy(26.7%). And their entrying behavior was not enough to learn e-courseand computer or internet using ability was middle level as software using.
      And they thought RDA cyber course was comfort in non time orspace limit, knowledge acquisition, and personal competency development.
      Cyber learning group was composed of open course only (12.5%), certificateonly(25.7%), both(36.3%).
      Third,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arning learnerswere good, and educational service offering for doing job in learningapplication category was good, but effect of cyber education was notgood, especially, agricultural income increasing was not good because majorlearner group was not farmer, so they couldn’t apply their knowledgeto farming. And content structure and design, content comprehension,content amount were good. The more learning subject group respondedto good in effects, and both open course and certificate course groupsatisfied more than open course only group.
      Based on the results, recommendation was offered as cyber coursespecialization before main course in RDA training system, support staffand faculty enlargement, building blended learning system with localRDA office, introducing cyber tutor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사이버농업기술교육 참여자의 학습특성과 효과를 분석하여, 적절한지원방안을 제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인터넷 조사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이버농업기술교육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50대와 40대의 대졸수준의 도시출신으로 농업분야 전공자가 아닌 사람들이 다수로서, 월 200-300만원미만의 소득을 올리고 있고, 주로 남성이 농사지식, 개인적능력개발, 담당업무처리능력 개발 목적으로 주로 참여하고 있고, 사이버교육이나 농업에 대한 선행학습경험이 약간 부족한 수준이었고, 학습양식은 구체적-순차적형, 두 가지 이상 복합형이 많았다.
      사이버 농업기술교육에서 전반적으로 만족도나 학업성취는 우수하고, 내용구성이나 현업적응도는 비교적 적절한 수준이며, 운영지원과 영향력, 학습과정은 보통수준이었다. 한과목이하 이수집단보다 두과목이상 이수집단이 영향력 평가가긍정적이었고, 수료증과정과 공개과정 모두를 이수한 집단이 공개과정만 이수한집단보다 만족도가 더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농촌진흥청 사이버 농업기술과정에 대한 지원방안을특성화 프로그램으로의 확대, 지원인력의 확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임공간 제공, 교육생지역의 농업기술센터와의 연계를 통한 blended learning system 도입,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용어와 사전 제시, 흥미유발과 지원을 도울 사이버튜터 및 인터넷 전화 활용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사이버농업기술교육 참여자의 학습특성과 효과를 분석하여, 적절한지원방안을 제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인터넷 조사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통...

      이 연구는 사이버농업기술교육 참여자의 학습특성과 효과를 분석하여, 적절한지원방안을 제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인터넷 조사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이버농업기술교육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50대와 40대의 대졸수준의 도시출신으로 농업분야 전공자가 아닌 사람들이 다수로서, 월 200-300만원미만의 소득을 올리고 있고, 주로 남성이 농사지식, 개인적능력개발, 담당업무처리능력 개발 목적으로 주로 참여하고 있고, 사이버교육이나 농업에 대한 선행학습경험이 약간 부족한 수준이었고, 학습양식은 구체적-순차적형, 두 가지 이상 복합형이 많았다.
      사이버 농업기술교육에서 전반적으로 만족도나 학업성취는 우수하고, 내용구성이나 현업적응도는 비교적 적절한 수준이며, 운영지원과 영향력, 학습과정은 보통수준이었다. 한과목이하 이수집단보다 두과목이상 이수집단이 영향력 평가가긍정적이었고, 수료증과정과 공개과정 모두를 이수한 집단이 공개과정만 이수한집단보다 만족도가 더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농촌진흥청 사이버 농업기술과정에 대한 지원방안을특성화 프로그램으로의 확대, 지원인력의 확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임공간 제공, 교육생지역의 농업기술센터와의 연계를 통한 blended learning system 도입, 학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용어와 사전 제시, 흥미유발과 지원을 도울 사이버튜터 및 인터넷 전화 활용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대구, "현직 농산업인력 교육담당자의 역량제고방안" 121-164, 2013

      2 유일, "학습자 특성과 매체 특성이 원격교육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4 (4): 43-67, 2001

      3 김미숙, "평생학습의 사회경제적 성과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4 김정섭, "최근의 귀농⋅귀촌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 : 2012

      5 강대구, "최근 귀농실태와 지원대책 방안 연구" 농림부 2005

      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동향분석실, "주간 농업⋅농촌 동향" 10 : 2012

      7 최길수, "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사이버가정학습의 만족도 및 효과성 인식 분석" 한국정보처리학회 16 (16): 395-402, 2009

      8 문숙경, "이러닝 수강생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7 (7): 161-168, 2007

      9 박영철, "웹기반 u-Learning 교육 효과 및 구조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7 (7): 365-372, 2006

      10 방기혁, "웹(Web)을 활용한 교양농업교육용 교재 개발 및 교육 효과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3 (33): 43-56, 2001

      1 강대구, "현직 농산업인력 교육담당자의 역량제고방안" 121-164, 2013

      2 유일, "학습자 특성과 매체 특성이 원격교육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4 (4): 43-67, 2001

      3 김미숙, "평생학습의 사회경제적 성과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4 김정섭, "최근의 귀농⋅귀촌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 : 2012

      5 강대구, "최근 귀농실태와 지원대책 방안 연구" 농림부 2005

      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동향분석실, "주간 농업⋅농촌 동향" 10 : 2012

      7 최길수, "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사이버가정학습의 만족도 및 효과성 인식 분석" 한국정보처리학회 16 (16): 395-402, 2009

      8 문숙경, "이러닝 수강생 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7 (7): 161-168, 2007

      9 박영철, "웹기반 u-Learning 교육 효과 및 구조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7 (7): 365-372, 2006

      10 방기혁, "웹(Web)을 활용한 교양농업교육용 교재 개발 및 교육 효과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3 (33): 43-56, 2001

      11 김원영, "웹 기반 원격교육에서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연수시스템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 5 (5): 538-551, 2002

      12 이근무, "원격교육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연구" 829-833, 2002

      13 서희전,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자간 상호작용, 학습결과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1-28, 2005

      14 김은경, "사이버대학교와 학습자의 지리적 분포 및 교육 특성에 관한 연구" 65-67, 2002

      15 김보나,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인구학적 특성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기술학회 9 (9): 213-219, 2011

      16 정해용, "사이버교육 효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공공조직을 중심으로" 한국정보시스템학회 11 (11): 51-74, 2002

      17 박치관, "사이버강의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이 교육효과에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4 (14): 179-198, 2007

      18 홍경선,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 및 효과성 인식 분석: 전라북도 사이버가정학습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 (8): 423-447, 2008

      19 이승진, "사이버가정학습 시범운영 결과보고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3

      20 안종묵, "사이버 강좌의 효율적인 학습방안 요인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면대면 강좌와 사이버 강좌의 학습효과 비교"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5 (25): 85-124, 2008

      21 김미량,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및 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7 (7): 44-58, 2007

      22 김준호, "대학 e-러닝 학습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12 (12): 19-48, 2010

      23 박성열, "농업토목기술 I 및 농업기계 과목의 이러닝 콘텐츠학습효과 분석 및 활용 방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3 (43): 57-74, 2011

      24 박성열, "농업기초기술I 및 조경과목의 이러닝과 면대면 수업 방법에 따른 학습효과성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2 (42): 31-52, 2010

      25 정경수, "기업의 e-Learning에 대한 학습효과 및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정보시스템학회 15 (15): 1-29, 2006

      26 조은순, "기업 e-Learning에서 튜터의 학습동기유발 차별화 전략에 따른 학습자의 상호작용 및 학습결과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0 (20): 215-239, 2004

      27 최혁라, "기업 E-Learning 교육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P사의 E-Learning 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 10 (10): 59-88, 2005

      28 김병철, "e-learning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5 (5): 53-60, 2005

      29 정윤, "e-learning의 학습효과 및 실무전이에 관한 연구 : 학습조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1078-1083, 2008

      30 장은정, "e-learning 공동체에서 학습 전략과 몰입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18 (18): 27-54, 2002

      31 Clark, R. C., "e-Learning and Science of Instruction: Proven Guidelines for Consumers and Designers of Multimedia Learning" Pfeiffer 2003

      32 Kirkpatrick, J. D., "Using Evaluation Results" ASTD Press 2010

      33 Hudspeth, D., "Testing Learner Outcomes in Web-Based Instruction" ETP 353-356, 1997

      34 Owen, J. M., "Program Evaluation: Forms and approaches (3rd ed.)" Allen and Unwin 2006

      35 Scriven, M., "New directions in evaluation, No.58., special issue: Hard-won lessons in educational evaluation" Jossey-Bass 5-48, 1993

      36 Newcomb, L. H., "Methods of Teaching Agriculture" Pearson Prentice Hall 2004

      37 Butler, K. A., "Learning and Teaching Style in Theory and Practice" The Learner’s Dimension 1986

      38 Khan, B. H., "Factors to consider when evaluating a web-based instruction course: a survey" ETP 375-378, 1997

      39 Ruhe, V., "Evaluation in Distance Education and E-learning: the Unfolding Model" The Guilford Press 2009

      40 Stawarski, C. A., "Evaluating mLearning" ASTD Press 2010

      41 Phillips, R., "Evaluating e-Learning: Guiding Research and Practice" Routledge 2012

      42 Kirkpatrick, D. L., "Evaluating Training Programs:The Four Levels" Berrett-Koehler 1998

      43 Horton, W., "Evaluating E-learning" ASTD 2001

      44 손달호, "E-learning의 결정요인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10 (10): 49-70, 2008

      45 Zaharias, P., "E-learning design quality: A holistic conceptual framework" Idea Group 763-771, 2005

      46 Forman, D. C., "Benefits, Costs, and the Value of E-learning Programs" McGraw-Hill 398-413, 2002

      47 Swanson, R. A., "Analysis for Improving Performance" Berrett-Koehler Pub 2007

      48 지식경제부, "2011년 이러닝 산업 실태 조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xtension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Extension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6 1.05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