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의 종단 연구 = The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s of Dream Orchest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275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ngitudinally examine the Dream Orchestra effects. To do this, the panel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in 2016 (Year 1), 2017 (Year 2), and 2018 (Year 3) for children participating in dream orchestr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dream orchestra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music knowledge, music enjoyment, music attitude, and music activity regarding musical improvement. Second, self-esteem, communication skills, future outlook, and math ability were improved significantly in terms of personal development.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ersonal relationship. Specifically, the receptiveness,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collective promotion, followership,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Finally, social trust, sense of belonging and community participation behavior were significantly improv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munal meaning socioeconomic benefits. Also, contrast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016 and 2017,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017 and 2018, indicating that child change was internalized. In addition, the pride of participant's dream orchestra, parental and peer support, out-of-school music education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dream orchestra effectivene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ngitudinally examine the Dream Orchestra effects. To do this, the panel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in 2016 (Year 1), 2017 (Year 2), and 2018 (Year 3) for children participating in dream orchestra. The main res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ngitudinally examine the Dream Orchestra effects. To do this, the panel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in 2016 (Year 1), 2017 (Year 2), and 2018 (Year 3) for children participating in dream orchestr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dream orchestra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music knowledge, music enjoyment, music attitude, and music activity regarding musical improvement. Second, self-esteem, communication skills, future outlook, and math ability were improved significantly in terms of personal development.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ersonal relationship. Specifically, the receptiveness, consideration, and cooperation (collective promotion, followership,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Finally, social trust, sense of belonging and community participation behavior were significantly improv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munal meaning socioeconomic benefits. Also, contrast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016 and 2017,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017 and 2018, indicating that child change was internalized. In addition, the pride of participant's dream orchestra, parental and peer support, out-of-school music education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dream orchestra effective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 효과의 종단적 검증이다. 이를 위해, 아동의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가 종단적 관점에서 음악적 성장, 개인발달, 인적관계, 공공적 함의 및 사회경제적 혜택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효과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자료는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 아동을 대상으로 2016년(1년차), 2017년(2년차), 2018년(3년차)의 3차에 걸친 패널 조사를 통해 수집되었고, 총 109명의 패널 데이터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 아동은 음악지식, 음악향유, 음악태도, 음악활동 차원 모두에서 유의한 수준의 음악적 성장을 보였다. 둘째, 개인발달 영역의 평가 결과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 이후 자존감, 의사소통능력, 미래전망 수준이 유의하게 성장하였다. 셋째, 인적 관계 영역의 검증 결과 타인수용도, 배려와 협동의 구성차원인 집단촉진, 팔로워십, 갈등문제해결 능력이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 이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공공적 함의 및 사회경제적 혜택 영역의 분석 결과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 이후 사회적 신뢰, 소속감 및 유대감, 공동체 참여 행동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한편 아동들의 변화는 평가 1년차와 2년차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2년차와 3년차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는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 아동의 꿈의 오케스트라 단원 자부심, 참여 적극성, 부모와 동료의 지지, 그리고 학교 정규 교육 이외 다른 음악 교육 경험은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정(+)의 요인으로 규명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 효과의 종단적 검증이다. 이를 위해, 아동의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가 종단적 관점에서 음악적 성장, 개인발달, 인적관계, 공공적 함의 및 사회...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 효과의 종단적 검증이다. 이를 위해, 아동의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가 종단적 관점에서 음악적 성장, 개인발달, 인적관계, 공공적 함의 및 사회경제적 혜택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효과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자료는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 아동을 대상으로 2016년(1년차), 2017년(2년차), 2018년(3년차)의 3차에 걸친 패널 조사를 통해 수집되었고, 총 109명의 패널 데이터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 아동은 음악지식, 음악향유, 음악태도, 음악활동 차원 모두에서 유의한 수준의 음악적 성장을 보였다. 둘째, 개인발달 영역의 평가 결과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 이후 자존감, 의사소통능력, 미래전망 수준이 유의하게 성장하였다. 셋째, 인적 관계 영역의 검증 결과 타인수용도, 배려와 협동의 구성차원인 집단촉진, 팔로워십, 갈등문제해결 능력이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 이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공공적 함의 및 사회경제적 혜택 영역의 분석 결과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 이후 사회적 신뢰, 소속감 및 유대감, 공동체 참여 행동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한편 아동들의 변화는 평가 1년차와 2년차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2년차와 3년차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는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 아동의 꿈의 오케스트라 단원 자부심, 참여 적극성, 부모와 동료의 지지, 그리고 학교 정규 교육 이외 다른 음악 교육 경험은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정(+)의 요인으로 규명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미현,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33 (33): 49-64, 1995

      2 남지영, "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이 초등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교육학회 41 (41): 109-134, 2012

      3 성은모,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 IEA ICCS 2016 – 기초통계분석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4 최애나, "집단음악치료가 비행청소년의 정서적 안정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가정과삶의질학회 25 (25): 1-14, 2007

      5 안은미, "지역사회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과 빈곤아동 발달"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225-248, 2016

      6 김동민, "음악심리치료" 학지사 2010

      7 이동규, "음악교육이 청소년기 정서와 인격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을 대상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양종모, "음악 단체 활동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식 조사" 한국음악교육학회 41 (41): 227-255, 2012

      9 이복음, "유년기의 음악교육 경험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4·5·6학년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0 성지경, "오케스트라활동 참여 동기가 청소년정서와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한국형 엘 시스테마(El Sistema)"꿈의 오케스트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5

      1 한미현,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33 (33): 49-64, 1995

      2 남지영, "학교 오케스트라 활동이 초등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교육학회 41 (41): 109-134, 2012

      3 성은모,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 : IEA ICCS 2016 – 기초통계분석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4 최애나, "집단음악치료가 비행청소년의 정서적 안정성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가정과삶의질학회 25 (25): 1-14, 2007

      5 안은미, "지역사회 오케스트라 교육 활동과 빈곤아동 발달"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225-248, 2016

      6 김동민, "음악심리치료" 학지사 2010

      7 이동규, "음악교육이 청소년기 정서와 인격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을 대상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8 양종모, "음악 단체 활동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식 조사" 한국음악교육학회 41 (41): 227-255, 2012

      9 이복음, "유년기의 음악교육 경험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4·5·6학년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10 성지경, "오케스트라활동 참여 동기가 청소년정서와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한국형 엘 시스테마(El Sistema)"꿈의 오케스트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5

      11 안상훈, "복지지위와 사회의 질 : 복지수급의 권리와 의무, 사회경제적 안전성과 사회적 신뢰의 관계를 중심으로" 12 : 1059-1076, 2010

      12 나도삼, "문화환경이 지역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6

      13 홍기원, "문화예술교육사업의 효과평가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오케스트라교육사업의 효과와 정책적 함의" 한국예술경영학회 (30) : 35-59, 2014

      14 정문성,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예술 꽃 씨앗학교 프로그램이 학교와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65-194, 2012

      15 성도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예술경영학회 (23) : 91-114, 2012

      16 김은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영향에 대한 질적 연구 - 안산 자바르떼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층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경영학회 (19) : 5-31, 2011

      17 김선하, "리듬악기합주 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치료학회 11 (11): 40-59, 2009

      18 백령,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

      19 임영식, "꿈의 오케스트라 아동변화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

      20 박신의, "꿈의 오케스트라 교육 평가 2차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21 최도인, "꿈의 오케스트라 공연 효과성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

      22 나현이, "교육부 지원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이 중학교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3 Respress, T., "Whole brain learning: The fine arts with students at risk" 15 (15): 24-31, 2006

      24 Carnwath, J. D., "Understanding the value and impacts of cultural experiences" Arts Council England 2014

      25 Costa-Giomi, E., "The long-term effects of childhood music instruction on intelligence and general cognitive abilities" 33 (33): 20-26, 2015

      26 Henley, J., "Musical learning and desistance from crime : the case of a ‘Good Vibrations’ Javanese Gamelan Project with Young offenders" 17 (17): 103-120, 2015

      27 Shields, C., "Music education and mentoring as intervention for at-risk urban adolescents : Their self-perceptions, opinions, and attitudes" 49 (49): 273-286, 2001

      28 Eerola, P. -S., "Extended music education enhances the quality of school life" 16 (16): 88-104, 2014

      29 Osborne, M. S., "Exploring the academic and psychosocial impact of El Sistema-inspired music programs within two low socio-economic schools" 18 (18): 1-20, 2015

      30 Welch, L., "Bioinformatics curriculum guidelines: Toward a definition of core competencies" 10 (10): e1003496-, 2014

      31 Richard N. S., "Benefits of a classroom based music program on verbal memory of primary school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1 : 36-47, 2010

      32 Sours, J. P., "An examination of embedding character education into the daily functions of high school instrumental music ensembles" George Fox University 2009

      33 전수환, "2015 꿈의 오케스트라 중장기 운영방안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34 임영식, "2013 토요문화학교 사회적 효과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

      35 정익중, "2011 ‘꿈의 오케스트라’ 학습영향평가 모델 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36 김기헌, "2009 아동청소년 백서" 보건복지부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12-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Forum For Youth Culture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 1.7 1.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1 1.81 2.102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